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모달창 닫기

한국우주과학회지

1984년 ~ 2025년까지 1,249 건한국우주과학회지를 계간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계간 (Quarterly)
  • ISSN : 1225-052x (ISSN : 1225-052x)
  • DB구축현황 : 1,249건 (DB Construction : 1,249 Articles)
안내사항
총 게시글 1,249 페이지 62/125
611
  • Kim, E.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5, n.4
  • pp.335-346
  • 2008
  • 원문 바로보기
Using the global total electron contents (TEC) measured by the TOPEX satellite from Aug. 1992 to Oct. 2005, we investigate the variations of the longitudinal wavenumber-4 (LW-4) structure in the equatorial anomaly (EA) crests with season, local time, and solar activity. Our study shows that the LW-4 structure in the EA crests (<TEX>$5{\sim}20^{\circ}$</TEX> MLAT in both hemispheres) has clear four peaks at fixed longitude sectors during the daytime for both equinoxes and June solstice. In spite of being called a wavelike structure, however, the magnitudes and spatial intervals of the four peaks are far from being the same or regular. After sunset, the four-peak structure begins to move eastward with gradual weakening in its amplitude during equinoxes and this weakening proceeds much faster during June solstice. Interestingly, the longitudinal variations during December solstice do not show clear four-peak structure. All these features of the LW-4 structure are almost the same for both low and high solar activity conditions although the ion densities are greatly enhanced from low to high solar activities. With the irrelevancy of the magnetic activity in the LW-4, this implies that the large changes of the upper atmospheric ion densitie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for ion-neutral interactions, have little effect on the formation of the LW-4 structure. On the other hand, we found that the monthly variation of the LW-4 is remarkably similar to that of the zonal component of wavenumber-3 diurnal tides at low latitudes, which implies that the lower atmospheric tidal forcing, transferred to the upper atmosphere, seems to have a dominant role in producing the LW-4 structure in the EA crests via the E-region dynamo.
612
  • 임현수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5, n.4
  • pp.471-480
  • 2008
  • 원문 바로보기
통신해양기상위성 송수신자료전처리시스템은 정지계도 기상/해양관측영상을 지상에서 수신하여 실시간 전처리를 수행하고, 처리된 영상과 기타 자료들을 국제권고 규격 형태로 위성을 통해 사용자들에게 배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국가 기상/해양위성센터와 위성운영센터 세 곳에 설치되어 24시간/365일 자동 운영될 예정이다. 서브시스템 레벨과 서브시스템간 접속 시험을 2008년 상반기에 완료하고 통합된 운영 환경에서 기능, 성능 및 운영 측면의 요구사항을 만족 여부를 검증하는 송수신자료전처리시스템의 통합시험을 수행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송수신자료전처리시스템의 통합시험 목적, 준비 과정, 주요 결과 등을 소개한다.
613
  • 곽영실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5, n.4
  • pp.415-424
  • 2008
  • 원문 바로보기
곽영실 등(2008)의 연구로부터 고위도 하부 열권의 평균 수평바람 형태는 발산적인 흐름보다는 회전적인 흐름에 더 강하게 지배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곽영실 등(2008)의 연구의 연장으로, 회전적인 흐름의 척도인 소용돌이도(vorticity)를 유지시켜주는 강제(forcing)항들을 정량화하고 서로 비교 분석함으로써, 고위도 하부 열권에서의 전체 수평 바람장의 강한 회전 흐름을 유발시키는 주된 물리적인 과정을 규명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미 국립대기연구소(NCAR)의 열권-이온권 전기역학적 대순환 모델(Thermosphere-ionosphere Electrodynamic General Circulation Model, TIEGCM)을 이용하였다. 고위도 하부 열권의 소용돌이의 변화를 결정하고 유지시켜 주는 주된 강제항은 이온항력(ion drag)항과 수평 이류(horizontal advection)항으로 확인되었다. 늘림(stretching)항 또한 뚜렷한 기여를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소용돌이도 강제에 대한 IMF의 영향이 고도 105-110km부근까지 뚜렷하게 나타남이 확인되었다.
