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모달창 닫기

한국우주과학회지

1984년 ~ 2025년까지 1,249 건한국우주과학회지를 계간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계간 (Quarterly)
  • ISSN : 1225-052x (ISSN : 1225-052x)
  • DB구축현황 : 1,249건 (DB Construction : 1,249 Articles)
안내사항
총 게시글 1,249 페이지 66/125
651
  • 이성호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4, n.4
  • pp.339-348
  • 2007
  • 원문 바로보기
한국천문연구원은 <TEX>$1\;-\;5{\mu}m$</TEX> 파장영역에서 관측 가능한 근적외선 카메라 KASINICS(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Near Infrared Camera System)를 개발하였다. 열적외선이 강해지는 <TEX>$3{\mu}m$</TEX> 이상의 파장영역에서는 대기 중의 수증기에 의한 대기투과도가 중요해진다. 이 논문에서는 국내 천문대의 적외선 관측 조건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천문연구원의 GPS 신호를 이용한 PWV(Precipitable Water Vapor) 측정 시스템을 사용하여 2006년 7월부터 2007년 8월까지의 보현산 및 소백산 상공의 월별 PWV 분포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국내 대기 수증기량 조건은 지표면의 이슬점온도를 이용해서 추정한 예상보다 좋았으며, 특히 가을철 및 겨울철에는 미국 Kitt Peak 천문대 상공의 조건과 비교하여 크게 다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652
  • Lee, D.Y.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4, n.2
  • pp.111-118
  • 2007
  • 원문 바로보기
We have studied energetic neutral atom (ENA) disturbances during the magnetic storm main phase that occurred on October 3,2001, using the ENA data from the HENA instrument onboard the IMAGE spacecraft. We find that the main phase is characterized by five ENA enhancement events that occurred quasi-periodically. The repetitive ENA enhancements are most significant in the highest energy (138-222 keV) oxygen channel and become less significant for hydrogen and in lower energies. Also they are separated by <TEX>${\sim}1.2$</TEX> to <TEX>${\sim}1.7$</TEX> hrs, which is well below an average period usually seen for other repetitive injection events.
653
  • Suh, kyung-Won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4, n.3
  • pp.197-202
  • 2007
  • 원문 바로보기
We present infrared color-color diagrams of AGB stars from the observations at near and mid infrared bands. We compile the observations for hundreds of OH/IR stars and carbon stars using the data from the Midcourse Space Experiment (MSX), the two micron sky survey (2MASS), and the IRAS point source catalog (PSC). We compare the observations with the theoretical evolutionary tracks of AGB stars. From the new observational data base and the theoretical evolution tracks, we discuss the meaning of the infrared color-color diagrams at different wavelengths.
654
  • 정성욱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4, n.4
  • pp.417-430
  • 2007
  • 원문 바로보기
IGS(International GNSS Service) 산출물 생성에 사용되는 지상국의 선정은 산출물 정밀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과정이다. 지상국 선정에 있어서 지상국 자료의 품질이 좋지 않은 지상국들은 제외시켜야 하며, 전 지구적으로 고른 분포를 갖도록 선정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12개의 지상국 망을 이용하여 GPS 위성의 궤도력을 산출하고 지상국 선정이 GPS 위성의 궤도력 산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지상국의 성능을 판단하기 위해 자료의 품질을 조사하였으며, 관측개수, 사이클 슬립 개수 및 L1, L2에 대한 의사거리의 다중경로 오차를 고려하였다. 고른 지역분포를 갖는 지상국 선정을 위해서 SOD(Second Order Design) 방법을 사용하여 Taylor-Karman 구조로부터 정의되는 기준 행렬과 여행렬(cofactor matrix)의 차이가 가장 작도록 지상국들을 선정하였다.
655
  • 이준화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4, n.4
  • pp.431-450
  • 2007
  • 원문 바로보기
천체의 장시간 노출을 위한 망원경 자동추적장치는 CCD 카메라의 성상 관측결과를 피드백하여 제어한다. 그러나 대기 시상효과에 의해 성상 관측의 정확도가 변하면 제어의 정확도도 달라진다. 본 연구에서는 제어공학에서 사용하는 이산시간 동적 이론을 적용하여 자동추적장치의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이론을 개발하였다. 망원경의 추적장치에 기계적인 오차가 있는 경우, CCD 카메라의 성상 관측결과에 나타나는 대기시상 효과를 구체적으로 모델링한 후, 제안된 성능지표에 주는 영향을 수식적으로 유도하고 분석하였다. 그리고 기계적인 오차와 대기시상 값의 이론적인 상관관계를 실제 관측 실험을 수행하여 검증하였다.
