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모달창 닫기

한국우주과학회지

1984년 ~ 2025년까지 1,253 건한국우주과학회지를 계간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계간 (Quarterly)
  • ISSN : 1225-052x (ISSN : 1225-052x)
  • DB구축현황 : 1,253건 (DB Construction : 1,253 Articles)
안내사항
총 게시글 1,253 페이지 70/126
691
  • Sohn Y.J.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3, n.2
  • pp.91-96
  • 2006
  • 원문 바로보기
We use near-infrared observations of eight selected Galactic globular clusters to estimate their distances by comparing the observed and theoretically predicted K magnitudes of the red giant branch bumps and tips. The K magnitude levels of the RGB bump and tip have been measured from the luminosity function of the selected RGB stars in the clusters. Theoretical absolute <TEX>$M_k$</TEX> magnitudes of the RGB bump and tip are taken from the Yonsei-Yale isochrones. Comparing the observed apparent K magnitude with the derived absolute <TEX>$M_k$</TEX> magnitude, we calculate the distance moduli of the clusters. We discuss the dependency of the derived distance modulus on the cluster age and the uncertainty of the distance measurement from the near-infrared photometry of the RGB bump and tip.
692
  • 설경환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3, n.4
  • pp.435-444
  • 2006
  • 원문 바로보기
인공우주물체는 출현 시간이 비교적 짧고 운동 특성이 고정적이지 않기 때문에 한 번의 관측으로 측광 및 분광 데이터를 획득하기 어렵다. 따라서 인공우주물체의 측광 및 분광 동시 관측을 위해서 경희대학교 인공위성 추적 및 관측시스템에 다중 광학계를 탑재할 수 있는 가대를 설계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구조해석을 통해 다중 광학계 탑재 시에 개조된 가대의 변형을 계산하고 인공 우주물체 추적 및 관측 시 발생할 수 있는 가대의 지향오차를 추론하여 관측시야에서 인공우주물체를 안정적으로 추적할 수 있음을 보였다. 또한 등가응력 해석을 수행하여 가대의 구조적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693
  • 이충욱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3, n.4
  • pp.311-318
  • 2006
  • 원문 바로보기
ROTSE(Robotic Optical Transient Search Experiment) 후속관측을 통하여 W UMa형 식쌍성으로 재분류했던 변광성 중 광도곡선의 형태가 특이한 2개의 변광성에 대하여 2004년 5월 1일부터 5일간에 걸쳐 레몬산천문대 1m 망원경을 이용하여 고정밀 측광관측을 BVI 영역에서 수행하였다. W UMa형 식쌍성의 체계적인 분석을 위하여 2005년 개정한 Wilson-Devinney 쌍성코드를 사용하는 광도곡선분석 스크립트를 작성하였다. GSC2576-0319와 GSC2584-1731의 광도곡선을 분석하여 얻은 궤도경사각 (i)은 <TEX>$43.^{\circ}5$</TEX>와 <TEX>$57.^{\circ}6$</TEX>로써 비교적 낮은 값을 가지고 있으며, GSC2S84-1731의 광도곡선상 비대칭 효과를 설명하기 위하여 흑점모델을 적용하고, 이때의 흑점인자를 결정하였다.
694
  • 백정호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3, n.4
  • pp.385-396
  • 2006
  • 원문 바로보기
GPS 안테나 절대 PCV를 이용한 결과가 가지고 있는 지구 축척문제가 GPS 위성 안테나의 PCV 추정을 통해 해결되면서, IGS는 기존에 사용해오던 상대 PCV에서 절대 PCV로의 전환을 준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 세계 모든 GPS 고정밀 자료처리는 절대 PCV를 사용하여 수행될 예정이다. 그러므로 향후 국내 GPS 관측망 자료처리의 일관성과 안정성 확보를 위해 기존의 상대 PCV를 이용한 자료처리 결과와 절대 PCV를 적용한 결과를 비교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절대 PCV의 사용이 GPS 정밀측위에 미치는 영향을 GPS 망 자료처리를 통해 분석하였다. 기선의 길이와 안테나 레이돔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1000km이상의 기선을 갖도록 IGS 기준국인 중국의 베이징, 우한과 우리나라의 대전, 수원을 사용하여 GPS 망을 구성하고 자료처리를 수행하였다. 기선의 길이가 1000km 이상인 경우 평균 1.33cm의 수직방향 차이를 보였고, 여기에 레이돔을 고려했을 경우 평균 2.97cm의 차이를 보였다. 절대 PCV적용이 국내 GPS망 자료처리에 미치는 영향을 시험하기 위해 한국천문연구원의 상시관측소 9개 중 데이터 품질이 종은 7개의 관측소에 대해 상대 PCV와 절대 PCV를 각각 적용한 결과를 서로 비교 분석하였다. 수직방향의 차이는 평균 0.12cm로써 국내 지역망에서는 그 효과가 크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695
  • 차상목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3, n.4
  • pp.425-434
  • 2006
  • 원문 바로보기
한국천문연구원에서 개발 중인 근적외선카메라 KASINICS(KASI Near Infrared Camera System)의 운용을 위한 온도 진공 모니터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은 하드웨어 부분과 소프트웨어 부분으로 나누어지며, 온도와 진공도의 측정자료를 실시간으로 PC에서 출력하고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 시스템은 KASINICS와 같은 적외선카메라뿐만 아니라 극저온 냉각을 요하는 모든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우리는 KASINICS의 냉각 및 진공 시험을 수행하면서 우리가 개발한 모니터 시스템이 적외선카메라의 시험과 운용에 있어서 효율적이고 안정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696
  • Kim J.W.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3, n.2
  • pp.97-104
  • 2006
  • 원문 바로보기
From the BV images of the metal-poor globular cluster NGC 1904 obtained with the 2K CCD camera equipped on the BOAO 1.8m telescope, we construct (B - V, V) color-magnitude diagram of the cluster. The apparent V magnitudes of the RGB bump and tip have been measured from the luminosity function of the iteratively selected RGB stars in NGC 1904. Theoretical absolute <TEX>$M_v$</TEX> magnitudes of the RGB bump and tip are estimated using the Yonsei-Yale isochrones. The distance modulus of NGC 1904 has been derived by comparing the observed apparent V magnitude with the estimated absolute <TEX>$M_v$</TEX> magnitude of the RGB bump and tip.
