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모달창 닫기

1984년 ~ 2025년까지 1,249 건한국우주과학회지를 계간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계간 (Quarterly)
  • ISSN : 1225-052x (ISSN : 1225-052x)
  • DB구축현황 : 1,249건 (DB Construction : 1,249 Articles)
안내사항
총 게시글 1,249 페이지 63/125
621
  • 오시환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5, n.4
  • pp.481-490
  • 2008
  • 원문 바로보기
반작용휠은 인공위성의 기동 및 자세제어에 사용되는 주요 구동기 중의 하나로 회전체의 속도를 변화시켜 발생하는 토크로 위성의 자세제어를 수행하므로 정밀한 자세제어를 위해서는 정확한 회전속도의 측정이 요구된다. 타코 펄스를 이용한 고속 회전모터의 대표적인 속도 측정방법에는 Elapsed-time측정방법과 Pulse-count측정방법의 두 가지가 있으며 이 연구에서는 반작용휠의 속도 측정을 하는 동안 발생할 수 있는 속도 측정의 오차 및 정밀도를 두 가지 방법에 대해 분석, 비교하였다. 그 결과 Pulse-count측정방법은 반작용휠의 등속 구동 시 회전속도에 상관없는 일정한 오차를 가지는데 비해 Elapsed-time측정방법은 회전속도가 작을수록 오차가 줄어드나 저속일 때 오차가 현저히 커질 수 있음을 해석적으로 확인하였다.
622
  • 정성균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5, n.2
  • pp.227-238
  • 2008
  • 원문 바로보기
위성항법 지상국 기술은 위성으로부터 위성항법신호를 받아 위성항법신호를 감시하고 분석하며 위성에 보정정보를 업로드하는 기술로써 위성항법 인프라 구축에 매우 중요한 기술이며 여러 응용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이다. 이 중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 개발하고 있는 감시제어시스템은 GPS 및 갈릴레오 항법 위성으로부터 신호 감시 데이터를 수집하여 위성항법 제어센터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이다. 이 논문에서는 위성항법 지상국의 구성과 감시제어시스템의 목적 및 형상을 소개한 다음, 감시제어시스템의 적용 알고리즘을 소개하고 감시제어시스템의 예비설계를 기술하였다. 감시제어시스템은 데이터 수집, 데이터 포맷팅 및 저장, 데이터 오차 보정, 항법해 결정, 독립 품질 감시, 시스템 운용 및 유지 등의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감시제어시스템의 예비설계는 유스케이스 모델, 도메인 설계, 소프트웨어 구조설계,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조 설계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각 단계별 설계과정은 UML(Unified Modeling Language) 표준 방식에 따라 이루어졌다. 이 연구에서 설계된 감시제어시스템은 지상국의 운용 능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상세설계의 기초자료로 이용될 것이다.
623
  • Ahn, Byung-Ho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5, n.2
  • pp.129-138
  • 2008
  • 원문 바로보기
This study attempts to show how the geomagnetic indices, AU, AL and Dst, respond to the interplanetary parameters, more specifically, the solar wind electric field VBz during southward interplanetary magnetic field (IMF) period. The AU index does not seem to respond linearly to the variation of southward IMF. Only a noticeable correlation between the AU and VBz is shown during summer, when the ionospheric conductivity associated with the solar EUV radiation is high.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effect of electric field on the eastward electrojet intensification is only noticeable whenever the ionospheric conductivity is significantly enhanced during summer. Thus, one should be very cautious in employing the AU as a convection index during other seasons. The AL index shows a significantly high correlation with VBz regardless of season. Considering that the auroral electrojet is the combined result of electric field and ionospheric conductivity, the intensification of these two quantities seems to occur concurrently during southward IMF period. This suggests that the AL index behaves more like a convection index rather than a substorm index as far as hourly mean AL index is concerned. Contrary to the AU index, the AL index does not register the maximum value during summer for a given level of VBz. It has something to do with the findings that discrete auroras are suppressed in sunlight hemisphere (Newell et al. 1996), thus reducing the ionospheric conductivity during summer. As expected, the Dst index tends to become more negative as VBz gets intensified. However, the Dst index (nT) is less than or equal to 15VBz(mV/m) + 50(Bz < 0). It indicates that VBz determines the lower limit of the storm size, while another factor(s), possibly substorm, seems to get further involved in intensifying storms. Although it has not been examined in this study, the duration of southward IMF would also be a factor to be considered in determining the size of a storm.
