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모달창 닫기

한국우주과학회지

1984년 ~ 2025년까지 1,249 건한국우주과학회지를 계간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계간 (Quarterly)
  • ISSN : 1225-052x (ISSN : 1225-052x)
  • DB구축현황 : 1,249건 (DB Construction : 1,249 Articles)
안내사항
총 게시글 1,249 페이지 67/125
661
  • 정종균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4, n.4
  • pp.327-338
  • 2007
  • 원문 바로보기
보현산(<TEX>$36.2^{\circ}\;N,\;128.9^{\circ}\;E$</TEX>)의 전천카메라로 관측한 OI 557.7nm 밤대기광 방출선에 나타난 단주기 중량파의 운동량 플럭스가 산출되었다. 중량파의 고유위상속도(<TEX>$C_{int}$</TEX>), 고유주기(<TEX>${\tau}_{int}$</TEX>), 그리고 수직파장(<TEX>${\lambda}_z$</TEX>)는 전천 화상에서 도출된 수평파장(<TEX>${\lambda}_h$</TEX>), 관측파동주기(<TEX>${\tau}_{ob}$</TEX>), 진행방향(<TEX>${\phi}_{ob}$</TEX>), 관측위상속도(<TEX>${\upsilon}_{ob}$</TEX>)와 일본 Shigaraki(<TEX>$34.8^{\circ}\;N,\;13.1^{\circ}\;E$</TEX>) 페브리-페로 간섭계로부터 관측된 중성바람으로부터 유도되었다. 2002년부터 2006년까지 두 관측소의 기상 및 관측 장비 상태를 고려한 결과 총 5일이 분석 가능일로 선택되었다. 중량파 고유파동계수의 평균값은 <TEX>$({\tau}_{int})\;=\;12.9\;{\pm}\;6.1m/s,\;({\lambda}_z)\;=\;12.9\;{\pm}\;6.5,\;(C_{int})\;=\;40.6\;{\pm}\;11.6min$</TEX>으로 나타났다. <TEX>${\lambda}_z\;<\;6km$</TEX>인 경우를 제외하고 4일에 대한 계산된 운동량 플럭스의 값은 <TEX>$12.0{\pm}15.2m^2/s^2$</TEX>이다. 중간권 중량파의 전형적인 운동량 플럭스를 획득하기 위하여 전천 카메라와 중성바람을 측정할 수 있는 장비와의 장기간에 걸친 연계관측이 요구된다.
662
  • 이운섭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4, n.3
  • pp.235-248
  • 2007
  • 원문 바로보기
이 연구는 통신해양기상위성의 영상위치유지 (Image Navigation and Registration, INR) 시스템의 시뮬레이션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영상오차보상(Image Motion Compensation, IMC) 알고리즘의 성능을 비교분석 하였다. 통신해양기상위성 궤도와 자세 요소를 모델링 하고 궤도오차와 자세오차를 계산하여 이러한 궤도 및 자세오차가 영상왜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영상오차보상을 하지 않았을 경우와 GOES 위성의 영상오차보상 알고리즘을 적용하였을 경우, 그리고 선행 연구를 통해 개발되었던 개량된 영상오차보상 알고리즘을 적용하였을 경우의 영상들을 비교하여 각 알고리즘의 성능을 확인하였다. 개량된 영상오차보상 알고리즘은 GOES위성의 알고리즘보다 효율적으로 영상왜곡을 보상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통신해양기상위성의 INR시스템을 효과적으로 운용하고 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적 토대를 마련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663
  • 백정호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4, n.4
  • pp.275-284
  • 2007
  • 원문 바로보기
GPS 신호로부터 획득한 가강수량 정보를 실제 수치예보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1시간 이내 대기시간, 3mm 이내 수준의 정확도를 갖는 결과가 연속적으로 산출되어야 한다. 최근까지 국내에서는 IGS(International GNSS Service) 최종궤도력(final ephemeris)과 하루단위 GPS 자료를 처리하여 기존의 기상관측장비 측정결과와 비교 검증하는 연구가 주로 수행되어왔다. 최종궤도력을 사용할 경우 GPS 관측 후 3주 이후 이용 가능하며 하루 단위로 결과가 생성되므로 준 실시간 자료처리에는 부적합하다. 이 논문은 수치예보모델 자료동화가 가능하도록 1시간 이내 3mm 이내 수준 정밀도의 GPS 가강수량 결과를 산출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를 위해 IGS 초신속궤도력(ultra-rapid ephemeris)과 Sliding Window 기법을 이용하여 준 실시간 GPS 자료처리 전략을 수립하고 결과를 검증하였다. 사계절을 대표해서 2006년 1월, 4월, 7월, 10월의 1일부터 10일까지의 자료를 처리하였으며, GPS 상시관측과 라디오존데 관측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속초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비교결과 평균바이어스는 0.8mm, 표준편차는 1.7mm로 자료동화에 필요한 정확도인 3mm 수준의 이내의 결과와 평균 자료처리시간이 3분 43초로서 이 연구에서 수립한 준 실시간 GPS 자료처리전략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664
  • 유광선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4, n.2
  • pp.155-166
  • 2007
  • 원문 바로보기
우주환경의 주 요소인 고에너지 입자를 검출하기 위한 고분해능 전자 및 양성자 검출기를 설계하였다. 전자와 양성자의 flux는 궤도상의 위치나 태양활동에 따라 급격하게 변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높은 에너지 분해능으로 입자환경을 검출, 연구하기 위한 검출기의 개념설계를 시도하였으며, 이를 실제 우주환경에서 어느 정도의 성능을 가질 수 있는지를 예측하여 보았다. 또한, 높은 입자 플럭스에도 정상적인 측정이 가능할 수 있도록 FPGA를 이용한 병렬 처리 알고리즘을 고안하고 전산모사 기법을 통하여 성능을 평가하였다.
