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모달창 닫기

한국우주과학회지

1984년 ~ 2025년까지 1,249 건한국우주과학회지를 계간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계간 (Quarterly)
  • ISSN : 1225-052x (ISSN : 1225-052x)
  • DB구축현황 : 1,249건 (DB Construction : 1,249 Articles)
안내사항
총 게시글 1,249 페이지 69/125
681
  • Chang Heon-Young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3, n.3
  • pp.167-176
  • 2006
  • 원문 바로보기
We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eak energy and the burst duration using available long GRB data with known redshift, whose circumburst medium type has been suggested via afterglow light curve modeling. We find that the peak energy and the burst duration of the observed GRBs are correlated both in the observer frame and in the GRB rest frame. For our total sample we obtain, for instance, the Spearman rank-order correlation values <TEX>${\sim}0.75\;and\;{\sim}0.65$</TEX> with the chance probabilities <TEX>$P=1.0{\times}10^{-3}\;and\;P=6.0{\times}10^{-3}$</TEX> in the observer frame and in the GRB rest frame, respectively. We note that taking the effects of the expanding universe into account reduces the value a bit. We further attempt to separate our GRB sample into the 'ISM' GRBs and the 'WIND' GRBs according to environment models inferred from the afterglow light curves and apply statistical tests, as one may expect that clues on the progenitor of GRBs can be deduced directly from prompt emission properties other than from the ambient environment surrounding GRBs. We find that two subsamples of GRBs show different correlation coefficients. That is, the Spearman rank-order correlation are <TEX>${\sim}0.65\;and\;{\sim}0.57$</TEX> for the 'ISM' GRBs and 'WIND' GRBs, respectively, after taking the effects of the expanding universe into account. It is not yet, however, statistically very much significant that the GRBS in two types of circumburst media show statistically characteristic behaviors, from which one may conclude that all the long bursts are not originated from a single progenitor population. A larger size of data is required to increas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682
  • 서정수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3, n.4
  • pp.415-424
  • 2006
  • 원문 바로보기
이 논문에서는 통신해양기상위성(COMS, Communications, Ocean and Meteorological Satellite)의 지상국 설계를 위하여 통신해양기상위성 기상탑재체(Ml, Meteorological Image)에 관한 기상청 요구사항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라 기상청 요구사항에서 제시된 위성 시야각을 만족하는 관측영역별 배포 영상의 크기를 결정하였으며, 결정된 관측영역의 영상의 크기를 기준으로 배포 영상의 정확한 위성시야각 및 크기를 계산하였다. 이 논문의 결과는 통신해양기상위성 지상국의 상세 설계에 적용되었으며, 향후 관측 스케줄, 사용자 데이터의 배포스케줄 설계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683
  • Sohn Y.J.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3, n.2
  • pp.91-96
  • 2006
  • 원문 바로보기
We use near-infrared observations of eight selected Galactic globular clusters to estimate their distances by comparing the observed and theoretically predicted K magnitudes of the red giant branch bumps and tips. The K magnitude levels of the RGB bump and tip have been measured from the luminosity function of the selected RGB stars in the clusters. Theoretical absolute <TEX>$M_k$</TEX> magnitudes of the RGB bump and tip are taken from the Yonsei-Yale isochrones. Comparing the observed apparent K magnitude with the derived absolute <TEX>$M_k$</TEX> magnitude, we calculate the distance moduli of the clusters. We discuss the dependency of the derived distance modulus on the cluster age and the uncertainty of the distance measurement from the near-infrared photometry of the RGB bump and tip.
684
  • 오수연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3, n.2
  • pp.117-126
  • 2006
  • 원문 바로보기
지상에서 우주선 측정기(NM, Neutron Monitor)로 관측되는 우주선 세기의 일변화는 일평균 값의 <TEX>$1{\sim}2%$</TEX> 정도의 진폭을 갖는 사인곡선의 형태를 보인다. 본 연구는 NM 관측소에서 우주선 일변화의 최대 및 최소 세기가 관측되는 지방시 변화의 통계적 경향 분석을 수행하였다. 우주선 일변화 최대 및 최소 세기 시각의 분포에 영향을 주는 우주선 중성자 관측소의 위치(cut-off rigidity)와 태양활동도의 영향을 분석해 보기 위해서 저위도 지방의 Haleakala(위도: 20.72N, cut-off rigidity: 12.91Gev)와 고위도 지방의 Oulu(위도: 65.05N, cut-off rigidity: 0.81Gev) 우주선 중성자 관측소의 1996년(태양활동 극소기) 및 2000년(태양활동 극대기) 우주선 관측 자료를 분석하였다. 태양활동 극대기의 우주선 일변화 최대 및 최소 세기 시각은 태양활동 극소기에 비해 약 <TEX>$2{\sim}3$</TEX>시간 정도 늦은 시각에 나타난다. 우주선 중성자 관측소의 위치 즉 위도별 분포(rigidity의 크기)에 따른 영향을 살펴보면, cut-off. rigidity가 Haleakala보다 작은 Oulu에서 우주선 일변화 최대 및 최소 세기 시각이 약 <TEX>$2{\sim}3$</TEX>시간 정도 늦게 나타나며, 이러한 현상은 극대기에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태양활동에 따른 행성간 자기장 세기의 변화와 위도에 따른 cut-off rigidity의 크기에 따라 우주선 세기 일변화 위상이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685
  • Oh, Hwa-Suk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3, n.4
  • pp.397-404
  • 2006
  • 원문 바로보기
Geometric singularity problems are principle difficulties of single-gimbal control moment gyros in spacecraft attitude control. To overcome these singularities, many steering logics have been studied. In this paper, a new null motion steering law is suggested, which is based on the minimization of the directional components of output torque with respect to the required torque. The suggested steering law has been simulated and verified to work well around several critical singular points which have been classified as testing points of avoidance algorithm in previous literatures.