614
  • 박용재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5, n.2
  • pp.167-180
  • 2008
  • 원문 바로보기
지구관측 영상위성의 해상도는 위성에 장착된 광학카메라의 Field of View(FOV)와 위성의 임무고도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카메라의 FOV가 고정된 경우 해상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은 위성의 임무고도를 낮추는 것이다. 하지만 저고도일수록 대기저항에 의한 위성의 고도감소가 크게 나타나고 이를 보정하기 위해 많은 연료가 필요하게 된다. 이 연구에서는 초저고도에 있는 위성의 임무도 유지를 위하여 필요한 연료량 산출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지구와 위성 간 2체 문제에 대기저항과 이를 보정하기 위만 주력을 고려하여 운동방정식을 세우고, Legendre-Gauss-Lobatto(LGL) points를 이용한 collocation method를 사용하였다. 지속적으로 임무고도를 유지하는 경우와 고도 상승하강 기동을 하여 임무고도를 대략 유지하는 경우에 대한 소모되는 연료량을 비하였다. 고도 상승하강 기동의 방법이 임무고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더 적은 연료를 소모하였다. 고도 상승하강 기동방법을 이용할 때 고도상승의 주기 변화로 얻어지는 연료이득은 작고, 태양활동 시기나 위성의 임무고도변화는 연료 사용에 큰 영향을 끼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여러 가지 조건에 대한 연료소모량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서 얻어진 알고리즘은 위성의 저고도 유지를 위한 연료량을 산정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며, 임무도 설정에 있어서도 원하는 해상도와 연료량을 고려하여 최상의 선택을 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615
  • Lee, Ki-Won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5, n.2
  • pp.199-226
  • 2008
  • 원문 바로보기
We investigate astronomical materials listed in the book of Bibliographie Coreenne written by Maurice Courant. He classified ancient Korean books into nine Divisions (部) and thirty six Classes (類), and published them as three volumes (ranging from 1894 to 1896) and one supplement (in 1901). In total, 3,821 books including astronomical ones are listed together with information on physical size, possessional place, bibliographical note, and so forth. Although this book is an essential one in the field of Korea bibliography and contains many astronomical materials such as Cheon-Mun-Ryu-Cho 天文類抄, Si-Heon-Seo 時憲書, and Cheon-Sang-Yeol-Cha-Bun-Ya-Ji-Do 天象列次分野之圖, it has not been well known to the public nor to astronomical society. Of 3,821 catalogues, we found that about 50 Items (種) are related to astronomy or astrology, and verified that most of them are located in the Kyujanggak Royal Library 奎章閣. We also found an unknown astronomical chart, Hon-Cheon-Chong-Seong-Yeol-Cha-Bun-Ya-Ji-Do 渾天總星列次分野之圖. Because those astronomical materials are not well known to international astronomical community and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the materials in Korea, we here introduce and review them, particularly with the astronomical viewpoint.
616
  • 박덕종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5, n.4
  • pp.459-470
  • 2008
  • 원문 바로보기
DATS는 IDACS시스템을 구성하는 3개의 서브시스템중의 하나로써 통신해양기상위성과의 RF통신링크를 통해 L-대역의 Sensor Data, LRIT, HRIT의 수신 및 S-대역 LRIT, HRIT의 송신을 담당한다. 이 논문에는 DATS의 구축 후 위성과의 접속에 필요한 기능 및 성능을 확인하는 시험 구성이 제안되어 있고 실제 수행된 결과들이 정리되어 있다. 우선 성능 확인을 위해 태양을 이용하여 G/T 및 EIRP를 측정하였고 요구되는 사양이 만족됨을 확인하였다. 기능 확인을 위해 RF loop-back test를 수행하여 DATS내부에서 MODEM/BB의 implementation loss외에는 BER열화 요인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13m 안테나와 연동하여 일본의 기상위성인 MTSAT-1R로부터 사용자 데이터인 LRIT와 HRIT를 수신 받아 영상을 복원함으로써 L-대역의 수신기능을 검증하였다. S-대역 송신 기능은 13m 안테나의 외부에 시험용 안테나를 설치하고 이로부터 S-대역 LRIT와 HRIT의 스펙트럼을 획득함으로써 확인하였다. 수행된 시험결과를 통해 DATS는 발사 후 L-대역과 S-대역을 통해 위성과 통신을 함에 있어 필요한 기능 및 성능을 만족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617
  • 강영운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5, n.2
  • pp.77-86
  • 2008
  • 원문 바로보기
EROS, MACHO, OGLE 등 대규모 탐사관측으로 외부은하에서 식쌍성의 발견은 물론 식쌍성의 광도곡선이 대량으로 발표되고 있다. 식쌍성의 광도곡선은 별의 물리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므로 대량으로 발표된 식쌍성의 광도곡선은 항상천문학 연구에 매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그러나 식쌍성의 광도 곡선을 분석하는 작업은 많은 시간을 요한다. 이에 시간을 단축하여 광도곡선을 분석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소마젤란 은하에 있는 식쌍성중에서 측광학적으로 질량비를 유일하게 결정할 수 있는 20개의 식쌍성을 표본으로 선정하여 측광학적인 해를 구하였다.
