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모달창 닫기

한국우주과학회지

1984년 ~ 2025년까지 1,253 건한국우주과학회지를 계간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계간 (Quarterly)
  • ISSN : 1225-052x (ISSN : 1225-052x)
  • DB구축현황 : 1,253건 (DB Construction : 1,253 Articles)
안내사항
총 게시글 1,253 페이지 61/126
601
  • 김남균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5, n.2
  • pp.181-198
  • 2008
  • 원문 바로보기
최근 들어 소형의 저궤도 위성들을 이용해서 특정 지역을 관측하기 위한 위성군의 궤도를 설계하는 것의 중요성이 점점 부각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Walker 위성군 설계 방법은 전 지구영역 관측에는 적당하지만 부분적인 지역 관측에는 효율성이 떨어진다. 이 논문에서는 한반도를 효율적으로 관측하기 위한 최적의 위성군 궤도 설계 방법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원궤도 중 지표면 반복궤도를 이용하여 위성군을 이루고 있는 위성들의 궤도요소를 직접 조절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관측 목표 지역에 대해 최소한의 위성을 이용하여 관측 공백시간을 최소화하고 관측시간은 최대화하는 궤도요소를 산출하여 위성군 궤도를 설계하였다. 위성군 설계 결과, 저궤도 위성을 이용하였을 경우, 관측 가능한 최소 고도각을 12도로 가정하였을 때 한반도 지역의 관측을 효율적(관측 공백시간은 1시간 이내로 하면서 최대의 관측시간을 보장)으로 하려면 최소한 4대의 위성이 필요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그리고 이 연구에서 제시된 방법이 Walker 방법보다 더 효율적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서 개발된 알고리즘은 향후 우리나라가 실제로 위성군을 운영하고자 할 때 사전 임무 설계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602
  • 노수련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5, n.4
  • pp.383-394
  • 2008
  • 원문 바로보기
코로나질량방출(CMEs)의 지구영향도를 효율적으로 예측하기 위해 속도가 빠른 CMEs의 방향지시 매개인수(parameter)를 조사하여 Dst 지수 최소값과의 상관관계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이 매개인수 중 어떤 매개인수가 예측 효율성이 높은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SOHO/LASCO 목록에서 CMEs의 속도가 1000km/s 이상, CMEs발생 위치가 태양 중심에서 <TEX>${\pm}30^{\circ}$</TEX> 이내에 위치한 혜일로(halo) CMEs를 사용하였다. 이 CMEs가 태양에서 발생하여 지구에 도착하는 시각을 모델을 이용하여 예측한 뒤 이 시각에 가장 가까운(24시간 이내) Dst 지수 최소값을 구하였다. 이를 통해 CMEs의 지구 영향도를 판별하였다. 전체 30개의 사건 중 22개(73%)가 지자기 폭풍을 일으켰다. 우리는 CMEs의 지구 영향도를 예측하기 위해 기존의 방향 매개인수와 이번 연구에서 새롭게 제안한 이심을, 이동거리, 중심각 매개인수를 사용하였다. 이들 매개인수와 Dst 지수 최소값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상관계수 값을 알아보고 그 결과를 통해 어떤 매개인수가 CMEs의 지구 영향도 예측 효율이 높은지 비교하였다. 