624
  • 이용삼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5, n.3
  • pp.299-320
  • 2008
  • 원문 바로보기
당나라 때 사용하던 역법들과 우리나라삼국사기의 기록을 근거로 신라시대에 사용한 역법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특히 신라역법에 결정적 영향을 준 당(庸)나라 역법들을 시대순으로 살펴보고 신라시대에 사용한 것으로 보이는 역법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주로 신라시대 사용한 역법은 인덕력(麟德曆), 대연력(大衍曆), 선명력(宣明曆)등이 있음을 밝혔다. 아울러 당시 누각전(漏刻殿)에서 사용한 누각(漏刻)의 복원설계를 위해 삼국사기와 중국과 일본의 누각 관련 자료를 찾아 살펴본 결과 통일신라시대는 사급보상식부전루를 사용함을 알게 되었다. 중국 문헌과 일본 아스카사(비조사, 飛鳥寺)에 복원해 놓은 물시계 모델을 참고하여 신라시대에 사용한 물시계 종류와 구조를 대략 추측할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사급보상식루각 설계를 위해 파수호의 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양과 관의 직경에 따른 변화를 알아보는 유속 측정기를 직접 제작하여 실험하였다. 그리고 이 장치를 소개하고 실험 방법에서 얻어진 결과를 제시하고 신라시대 물시계의 사급보상식루각(四級補像式漏刻)의 개념 설계를 실시하였다. 이에 따라 신라의 역법에 근거하여 당시에 사용한 부전(浮箭)과 함께 복원 설계도를 완성하였다.
625
  • Kim, Khan-Hyuk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5, n.4
  • pp.375-382
  • 2008
  • 원문 바로보기
On August 31, 2001, <TEX>${\sim}$</TEX> 1705 - 1718 UT, Cluster was located near the midnight magnetotail, GSE (x, y, z) <TEX>${\sim}$</TEX> (-19, - 2,2) RE, and observed fast earthward flow bursts in the vicinity of the neutral sheet. They occurred while the tail magnetic field suddenly increased. Using simultaneous measurements in the solar wind, at geosynchronous orbit, and on the ground, it is confirmed that tail magnetic field enhancement is due to an increased solar wind pressure. In the neutral sheet region, strongly enhanced earthward flow bursts perpendicular to the local magnetic field <TEX>$(V_{{\perp}x})$</TEX> were observed. Auroral brightenings localized in the pre-midnight sector (<TEX>${\sim}$</TEX> 2200 - 2400 MLT) occurred during the interval of the <TEX>$V_{{\perp}x}$</TEX> enhancements. The <TEX>$V_{{\perp}x}$</TEX> bursts started <TEX>${\sim}$</TEX> 2 minutes before the onset of auroral brightenings. Our observations suggest that the earthward flow bursts are associated with tail reconnection directly driven by a solar wind pressure impulse and that <TEX>$V_{{\perp}x}$</TEX> caused localized auroral brightenings.