665
  • 이재민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4, n.1
  • pp.69-78
  • 2007
  • 원문 바로보기
Earth-Sun-Heliosphere Interactions Experiments(EARTHSHINE) 미션의 주 탑재체인 Albedo Monitor and Radiometer(Amon-Ra) 광학계는 최초로 제1 라그랑제 지점(Lagrange point 1) 주위의 혜일로(Halo) 궤도에 위치하여 태양 복사 활동 및 지구 반사율 변화를 1% 정확도 이내로 측정함으로서 현존하는 지구 반사율 추이의 모순을 해결할 수 있는 과학적 측정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에 이미 개발된 광학 성능 검증용 Amon-Ra 광학계의 가시광채널 시험 모델 및 광선 추적 기법을 이용한 통합적 광선 추적 end-to-end 과학 임무 성능 평가 수치 모사 기법을 확립하였으며, 개발된 기법을 이용하여 실제 제작된 Amon-Ra 광학계를 제1라그랑제 지점에 위치시키고 태양과 지구 밝기를 다양하게 변화시킨 후 광학계에 입사되는 에너지 복사량을 수치 모사로 측정하였다. 관측된 지구 및 태양 밝기로부터 지구 반사율 변환을 위하여 각 분포 모델(GLobal Angular Distribution Model, ADM)을 이용하였으며 수치 모사에 의한 지구 반사율 측정 결과를 Amon-Ra 광학계의 측정 오차 범위인 <TEX>${\pm}0.28%$</TEX>와 비교함으로서 개발된 end-to-end 성능 검증 기법의 계산 정밀도를 확인하였다. 이는 기존의 광학계 성능 검증법의 한계를 뛰어넘어 광학계 성능 평가를 실시간으로 검증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
666
  • 이성은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4, n.3
  • pp.227-234
  • 2007
  • 원문 바로보기
Sungrazing comet은 근일점이 태양에 매우 가까이 근접하는 혜성을 의미한다. 1996년부터 2007년 4월까지 약 1270여개의 sungrazing comet이 Solar and Heliospheric Observatory(SOHO) 위성에 의해 발견되었다. 현재 이들은 Kreutz, Meyer, Marsden, Kracht 1&2 group으로 나뉘며, 현재 약 85%가 Kreutz group에 속한다. 이 Kreutz group은 근일점이 대체로 태양 표면으로부터 <TEX>$2{\sim}3R_{\bigodot}$</TEX>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우리는 SOHO sungrazing comet의 근일점 분포에 대해 분석하였고, 지금가지 그룹으로 분류되지 못한 혜성 중에서 앞으로 그룹이 될 가능성이 있을 만큼 근일점이 가깝고 궤도가 비슷한 3쌍의 혜성[(C/2000 Y6, C/2000 Y7), (C/2000 V4, C/2001 T5), (C/2003 H6, C/2003 H7)]을 예비그룹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667
  • Kim, Yong-Gi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4, n.1
  • pp.45-54
  • 2007
  • 원문 바로보기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alactic magnetic field strength and the gas density has been revisited. A synchrotron continuum emission data at 408 MHz and HI column density provide a good data for such study. But it is difficult to separate the synchrotron emission from the observed 408MHz radio emission, because the 408MHz radio emission has the component from the HI layer, as well as many components from other origins. We have tried to substract the component which is probably not related with HI layer, and present the results. We show that the method presented here is a more refined method than that of Brown & Chang (1983, hearafter BC83) to find the above mentioned relationship, and discuss the existence of such relationship in our Galaxy.