그 결과 이심율 매개인수가 가장 좋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방향 매개인수는 비교적 좋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동거리와 중심각 매개인수는 이심율과 방향 매개인수보다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하지만 이들 역시 강한 지자기 폭풍(Dst 지수 <TEX>${\leq}$</TEX>-200nT)의 경우에는 좋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방향 매개인수 값이 0.6 이상이고 이심율 매개인수 값이 0.4 이하이며 이동거리, 중심각 매개인수 값이 0.2 이하인 경우에는 강한 지자기 폭풍(Dst 지수 <TEX>${\leq}$</TEX>-200nT)이 일어날 확률이 아주 높음을 알 수 있었다. CMEs의 방향을 지시하는 매개인수는 CMEs의 지구 영향도를 판별하는데 유용하고 이를 복합적으로 고려한다면 예측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603
  • 김용복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5, n.4
  • pp.491-504
  • 2008
  • 원문 바로보기
태양센서는 인공위성의 자세제어에 필수적인 센서로서, 위성으로 입사되는 태양 빛의 방향을 측정하거나 위성이 태양을 보지 못하는 상태에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저궤도 인공위성용 저정밀 태양센서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하여, 비행모델 저정밀 태양센서를 개발하기 전에 태양센서 선행모델과 인증모델의 개발 과정 및 결과를 보여준다. 태양센서의 개발은 제작 특성상 공정의 명확성, 정밀성 그리고 많은 제작 경험을 필요로 한다. 이 논문에서는 선행모델과 인증모델을 개발함으로써, 공정의 명확성 및 정밀성을 갖도록 보완하였다. 따라서, 성능 요구 조건을 만족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604
  • 김용기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5, n.1
  • pp.61-70
  • 2008
  • 원문 바로보기
태양전파교란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의 일환으로 2.8GHz를 중심으로 500MHz주파수 대역을 수신할 수 있는 태양전파수신기를 제작하였다. 윤요나 등(2004)의 구동시스템을 이용하여 태양전파를 측정해본 결과 주변에 DMB 방송 및 청주국제공항 관제탑주파수등 태양전파측정을 방해하는 전파들을 발견하였다. 이 연구는 제작된 수신기의 성능을 점검하여 보고, 또 전파망원경이 설치된 충북 청주시의 충북대학교 주변의 2.8GHz 대역의 전파환경을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제 2.649GHz와 2.874GHz에서 너무 강한 전파 신호가 존재하여 태양전파 플럭스를 측정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파환경 측정자료를 분석해보고, 이 연구에서 제작한 수신기를 태양전파 교란 실시간 모니터링에 사용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살펴보았다. 천문학적으로 중요한 주파수대 역은 향후 잘 보호되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605
  • 조중현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5, n.1
  • pp.53-60
  • 2008
  • 원문 바로보기
갈릴레오 센서스테이션 유치 후보지에 대한 전파 환경 조사가 유럽 우주국(ESA)과 계약된 알카텔 알레니아사와 한국천문연구원의 우주측지연구부에 의해 제주 탐라대학교 한국 우주전파관측망(KVN) 사이트에서 2007년에 6월 21일부터 24일까지 이루어졌다. 세 개의 안테나 후보지의 갈릴레오 신호 대역의 전파 간섭에 대한 24시간 전 대역 및 대역내 관측, 정밀 측위, 다중경로 오차 조사가 이루어졌다. 이번 조사의 주목적은 2006년도에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수행한 조사 결과를 재점검하기 위한 것이다. 조사 결과의 예비분석과 전체적인 조사는 2007년 7월말까지 한국천문연구원와 ESA에 의해 공동수행 되었다.
