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모달창 닫기

한국우주과학회지

1984년 ~ 2025년까지 1,251 건한국우주과학회지를 계간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계간 (Quarterly)
  • ISSN : 1225-052x (ISSN : 1225-052x)
  • DB구축현황 : 1,251건 (DB Construction : 1,251 Articles)
안내사항
총 게시글 1,251 페이지 68/126
671
  • 김상혁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3, n.1
  • pp.71-90
  • 2006
  • 원문 바로보기
<TEX>$\ulcorner$</TEX>의기집설<TEX>$\lrcorner$</TEX>의 <혼천의설(渾天儀說)>, <혼천의제법(渾天儀製法)>에 이어서 이 논문에서는 <혼천의용법(渾天儀用法)>을 연구하였다. <혼천의용법(渾天儀用法)>의 원문을 해석하여 혼천의 의 설치, 관측 및 사용법, 천문이론과 계산방법 등을 15개 항목으로 정리하였다. 그리고 원문에서 제시하고 있는 그림을 이해하기 쉽도록 표현하였고 풀이과정을 상세히 기술하였다. 혼천의 사용법에서 소개하고 있는 천문학적 계산방법은 주로 구면 삼각법과 비례법을 이용하고 있으며, 천문학적 이론이나 계산과정을 체계적으로 자세히 다루고 있어 당시의 천문과학 수준을 알아 볼 수 있었다.
672
  • 송영주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3, n.4
  • pp.355-372
  • 2006
  • 원문 바로보기
이 논문에서는 KSLV-III(Korea Space Launch Vehicle-III)를 이용한 향후 우리나라의 화성 탐사 임무 설계를 제시한다. 우리나라 최초의 발사장인 '나로 우주센터(NARO Space Center)'를 발사장으로 가정하였으며, 현재 개발중인 KSLV 시리즈와 건설중인 우주센터의 완공기간 그리고 안정성 수립 기간을 고려하여 임무 수행 가능 기간을 약 2033년경으로 선정하였다. 화성 탐사 임무 수행시 각 단계에 따라 차별화 되어 요구되는 각종 기동(maneuver)의양 즉, 화성 천이(Trans Mars Injection, TMI)기동, 궤적 보정 기동(Trajectory Correction Maneuver, TCM), 화성 궤도 진입(Mars Orbit Insertion, MOI)기동 및 임무 수행 궤도를 이룩하기 위한 기동(Orbit Trim Maneuver, OTM)은 NPSOL 소프트웨어 이용하여 비선형 최적화 문제를 풀어 직접 산출하였다. 이렇게 산출된 최적 기동의 양을 바탕으로 KSLV-III를 이용하여 화성 탐사 임무를 수행할 경우에 대비, 구체적인 발사체 상단부(Upper stage)와 최대 탑재 가능한 탐사선의 질량에 대한 설계가 이루어졌다. 임무 설계 결과 향후 우리나라는 2033년 4월 16일 12시 17분 26초(UTC)부터 약 27분간 나로 우주센터에서 화성 탐사선을 발사 할 수 있다. 이때 최적의 기동량을 바탕으로 계산된 최대 가능 탐사선의 총 질량은 탑재되는 추력기의 비추력을 290초로 가정하였을 때 약 206kg(추진제: 109kg + 구조체: 97kg)이며, 발사체 상단부는 비추력 및 구조비를 290초와 0.15로 가정하였을 때 약 1293kg(추진제: 1099kg +구조체: 194kg)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최적의 기동량에 10%의 여유분을 고려한다면 탐사선은 약 148kg, 발사체 상단부는 약 1352kg의 질량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하여 제시된 각종 자료들은 향후 우리나라의 독자적인 화성 탐사선 개발을 위하여 많은 사전 정보를 제공해 줄 것이다.
673
  • 구철회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3, n.4
  • pp.445-452
  • 2006
  • 원문 바로보기
이 논문은 OBC와 위성 서브 컴포넌트와 같은 원격장비 사이의 데이터 접속을 근간으로 하는 위성 디지털 베이스 밴드의 개념설계를 기술한다. 본 개념설계에서는 OBC와 위성 원격장비 사이의 데이터 접속을 단일화하고 그 접속 단계를 계층화한 결과를 제시한다. 다른 형태의 시스템과의 비교를 수행하였으며, 이 개념에 의한 디지털 베이스 밴드의 장단점을 고찰하였다.
674
  • Sohn Y.J.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3, n.1
  • pp.1-10
  • 2006
  • 원문 바로보기
We report the photometric properties in BVR bands for the resolved bright supergiant stars in the dwarf galaxy Holmberg II. The color-magnitude diagrams and color-color diagram of 374 resolved stars indicate that the majority of the member stars are supergiant stars with a wide range of spectral type between B-K. A comparison with theoretical evolutionary tracks indicates that the supergiant stars in the observed field have progenitor masses between <TEX>${\sim}10M_{\bigodot}\;and\;20M_{\bigodot}$</TEX>. The exponent of luminosity function in V is in good agreement with those of the Small and Large Magellanic Clouds.
