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모달창 닫기

한국우주과학회지

1984년 ~ 2025년까지 1,249 건한국우주과학회지를 계간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계간 (Quarterly)
  • ISSN : 1225-052x (ISSN : 1225-052x)
  • DB구축현황 : 1,249건 (DB Construction : 1,249 Articles)
안내사항
총 게시글 1,249 페이지 64/125
631
  • 김희섭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4, n.4
  • pp.379-388
  • 2007
  • 원문 바로보기
위성 영상의 Modulation Transfer Function(MTF) 성능은 위성 영상 활용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성능 지표 중 하나이다. 이러한 이유로 위성이 발사된 이후 초기 운영 단계에서 지상 관측 영상을 이용하여 성능을 확인한다. 그러나 지상 관측 영상을 이용한 MTF 성능 측정 방법은 날씨나 구름 등의 관측 조건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이 논문에서는 위성 영상의 MTF 성능을 측정하는데 있어서 별을 사용하는 경우 필요한 시스템 요구사항과 위성 운영 개념을 도출하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 지상 관측용으로 설계된 위성을 이용한 별 관측 수행 가능성 분석과 별 관측 영상의 유효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 논문에서 제시한 별 관측을 위한 위성 운영 방법은 저궤도 지구 관측 위성 영상의 MTF 성능 확인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632
  • Kim, Hee-Jeong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4, n.2
  • pp.119-124
  • 2007
  • 원문 바로보기
The relation between substorm occurrences and HILDCAA events has been an issue. We have studied the association of particle injections with substorm onsets during HILDCAA intervals for the first half of year 2003. The examination of aurora images observed by IMAGE spacecraft and electron flux data measured by LANL satellites exhibits a close association of repetitive particle injections with substorm activity. We also find that HILDCAA events can occur equally frequently during slow speed solar wind streams as long as the interplanetary magnetic field exhibits Alfvenic wave feature.
633
  • 이병선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4, n.2
  • pp.145-154
  • 2007
  • 원문 바로보기
접촉 케플러 궤도요소로부터 변환된 NORAD TLE를 정지궤도 위성의 안테나 포인팅에 직접 사용하기 위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일주일에 한번씩 동서방향과 남북방향의 위치유지를 위한 궤도조정을 수행하고 하루에 두 번씩 추력기를 이용한 모멘텀 덤핑을 통해서 궤도가 계속 변하는 통신해양기상 위성에 대해서 변환된 NORAD TLE를 이용한 안테나 포인팅 오프셋 각을 계산하여 위성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지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변환된 NORAD TLE를 사용하여 위성 관제시스템의 안테나 포인팅에 관련된 인터페이스를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음을 보였다. 또한 이심률이 큰 천이궤도에 있어서 위성의 평균 근점각에 따른 변환된 NORAD TLE 값의 차이를 분석하여 천이궤도의 원지점 근처에서의 NORAD TLE 변환 값이 더 좋은 결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634
  • 이상곤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4, n.2
  • pp.179-194
  • 2007
  • 원문 바로보기
인공위성 전력계의 설계 및 분석은 위성 전체의 무게, 크기 및 성능을 결정하는 중요 변수로 작용한다. 위성체의 모든 타 부분체들은 전력계 설계의 영향을 받으며 특히 발사체 선정, 열 제어계 설계 및 구조계 설계의 경우 전력계의 성능 및 제한 조건 등 전력계 설계 결과에 매우 큰 영향을 받는다. 이 논문에서는 현재 국내에서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저궤도 위성의 전력계 설계를 위한 새로운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타 위성의 설계 자료를 이용한 개발된 프로그램의 성능 실험 결과를 기술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된 전력계 설계 프로그램은 전력계 사이징 뿐 아니라 궤도상에서의 전력계 성능을 예측하는데도 사용할 수 있음을 보였다.
635
  • 조중현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4, n.4
  • pp.315-326
  • 2007
  • 원문 바로보기
최근에 제안된, 이웃하는 타원 궤도의 상대운동에 대한 몇 가지 양함수형 해를 분석하였다. 이 해를 이용한 상대운동 결과를 일반 선형화 운동 방정식의 해석적 해와 비교했다. 수치계산 결과를 위한 초기 조건은 Hill-Clohessy-Wiltshire(HCW) 운동방정식에 의한 해의 역함수로 구했다. 기준 궤도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작은 이심률의 궤도 일 경우에는 타원 상대운동 궤도와 원 상대운동 궤도의 결과는 근접했다. 주위성의 궤도가 상대적으로 큰 이심률을 가질 경우에는, 기본 궤도로 원 궤도를 이용하는 HCW 운동방정식은 다른 타원 상대운동 궤도 방정식의 해보다 상대적으로 큰 오차를 갖는다.