626
  • 안상일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4, n.4
  • pp.409-416
  • 2007
  • 원문 바로보기
이 논문에서는 톤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해양기상위성의 위성 거리 측정의 거리 측정 모호성 및 성능을 위성이 천이궤도(transfer-station)와 운용궤도(on-station)에서 운용될 경우를 고려하여 해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위성 거리 측정의 모호성은 사용하는 톤 신호의 주파수 비율이 낮고, 많은 톤 신호를 사용할수록 작아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동일한 톤 신호의 신호 대 잡음밀도 비에서는 작은 잡음 대역폭을 사용할수록 모호성 발생이 작아짐을 알 수 있었다. 요구된 통신해양기상위성의 거리 측정 성능을 위해서 천이궤도에서는 2Hz, 그리고 운용궤도에서는 1Hz 이하의 잡음 대역폭으로 운용하여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627
  • Bach, Kiehunn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4, n.1
  • pp.31-38
  • 2007
  • 원문 바로보기
We have investigated the evolutionary status of 85 Peg within the framework of standard evolutionary theory. 85 Peg has been known to be a visual and spectroscopic binary system in the solar neighborhood. In spite of the accurate information of the total mass (<TEX>${\sim}1.5M_{\odot}$</TEX>) and the distance (<TEX>${\sim}12pc$</TEX>) from the HIPPARCOS parallax, it has been undetermined an individual mass, therefore the evolved status of the system. Moreover, the coupled uncertainties of chemical composition and age, make matters worse in predicting an evolutionary status of the system. Nevertheless, we computed the various possible models for 85 Peg, and then calibrated stellar parameters by adjusting to the recent observational data. Our modelling computation has included recently updated input physics and stellar theory such as opacity, equation of state, and chemical diffusion. Through a statistical assessment, we have derived a confident parameter set as the best solution which minimized <TEX>$X^{2}$</TEX> within the observational error domain. Most of all, we found that 85 Peg is not a binary system but a triple system with an unseen companion 85 Peg <TEX>$B_{b}\;{\sim}0.16M_{\odot}$</TEX>. The aim of the present paper is (1) to provide a complete modelling of the stellar system based on the evolutionary theory, and (2) to constrain the physical dimensions such as mass, metallicity and age.
628
  • Jung, Youn-Kil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4, n.1
  • pp.1-30
  • 2007
  • 원문 바로보기
We present the Pre-Main Sequence (PMS) evolutionary tracks of stars with <TEX>$0.065{\sim}5.0M_{\odot}$</TEX>. The models were evolved from the PMS stellar birthline to the onset of hydrogen burning in the core. The convective turnover timescales which enables an observational test of theoretical model, particulary in the stellar dynamic activity, are also calculated. All models have Sun-like metal abundance, typically considered as the stars in the Galactic disk and the star formation region of Population I star. The convection phenomenon is treated by the usual mixing length approximation. All evolutionary tracks are available upon request.
629
  • Chang, Heon-Young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4, n.4
  • pp.261-268
  • 2007
  • 원문 바로보기
We have studied the temporal variation in the North-South asymmetry of the sunspot area during the period from 1874 to 2007. Though the 9-year periodicity is commonly reported, shorter periodicities is still under study. We employ the cepstrum analysis method to analyze the noisy power spectrum of the North-South asymmetry. We demonstrate that the cleaned power spectrum shows reduction of the spurious back-ground noise level. Some of short period peaks in the power spectrum disappear after deconvolution. It should be, however, pointed out that power spectrum might look less noisy because of a filtering process during deconvolution. We conclude by pointing out that a more sophisticate filtering algorithm is required to produce a precise and reliable periodicity estimate.
630
  • 김희섭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4, n.4
  • pp.379-388
  • 2007
  • 원문 바로보기
위성 영상의 Modulation Transfer Function(MTF) 성능은 위성 영상 활용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성능 지표 중 하나이다. 이러한 이유로 위성이 발사된 이후 초기 운영 단계에서 지상 관측 영상을 이용하여 성능을 확인한다. 그러나 지상 관측 영상을 이용한 MTF 성능 측정 방법은 날씨나 구름 등의 관측 조건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이 논문에서는 위성 영상의 MTF 성능을 측정하는데 있어서 별을 사용하는 경우 필요한 시스템 요구사항과 위성 운영 개념을 도출하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 지상 관측용으로 설계된 위성을 이용한 별 관측 수행 가능성 분석과 별 관측 영상의 유효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 논문에서 제시한 별 관측을 위한 위성 운영 방법은 저궤도 지구 관측 위성 영상의 MTF 성능 확인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