668
  • 김록순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3, n.3
  • pp.227-236
  • 2006
  • 원문 바로보기
프랙탈 차원은 연속적으로 관측된 불규칙한 자료의 성질을 정량적으로 표현하는 파라메터이다. 본 연구에서는 프랙탈 차원을 이용하여 태양 흑점수의 불규칙한 변동을 분석하고 다가오는 태양주기의 최대흑점수를 예측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리는 SIDC(Solar Influences Data analysis Center)에서 제공하는 1850년부터 2004년까지의 일일흑점수를 이용하여 Higuchi의 방법으로 각 태양주기의 프랙탈 차원을 결정하고 같은 태양주기 동안의 최대 월평균 흑점수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프랙탈 차원과 최대 월평균 흑점수는 강한 역비례 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관계를 이용하여 태양활동 극소기부터 활동이 증가되는 기간인 4년동안의 흑점수만을 이용하여 프랙탈 차원을 구하고 다가올 극대기의 최대 월평균 흑점수를 예측한 결과 관측된 최대흑점수와 0.89의 좋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669
  • 김상혁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3, n.1
  • pp.71-90
  • 2006
  • 원문 바로보기
<TEX>$\ulcorner$</TEX>의기집설<TEX>$\lrcorner$</TEX>의 <혼천의설(渾天儀說)>, <혼천의제법(渾天儀製法)>에 이어서 이 논문에서는 <혼천의용법(渾天儀用法)>을 연구하였다. <혼천의용법(渾天儀用法)>의 원문을 해석하여 혼천의 의 설치, 관측 및 사용법, 천문이론과 계산방법 등을 15개 항목으로 정리하였다. 그리고 원문에서 제시하고 있는 그림을 이해하기 쉽도록 표현하였고 풀이과정을 상세히 기술하였다. 혼천의 사용법에서 소개하고 있는 천문학적 계산방법은 주로 구면 삼각법과 비례법을 이용하고 있으며, 천문학적 이론이나 계산과정을 체계적으로 자세히 다루고 있어 당시의 천문과학 수준을 알아 볼 수 있었다.
670
  • 송영주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3, n.4
  • pp.355-372
  • 2006
  • 원문 바로보기
이 논문에서는 KSLV-III(Korea Space Launch Vehicle-III)를 이용한 향후 우리나라의 화성 탐사 임무 설계를 제시한다. 우리나라 최초의 발사장인 '나로 우주센터(NARO Space Center)'를 발사장으로 가정하였으며, 현재 개발중인 KSLV 시리즈와 건설중인 우주센터의 완공기간 그리고 안정성 수립 기간을 고려하여 임무 수행 가능 기간을 약 2033년경으로 선정하였다. 화성 탐사 임무 수행시 각 단계에 따라 차별화 되어 요구되는 각종 기동(maneuver)의양 즉, 화성 천이(Trans Mars Injection, TMI)기동, 궤적 보정 기동(Trajectory Correction Maneuver, TCM), 화성 궤도 진입(Mars Orbit Insertion, MOI)기동 및 임무 수행 궤도를 이룩하기 위한 기동(Orbit Trim Maneuver, OTM)은 NPSOL 소프트웨어 이용하여 비선형 최적화 문제를 풀어 직접 산출하였다. 이렇게 산출된 최적 기동의 양을 바탕으로 KSLV-III를 이용하여 화성 탐사 임무를 수행할 경우에 대비, 구체적인 발사체 상단부(Upper stage)와 최대 탑재 가능한 탐사선의 질량에 대한 설계가 이루어졌다. 임무 설계 결과 향후 우리나라는 2033년 4월 16일 12시 17분 26초(UTC)부터 약 27분간 나로 우주센터에서 화성 탐사선을 발사 할 수 있다. 이때 최적의 기동량을 바탕으로 계산된 최대 가능 탐사선의 총 질량은 탑재되는 추력기의 비추력을 290초로 가정하였을 때 약 206kg(추진제: 109kg + 구조체: 97kg)이며, 발사체 상단부는 비추력 및 구조비를 290초와 0.15로 가정하였을 때 약 1293kg(추진제: 1099kg +구조체: 194kg)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최적의 기동량에 10%의 여유분을 고려한다면 탐사선은 약 148kg, 발사체 상단부는 약 1352kg의 질량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하여 제시된 각종 자료들은 향후 우리나라의 독자적인 화성 탐사선 개발을 위하여 많은 사전 정보를 제공해 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