606
  • 박인관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5, n.3
  • pp.283-290
  • 2008
  • 원문 바로보기
이 논문에서는 간섭계 구성의 기본이 되는 위성 간 상대위치 추정에 관한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검증하였다. 편대위성 간 상대위치 추정을 실시간으로 수행하기 위해 확장칼만필터 (EKF, Extended Kalman Filter)와 Unscented 칼만필터 (UKF, Unscented Kalman Filter) 를 사용하였다. 칼만 필터를 이용한 상태벡터 (state-vector)의 갱신(update)을 위한 관측 데이터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얻어진 GPS 위성 신호의 단일차분 (Single Difference)에 대한 값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알고리즘으로 추정된 편대위성 간 상대위치는 확장칼만필터와 Unscented 칼만필터 모두 참 값으로 가정한 STK(Satellite Tool Kit) 의 시뮬레이션된 관측 값에 대해 <TEX>${\pm}1m$</TEX> 이내의 오차로 수렴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두 종류의 칼만필터를 이용하여 상대위치 결정을 수행함으로써 비선 형성을 가지는 경우 Unscented 칼만필터의 성능이 상대적으로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607
  • 오연수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5, n.2
  • pp.149-156
  • 2008
  • 원문 바로보기
우주선 intensity가 갑작스럽게 감소하는 대표적인 현상인 Forbush Decrease(FD)는 행성간 충격파(Interplanetary shock), 자기 구름(Magnetic cloud)과 같은 태양풍 이벤트와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 FD 현상에 대해 태양풍 이벤트 중 자기구름이 어느 정도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1998-1999년의 2년 동안 발생한 44개의 자기 구름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44개 중 11개의 자기 구름이 FD 현상과 관련이 있었으며, 자기 구름 영역이나 자기구름과 관계된 행성간 충격파의 sheath 영역의 평균 자기장 세기, 자기장 교란도 그리고 태양풍 속도와 같은 행성간 자기장 및 태양풍의 물리적 특성이 FD 현상과의 관련성을 대표해준다는 것을 밝혀냈다. 특히, 행성간 충격파 sheath 영역의 자기장 및 태양풍의 물리량이 자기장 세기가 13nT, 자기장 교란도는 3nT, 및 태양풍 속도가 평균 550km/s 이상의 태양풍 이벤트에서 FD 발생에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608
  • Chang, Heon-Young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5, n.3
  • pp.239-244
  • 2008
  • 원문 바로보기
Two kinds of important issues on Titius-Bode's relation have been discussed up to now: one is if there is a simple mathematical relation between distances of natural bodies orbiting a central body, and the other is if there is any physical basis for such a relation. These may be tackled by answering a question whether Titius-Bode's relation is valid universally in exo-planetary systems. We have examined whether Titius Bode's relation is also applicable to exo-planetary systems by statistically studying the distribution of the ratio of rotational periods of two planets in an exo-planetary system, 55 Cnc, by comparing it with that derived from Titius-Bode's relation. We find that the distribution of the ratio of rotational periods of randomly chosen two planets in the 55 Cnc system is apparently inconsistent with that derived from Titius-Bode's relation. The probability that two data sets are drawn from the same distribution function is 50%. We also find that the Fourier power spectra show that the distribution of the semi-major axis of planets in the 55 Cnc system seems to be stretched. We conclude by pointing out that large numbers of planets should be examined to more convincingly explain the distribution of the distance of planetary formation regions.
609
  • Cho, Han-Cheol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5, n.3
  • pp.255-266
  • 2008
  • 원문 바로보기
The current paper presents application of a new analytic solution in general relative motion to spacecraft formation flying in an elliptic orbit. The calculus of variations is used to analytically find optimal trajectories and controls for the given problem. The inverse of the fundamental matrix associated with the dynamic equations is not required for the solution in the current study. It is verified that the optimal thrust vector is a function of the fundamental matrix of the given state equations. The cost function and the state vector during the reconfiguration can be analytically obtained as well. The results predict the form of optimal solutions in advance without having to solve the problem. Numerical simulation shows the brevity and the accuracy of the general analytic solutions developed in the current paper.
610
  • 최병규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5, n.3
  • pp.291-298
  • 2008
  • 원문 바로보기
민간과 상업응용분야의 성장과 함께 위치정보, 항법 그리고 시각정보를 제공하는 전지구 위성 항법시스템(GNSS)은 우리의 삶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사용자들의 요구사항을 맞추기 위해 10cm급의 정확도를 갖는 새로운 측위기술이 적용되고 있으며, 측위정확도는 더욱 향상 되어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GPS L1 수신기 사용자의 측위정확도 향상을 위해 두개의 GPS 기준국 (DAEJ, SUWN) 관측정보를 이용하였고, 한반도내 넓은 범위의 실험지역으로부터 얻어진 데이터를 자료처리 하였다. 결과적으로 이중 GPS 기준국에 의해 산출된 조합해가 단일 기준국에 의한 결과보다 향상된 위치정확도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