656
  • 강미지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4, n.1
  • pp.55-68
  • 2007
  • 원문 바로보기
STP78-1 위성이 관측한 낮대기광 중에서 <TEX>$OII\;834{\AA},\;OI\;989{\AA},\;OI\;1027{\AA},\;NII\;1085{\AA},\;NI\;1134{\AA},\;NI\;1200{\AA},\;OI\;1304{\AA},\;OI\;1356{\AA}$</TEX> 대기광을 사용하여 AURIC 모델의 EUV/FUV 대기광 계산을 검증하였다. 관측값과 모델 계산값을 비교한 결과, <TEX>$OII\;834{\AA},\;OI\;1027{\AA},\;NI\;1200{\AA},\;OI\;1304{\AA}$</TEX> 대기광은 약 20% 이내로 일치하였다. 그러나 <TEX>$OI\;989{\AA},\;NII\;1085{\AA},\;NI\;1134{\AA}$</TEX> 대기광은 각각 관측치의 42%, 74%,45%에 그쳐, 심각한 차이를 보였다. 그 원인으로 AURIC 모델이 <TEX>$OI\;989{\AA}$</TEX> 대기광의 경우 복사 전달 효과를 제대로 계산하지 못한 것으로, <TEX>$NI\;1134{\AA}$</TEX> 대기광은 원천 과정이 실제 대기의 상태를 반영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TEX>$NII\;1085{\AA}$</TEX> 대기광에 대해서는 AURIC 모델 자체의 결함보다는 입력된 태양 극자외선 플럭스의 변화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STP78-1 위성의 위방향 대기광 관측값과 비교했을 때 AURIC 모델값이 전반적으로 작게 계산되는데, 이는 위성 고도 아래에서 입사하는 대기광의 기여를 .AURIC 모델이 포함시키지 않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런 효과는 특히 <TEX>$OI\;989{\AA},\;NI\;1134{\AA},\;NI\;1200{\AA}$</TEX> 대기광에 크게 나타났다. 한편 STP78-1 위성이 관측한 위도별 <TEX>$OII\;834{\AA}$</TEX> 대기광과 비교했을 때 , AURIC 모델의 계산 값은 관측된 위도별 변화와 특히 중위도 지역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AURIC 모델 계산 시 사용되는 중성대기 모델 MSISE-90이 관측 당시에 진행된 오로라 폭풍에 의해 변화된 산소원자 밀도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논문에서 밝혀진 AURIC 모델의 EUV/FUV 대기광 계산의 문제점들은 향후 AURIC 모델의 개선에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657
  • 오수연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4, n.3
  • pp.219-226
  • 2007
  • 원문 바로보기
ACE 위성이 1997년부터 2000년까지 관측한 행성간 충격파들 중에서 WIND 위성에서 관측된 Type II 태양 전파 폭발에 의한 것으로 연관되어지는 행성간 충격파 31개를 선별하였다. 이들 행성간 충격파 발생과 관련된 Type II 전파 폭발이 관측된 후에 행성 간 충격파가 인공위성들에 의해 관측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행성간 충격파가 태양에서 지구까지 전달되는 전달속도를 구하였다. 이 속도와 ACE위성에서 실제 관측된 행성간 충격파의 진행속도를 비교하여 행성간 충격파의 태양 지구간 전파과정은 평균 가속도가 <TEX>$-1.02m/sec^2$</TEX>로 감속되는 과정임을 규명하였다. 더 나아가, 이로부터 행성간 충격파의 특성에 따른 행성간 충격파 전달 과정의 감속을 결정하는 가속도 값이 행성간 충격파의 진행속도나 마하수 등과 상관관계가 없음을 밝혀내었다.
