- 안상현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3, n.1
- pp.55-70
- 2006
- 원문 바로보기
한국의 역사서에 속에는 혜성을 관측한 기록이 많이 있다. 우리는 그 가운데 조선 현종 5년 1664년 겨울에 나타난 혜성을 관측한 기록을 <성변측후단자>, <천변등록>, <승정원일기>, <조선왕조실록>에서 수집 정리하였다. 우리는 올버스(Olbers)의 방법을 사용하여 혜성의 예비 궤도 요소를 구하고, 그것을 이전의 연구들과 비교하였다 올버스의 방법에서는 혜성 궤도의 이심율 e=1인 포물선 케도로 가정한다 관측 자료를 사용하여 궤도를 계산한 결과, 근일점 거리 (perifocal distance) <TEX>$q=1.07\pm0.008AU$</TEX>, 근일점 통과 시간 <TEX>$T=2329165.50\pm0.72$</TEX>일, 승교점과 근일점의 이각(argument of the perifocus) <TEX>$\omega=318^{\circ}.2\pm2^{\circ}.29$</TEX>, 승교점 경도(longitude of the ascending node) <TEX>$\Omega=85^{\circ}.23\pm2^{\circ}53(J1665)$</TEX>, 궤도 경사(inclination) <TEX>$i=160^{\circ}.28\pm1^{|circ}.56$</TEX>를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