697
  • 안상현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3, n.1
  • pp.55-70
  • 2006
  • 원문 바로보기
한국의 역사서에 속에는 혜성을 관측한 기록이 많이 있다. 우리는 그 가운데 조선 현종 5년 1664년 겨울에 나타난 혜성을 관측한 기록을 <성변측후단자>, <천변등록>, <승정원일기>, <조선왕조실록>에서 수집 정리하였다. 우리는 올버스(Olbers)의 방법을 사용하여 혜성의 예비 궤도 요소를 구하고, 그것을 이전의 연구들과 비교하였다 올버스의 방법에서는 혜성 궤도의 이심율 e=1인 포물선 케도로 가정한다 관측 자료를 사용하여 궤도를 계산한 결과, 근일점 거리 (perifocal distance) <TEX>$q=1.07\pm0.008AU$</TEX>, 근일점 통과 시간 <TEX>$T=2329165.50\pm0.72$</TEX>일, 승교점과 근일점의 이각(argument of the perifocus) <TEX>$\omega=318^{\circ}.2\pm2^{\circ}.29$</TEX>, 승교점 경도(longitude of the ascending node) <TEX>$\Omega=85^{\circ}.23\pm2^{\circ}53(J1665)$</TEX>, 궤도 경사(inclination) <TEX>$i=160^{\circ}.28\pm1^{|circ}.56$</TEX>를 얻었다.
698
  • Suh, Kyung-Won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3, n.4
  • pp.303-310
  • 2006
  • 원문 바로보기
We model the aspherical dust envelopes around O-rich AGB stars. We perform the radiative transfer model calculations for axisymmetric dust distributions. We simulate what could be observed from the aspherical dust envelopes around O-rich AGB stars by presenting the model spectral energy distributions and images at various wave-lengths for different optical depths and viewing angles. The model results are very different from the ones with spherically symmetric geometry.
699
  • 정장해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3, n.3
  • pp.177-188
  • 2006
  • 원문 바로보기
소백산 천문대의 61cm 망원경과 2K CCD 카메라로 2003년 1월 6일부터 24일까지 5일간 WUMa형 접촉쌍성 V523 Cas를 측광판측하여 총 920개의 관측점(<TEX>${\Delta}B$</TEX>: 230점, <TEX>${\Delta}V$</TEX>. 230점, <TEX>${\Delta}R$</TEX>: 230점, <TEX>${\Delta}I$</TEX>: 230점)을 얻었다. 우리의 관측점으로부터 9개의 새로운 극심시각(주극심: 5개, 부극심: 4개)을 산출하였다. 2004년도 Wilson-Devinney(WD) 쌍성 모형으로 우리가 얻은 새로운 BVRI 광도곡선과 Rucinski et al.(2003)의 시선속도 곡선을 결합하여 분석함으로서 V523 Cas의 제 물리요소를 새롭게 산출하였다. 광도곡선에 나타난 작은 비대칭을 온도가 높은 주성의 광구 표면에 차거운 흑점과 반성에 뜨거운 흑점을 가정하여 설명하였다.
700
  • 김의찬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3, n.2
  • pp.161-166
  • 2006
  • 원문 바로보기
이 논문에서는 위성 자세제어용으로 사용되는 RLG(Ring Lager Gyroscope) 전류 안정화 회로에 대해서 설명한다. RLG는 헬륨-네온레이저의 공진기 내에서 샤냑효과를 이용한다. 두 방전전류의 차이는 자이로 바이어스 오차의 한 부분을 차지한다. 전류 안정화회로의 이론적 배경과 설계과정에 대해서 기술하고, 입력전압 시험, 온도시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