686
  • Choi C.R.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3, n.3
  • pp.209-216
  • 2006
  • 원문 바로보기
Ion acoustic solitary wave in a plasma consisting of electrons and ions with an external magnetic field is reinvestigated using the Sagdeev's potential method. Although the Sagdeev potential has a singularity for n < 1, where n is the ion number density, we obtain new solitary wave solutions by expanding the Sagdeev potential up to <TEX>${\delta}n^4$</TEX> near n = 1. They are compressiv (rarefactive) waves and shock type solitary waves. These waves can exist all together as a superposed wave which may be used to explain what would be observed in the solar wind plasma. We compared our theoretical results with the data of the Freja satellite in the study of Wu et al. (1996). Also it is shown that these solitary waves propagate with a subsonic speed.
687
  • 이용삼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3, n.3
  • pp.289-302
  • 2006
  • 원문 바로보기
조선초기 세종대에 제작하여 사용한 규표를 복원하기위해 '세종실록'을 비롯한 조선시대의 문헌자료를 수집하여 원리와 구조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근거로 1/10로 축소 모형을 제작하고 설계도를 완성하였다. 규표의 구조는 규(圭), 용표(龍表), 횡량(橫梁), 또는 들보), 받침대로 구성되어 있다. 수직으로 세운 막대인 용표의 그림자가 수평으로 놓인 규면에 맺힐 때 눈금을 읽으면 된다. 이때 그림자 중심에 태양의 상을 맺히게 하는 영부를 사용하여 정밀하게 측정한다. 영부는 가운데 바늘구멍을 뚫은 작은 동판을 사용하여 바늘구멍 사진기와 샤임프러그 원리를 이용하여 태양의 영상을 맺히도록 한다.
688
  • 설경환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3, n.4
  • pp.435-444
  • 2006
  • 원문 바로보기
인공우주물체는 출현 시간이 비교적 짧고 운동 특성이 고정적이지 않기 때문에 한 번의 관측으로 측광 및 분광 데이터를 획득하기 어렵다. 따라서 인공우주물체의 측광 및 분광 동시 관측을 위해서 경희대학교 인공위성 추적 및 관측시스템에 다중 광학계를 탑재할 수 있는 가대를 설계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구조해석을 통해 다중 광학계 탑재 시에 개조된 가대의 변형을 계산하고 인공 우주물체 추적 및 관측 시 발생할 수 있는 가대의 지향오차를 추론하여 관측시야에서 인공우주물체를 안정적으로 추적할 수 있음을 보였다. 또한 등가응력 해석을 수행하여 가대의 구조적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689
  • Kim J.W.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3, n.2
  • pp.97-104
  • 2006
  • 원문 바로보기
From the BV images of the metal-poor globular cluster NGC 1904 obtained with the 2K CCD camera equipped on the BOAO 1.8m telescope, we construct (B - V, V) color-magnitude diagram of the cluster. The apparent V magnitudes of the RGB bump and tip have been measured from the luminosity function of the iteratively selected RGB stars in NGC 1904. Theoretical absolute <TEX>$M_v$</TEX> magnitudes of the RGB bump and tip are estimated using the Yonsei-Yale isochrones. The distance modulus of NGC 1904 has been derived by comparing the observed apparent V magnitude with the estimated absolute <TEX>$M_v$</TEX> magnitude of the RGB bump and tip.
690
  • 안상현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3, n.1
  • pp.55-70
  • 2006
  • 원문 바로보기
한국의 역사서에 속에는 혜성을 관측한 기록이 많이 있다. 우리는 그 가운데 조선 현종 5년 1664년 겨울에 나타난 혜성을 관측한 기록을 <성변측후단자>, <천변등록>, <승정원일기>, <조선왕조실록>에서 수집 정리하였다. 우리는 올버스(Olbers)의 방법을 사용하여 혜성의 예비 궤도 요소를 구하고, 그것을 이전의 연구들과 비교하였다 올버스의 방법에서는 혜성 궤도의 이심율 e=1인 포물선 케도로 가정한다 관측 자료를 사용하여 궤도를 계산한 결과, 근일점 거리 (perifocal distance) <TEX>$q=1.07\pm0.008AU$</TEX>, 근일점 통과 시간 <TEX>$T=2329165.50\pm0.72$</TEX>일, 승교점과 근일점의 이각(argument of the perifocus) <TEX>$\omega=318^{\circ}.2\pm2^{\circ}.29$</TEX>, 승교점 경도(longitude of the ascending node) <TEX>$\Omega=85^{\circ}.23\pm2^{\circ}53(J1665)$</TEX>, 궤도 경사(inclination) <TEX>$i=160^{\circ}.28\pm1^{|circ}.56$</TEX>를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