636
  • Kang, A.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4, n.3
  • pp.203-208
  • 2007
  • 원문 바로보기
We report the distance modulus of nearby dwarf elliptical galaxy NGC 147 estimated from the Tip of Red-giant Branch (TRGB) method applying to the color-magnitude diagrams and luminosity functions in the near-infrared JHK bands. Apparent magnitudes of TRGBs in each band are obtained by applying Savitzky-Golay filter to the luminosity functions, and the theoretical absolute magnitudes are estimated from Yonsei-Yale isochrones. The derived values of distance modulus to NGC 147 are <TEX>$(m-M)=23.69{\pm}0.12,\;23.78{\pm}0.17,\;and\;23.85{\pm}0.22\;for\;J,\;H,\;and\;K$</TEX> bands, respectively. Distance modulus in bolometric magnitude is also derived as <TEX>$(m-M)=23.87{\pm}0.11$</TEX>. We compare the derived values of the TRGB distance modulus to NGC 147 in the near-infrared bands with the previous results in other bands.
637
  • 정장해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4, n.2
  • pp.99-110
  • 2007
  • 원문 바로보기
W UMa형 접촉쌍성 CC Com을 소백산 천문대에서 61cm 망원경과 2K CCD 카메라로 2002년 3월 3일부터 4월 3일까지 3일간 측광관측하여 총 824개의 관측점(<TEX>${\Delta}B$</TEX>: 206점, <TEX>${\Delta}V$</TEX>: 206점, <TEX>${\Delta}R$</TEX>: 206점, <TEX>${\Delta}I$</TEX>: 206점)을 얻었다. 우리의 관측점으로부터 9개의 새로운 극심시각(주극심: 6개, 부극심: 3개)을 산출하였다. 2004년 Wilson-Devinney(WD) 쌍성 모형 계산 프로그램으로 우리가 얻은 새로운 BVRI 광도곡선과 발표된 이중시선속도 곡선들을 결합하여 분석함으로서 CC Com의 제 물리요소를 새롭게 산출하였다. 광도곡선에 나타난 작은 비대칭을 반성에 고온 반점 2개를 도입하여 설명하였다.
638
  • 이용삼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4, n.2
  • pp.167-178
  • 2007
  • 원문 바로보기
국보 제230호 송이영(宋以穎)의 혼천시계(渾天時計)는 동아시아에 유일하게 현존하는 혼천시계로서 현재 보존 상태는 부품 일부가 훼손되고 유실되어 작동되지 않고 있다. 우리는 고려대학 박물관에 소장된 이 유물의 학술조사를 수행하여 혼천의 부분의 구조와 원리를 분석하고, 유실된 기계의 태양과 달의 구동장치를 복원하고, 각 부품과 장치를 제작 조립하여 혼천시계의 혼천의 부분의 작동모델을 복원함으로서 천체운행 장치를 작동하게 하였다.
639
  • 오세헌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4, n.4
  • pp.367-378
  • 2007
  • 원문 바로보기
천체관측용 고효율 CCD 카메라 시스템과 제어소프트웨어의 독자 개발의 시도로, 우리는 범용 CCD 카메라 시스템을 제작하고, 이를 Linux 운영체제 기반의 PC에서 병렬포트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 완료하였다. 이 소프트웨어는 우리가 개발한 카메라에 장착될 수 있는 KAF-0401E(<TEX>$768\;{\times}\;512$</TEX>), KAF-1602E(<TEX>$1536\;{\times}\;1024$</TEX>), KAF-3200E(<TEX>$2184\;{\times}\;1472$</TEX>) 등 세 가지 모델의 CCD 칩에 대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제작된 CCD 카메라를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개발된 소프트웨어는 CCD를 제어하는 부분과 온도와 셔터를 제어하는 부분의 두가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중, 온도와 셔터의 제어는 CCD 동작과 무관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독립적인 프로세스로 작동되며, 관측 시에는 Linux의 다중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통합 제어된다. 개발된 소프트웨어는 CCD 카메라를 수동 혹은 자동으로 구동할 수 있으며, 전천을 탐사하는 자동관측 시스템의 기상 모니터나 일반 천체관측 등에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시험 결과, KAF-0401E, KAF-1602E, KAF-3200E, 각각의 CCD에 대하여 약 15초, 64초, 134초 정도의 영상 읽기 시간이 소요되었으며, 이는 병렬포트 전송속도의 한계로 인한 것이다. 따라서 보다 넓은 수광영역을 가진 CCD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입출력 속도를 높일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USB 포트를 이용한 제어를 고려하고 있다.
640
  • 이재은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4, n.2
  • pp.135-144
  • 2007
  • 원문 바로보기
우주파편의 개수가 증대되면서 운용 중인 인공위성이 받을 수 있는 위험이 커지고 있다. 이 연구는 2007년 1월 11일에 발생한 중국의 FengYun 위성 격추사건과 관련하여 발생한 우주파편이 다목적 실용위성 3호에 미치게 될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폭발 후 발생한 FengYun 위성파편의 일부 관측자료를 바탕으로, 크기가 작아 관측이 안되는 파편들의 질량에 대한 생성개수를 추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FengYun 위성파편에 대한 공간밀도와 플럭스를 계산하였다. 또한 FengYun 위성 파편과 다목적실용위성과의 충동확률 및 손상확률을 분석하였다. 이 논문에서 개발된 모델을 사용하여 앞으로 우리나라에서 만들어질 위성들의 우주파편에 대한 위험도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