675
  • 정택서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3, n.1
  • pp.29-38
  • 2006
  • 원문 바로보기
이 논문에서는 통신해양기상위성 1호기의 영상위치유지를 위한 영상오차보상 알고리즘을 설계하였다. 영상오차보상 알고리즘은 관측영상의 위치결정 및 위치유지를 위한 INR시스템의 핵심요소이다. 궤도와 자세에 대한 다양한 섭동 때문에 위성체의 움직임에 변화가 생기고, 이로 인해 영상기의 포인팅 어긋남이 발생하며, 그 결과로 관측영상의 일그러짐이 유발된다. 포인팅 어긋남을 바로잡기 위하여 보정해 야할 스캔 거울의 각도를 GEOS 위성과 다른 방법으로 계산하였다. 새로 설계된 영상오차보상 알고리즘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미국의 기상위성 GOES의 INR시스템에 적용된 영상오차보상 알고리즘과 비교평가를 하였다. 설계된 영상오차보상 알고리즘은 영상기의 포인팅 어긋남을 효과적으로 보상함으로써 약 40% 이상의 지향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676
  • Chang Heon-Young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3, n.3
  • pp.199-208
  • 2006
  • 원문 바로보기
The terrestrial impact cratering record recently has been examined in the time domain by Chang & Moon (2005). It was found that the <TEX>${\sim}26$</TEX> Myr periodicity in the impact cratering rate exists over the last <TEX>${\sim}250$</TEX> Myrs. Such a periodicity can be found regardless of the lower limit of the diameter up to D <TEX>${\sim}35km$</TEX>. It immediately called pros and cons. The aim of this paper is two-fold: (1) to test if reported periodicities can be obtained with an independent method, (2) to see, as attempted earlier, if the phase is modulated. To achieve these goals we employ the time/frequency analysis and for the first time apply this method to the terrestrial impact cratering records. We have confirmed that without exceptions noticeable peaks appear around <TEX>${\sim}25$</TEX> Myr, corresponding to a frequency of <TEX>${\sim}0.04(Myr)^{-1}$</TEX>. We also find periodicities in the data base including small impact craters, which are longer. Though the time/frequency analysis allows us to observe directly phase variations, we cannot find any indications of such changes. Instead, modes display slow variations of power in time. The time/frequency analysis shows a nonstationary behavior of the modes. The power can grow from just above the noise level and then decrease back to its initial level in a time of order of 10 Myrs.
677
  • 이은희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3, n.2
  • pp.135-142
  • 2006
  • 원문 바로보기
흑점수와 오로라의 관측 자료를 과거로 연장해 보면 dynamo 이론과 태양의 활동 그리고 기후간에 상당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흑점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던 Maunder 극소기가 이상 혹한기였던 유럽의 소빙하기와 일치하고, 흑점의 출현과 오로라 발생 사이에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이에 따라 Maunder 극소기 시기의 흑점과 오로라의 관측 자료들을 간접적 solar proxy 자료들과 함께 조사하고, 이 시기에 나타난 태양 활동의 모습과 특징을 기후변화의 관계와 함께 알아보았다.
678
  • 곽영희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3, n.4
  • pp.345-354
  • 2006
  • 원문 바로보기
지난 20여년간 우주 측지 기술 발달에 힘입어 한반도지역이 유라시아판과는 독립적인 아무르(Amur)라고 하는 작은 지각판에 속해있다는 가설이 논의되어 오고 있다. 지금까지 아무르판의 운동을 추정하기 위해 GPS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연구들이 몇몇 있었으나 이 논문에서 보이고 있듯이 그 GPS 결과들이 서로 잘 일치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국내 GPS 관측국 데이터를 이용한 판 운동 파라미터의 추정결과 또한 여러 연구결과들과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GPS해석결과를 판별하기 위해서는 GPS와는 독립적인 우주 측지 관측이 필요하다 앞으로 및 몇년 이내에 국내에 4개의 VLBI 관측국이 설치될 것이다. 국내 VLBI 관측국 사이의 기선이 일반적인 VLBI 관측 기선보다 짧다고 여겨질 수 있겠지만 이 논문의 북미판상의 기선이 짧은 작은 VLBI 어레이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에서 보이고 있듯이 작은 크기의 어레이도 지각판 운동파라미터를 충분히 결정할 수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일반적인 VLBI관측오차를 가정하여 아무르판 운동 파라미터 결정의 정확도를 추산하였다. 관측국 이동속도의 관측 정밀도가 0.2mm-0.5mm/y정도에 이를 경우 그 결과는 GPS를 이용하였던 이전의 아무르판 운동연구 결과를 판별할 수 있을 것이고 아무르 플레이트의 존재여부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679
  • 최병규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3, n.3
  • pp.237-244
  • 2006
  • 원문 바로보기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운영중인 9개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상시관측소 데이터를 이용하여 한반도 상공의 고도에 따른 전리층 내의 전자밀도 분포를 산출하였다. 전리층의 전자 밀도를 정밀하게 추정하기 위해 이중주파수(L1,L2) 데이터가 사용되었고, 2차원 총전자수(Total Electron Contents, TEC)값을 기반으로 정밀한 전자 밀도 분포를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토모그래피 모델개발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Inversion 기법 중의 하나인 ART(Algebraic Reconstruction Technique)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적 GPS 관측망을 활용하여 시간에 따른 한반도 상공의 전자밀도 분포 유형을 제시하였고, GPS에 의한 전리층 재구성으로 얻어진 전자밀도 유형을 경험적 모델인 IRI-2001에 의해 계산된 값과 관측으로부터 얻어진 Ionosonde 관측값을 서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GPS 재구성에 의한 전자밀도 분포 유형이 Ionosonde에 의한 관측값과 잘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680
  • 이미현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3, n.1
  • pp.39-54
  • 2006
  • 원문 바로보기
HAUSAT-2는 한국항공대학교 우주시스템 연구실에서 개발하고 있는 25kg급의 소형위성 이다. 위성의 시스템과 부품의 안정적인 작동을 확인하기 위하여 위성의 시스템과 박스모듈 그리고 전장보드 수준에서 열해석을 수행하였다. 시스템과 박스-레벨 열해석에 적용한 열 모델링은 HAUSAT-2 구조-열 모델의 열진공/균형 시험을 통하여 검증 및 보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주요 소자를 직접 모델링하는 방법의 보드-레벨 열해석 방법론을 제안하고, 그에 따른 결과 분석 및 타당성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