658
  • 안상일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4, n.4
  • pp.397-408
  • 2007
  • 원문 바로보기
다이플렉서는 주파수가 다른 상향신호와 하향신호를 분리해서 하나의 안테나로 위성과 통신을 할 수 있게 해주는 핵심 장치이다. 이 논문에서는 저궤도 위성관제에 사용되는 S-대역 다이플렉서의 설계 및 제작에 대한 내용을 기술하고 있다. 높은 수용전력과 낮은 삽입손실의 요구에 대해 이 논문에서는 unloaded Q값이 높은 air cavity형 공진기를 사용하였다. 설계에 앞서 공진기의 구조로부터 이의 등가회로 및 unloaded Q를 산출하였다. 제작 및 조정의 용이성을 위해 공진기들 간의 결합량을 상용 전자장 시뮬레이터(EESOF <TEX>$ADS^{TM}$</TEX>)를 이용하여 분석한 후 이 결과를 2차 다항식으로 표현하였다. 특히 송신과 수신의 분리도를 강화하기 위해 유도성과 용량성 감쇄극을 각각 삽입하였고 이에 대한 효과를 기술하였다. 제작된 S-대역 다이플렉서는 8단의 공진기를 사용한 2개의 여파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측정을 통해 통과대역에서 0.5dB 미만의 삽입손실과 20dB 이상의 반사손실, 그리고 100dB 이상의 분리도의 성능요구사항을 만족하였다.
659
  • 정종균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4, n.4
  • pp.327-338
  • 2007
  • 원문 바로보기
보현산(<TEX>$36.2^{\circ}\;N,\;128.9^{\circ}\;E$</TEX>)의 전천카메라로 관측한 OI 557.7nm 밤대기광 방출선에 나타난 단주기 중량파의 운동량 플럭스가 산출되었다. 중량파의 고유위상속도(<TEX>$C_{int}$</TEX>), 고유주기(<TEX>${\tau}_{int}$</TEX>), 그리고 수직파장(<TEX>${\lambda}_z$</TEX>)는 전천 화상에서 도출된 수평파장(<TEX>${\lambda}_h$</TEX>), 관측파동주기(<TEX>${\tau}_{ob}$</TEX>), 진행방향(<TEX>${\phi}_{ob}$</TEX>), 관측위상속도(<TEX>${\upsilon}_{ob}$</TEX>)와 일본 Shigaraki(<TEX>$34.8^{\circ}\;N,\;13.1^{\circ}\;E$</TEX>) 페브리-페로 간섭계로부터 관측된 중성바람으로부터 유도되었다. 2002년부터 2006년까지 두 관측소의 기상 및 관측 장비 상태를 고려한 결과 총 5일이 분석 가능일로 선택되었다. 중량파 고유파동계수의 평균값은 <TEX>$({\tau}_{int})\;=\;12.9\;{\pm}\;6.1m/s,\;({\lambda}_z)\;=\;12.9\;{\pm}\;6.5,\;(C_{int})\;=\;40.6\;{\pm}\;11.6min$</TEX>으로 나타났다. <TEX>${\lambda}_z\;<\;6km$</TEX>인 경우를 제외하고 4일에 대한 계산된 운동량 플럭스의 값은 <TEX>$12.0{\pm}15.2m^2/s^2$</TEX>이다. 중간권 중량파의 전형적인 운동량 플럭스를 획득하기 위하여 전천 카메라와 중성바람을 측정할 수 있는 장비와의 장기간에 걸친 연계관측이 요구된다.
660
  • 박관동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4, n.3
  • pp.249-260
  • 2007
  • 원문 바로보기
한반도에서 발생하는 해양조석하중(OTL, Ocean Tide Leading)에 의한 지각변위는 수직방향으로 최대 <TEX>${\sim}3cm$</TEX>에 달한다. 현재 우주측지 기술로 성취할 수 있는 측위 정확도가 mm수준임을 고려할 때, cm 단위로 발생하는 OTL 지각변위 영향은 정밀하게 모델링하고 측위 시 보정해야할 대상이다. 이 연구에서는 먼저 OTL 지각변위 보정에 필요한 해양조석 모델들을 서로 비교하고 OTL 지각변위 예측 프로그램을 검증하였다. 경기만 지역의 경우 해양조석 모델에 따라 <TEX>${\sim}6mm$</TEX> RMS의 수직성분 지각변위 차이가 발생하였다. VLBI 천문대가 설치되는 서울, 울산, 서귀포에서의 OTL 지각변위를 분석한 결과 서귀포는 <TEX>${\sim}3.5cm$</TEX>, 서울과 울산은 <TEX>${\sim}2cm$</TEX> 진폭의 수직방향 지각변위가 예측되었다. 또한 GPS 자료 처리에서 OTL 지각변위 영향을 보정하지 않았을 경우 GPS Zenith Wet Delay(ZWD) 추정 값이 달라졌으며, OTL 지각변위와 ZWD간의 배율인자(scale facto.)는 3.72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