618
  • 김혁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5, n.1
  • pp.1-18
  • 2008
  • 원문 바로보기
이 연구에서는 장주기 변광쌍성 <TEX>${\in}$</TEX> Aurigae의 주성에 대한 측광 관측자료를 바탕으로 그 별의 변광주기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1842년부터 2006년까지 약 160여년에 걸쳐서 여러 관측소에서 관측된 자료를 이용하였다. 식 바깥 부분의 자료를 선별하여 CLEANest와 Wavelet 알고리즘으로 주기를 분석한 결과 <TEX>${\in}$</TEX> Aurigae의 주성 F별은 시간에 따라서 진폭이 변하기는 하지만 몇개의 특정 주파수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진동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두 개의 주기(67일과 123일)가 지속적으로 나타난 것은 지금까지 부분적으로 주기를 구하였던 결과에서 주기가 시간에 따라서 불규칙하게 변한다고 판단되어졌던 것과는 달리 <TEX>${\in}$</TEX> Aurigae의 주성이 이중 모드 또는 다주기적 변광을 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고 하겠다. 이는 <TEX>${\in}$</TEX> Aurigae의 주성이 post-AGB의 단계에 있다기 보다는 질량이 큰 초거성 상태임을 암시하는 결과라고도 할 수 있다. 또한 황색 초거성의 변광기작에 대해 명확하게 이해되지 못하고 있는 현재의 입장에서 <TEX>${\in}$</TEX> Aurigae의 식 바깥부분에서의 추가적인 관측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619
  • 박미영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5, n.2
  • pp.139-148
  • 2008
  • 원문 바로보기
태양활동이 감소하는 시기에는 코로나 구멍(Coronal hole)과 관련된 고속 태양풍(High-speed stream)이 빈번하게 발생하는데, 고속 태양풍 기간 동안에는 서브스톰(Substorm)이 대략 <TEX>$2{\sim}4$</TEX>시간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발생한다. 이 연구에서는 태양활동이 감소하는 시기 중 2003년 후반기 즉, 7월부터 12월 사이의 고속 태양풍 기간 동안에 반복적으로 발생한 222건의 서브스톰을 선정하여 연속한 두 서브스톰 사이의 태양풍 에너지 유입 정도를 정량적으로 산출하였다. 이를 위해 Akasofe <TEX>${\varepsilon}$</TEX>-parameter를 인접한 두 서브스톰 발생시간에 대해 시간 적분하여 한 서브스톰이 발생 후 다음 서브스톰이 발생하기 전까지의 에너지 유입량을 산출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을 고속 태양풍 기간 동안에 반복적으로 발생한 222건의 서브스톰에 대해 적용하여 통계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로서 두 서브스톰 사이의 평균 태양풍 에너지 유입량은 <TEX>$1.28{\times}10^{14}J$</TEX>이고, 전체 서브스톰 이벤트 중 약 85%가 <TEX>$2{\times}10^{13}{\sim}2.3{\times}10^{14}J$</TEX> 범위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두 서브스톰 사이의 태양풍 에너지 유입량은 경우에 따라 상당히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보이며, 태양풍 에너지 유입량만으로 서브스톰이 발생하는 시점을 예측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고 생각된다. 더불어 이 논문에서는 연속적인 서브스톰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소에 대한 논의를 제공한다.
620
  • 오시환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5, n.4
  • pp.481-490
  • 2008
  • 원문 바로보기
반작용휠은 인공위성의 기동 및 자세제어에 사용되는 주요 구동기 중의 하나로 회전체의 속도를 변화시켜 발생하는 토크로 위성의 자세제어를 수행하므로 정밀한 자세제어를 위해서는 정확한 회전속도의 측정이 요구된다. 타코 펄스를 이용한 고속 회전모터의 대표적인 속도 측정방법에는 Elapsed-time측정방법과 Pulse-count측정방법의 두 가지가 있으며 이 연구에서는 반작용휠의 속도 측정을 하는 동안 발생할 수 있는 속도 측정의 오차 및 정밀도를 두 가지 방법에 대해 분석, 비교하였다. 그 결과 Pulse-count측정방법은 반작용휠의 등속 구동 시 회전속도에 상관없는 일정한 오차를 가지는데 비해 Elapsed-time측정방법은 회전속도가 작을수록 오차가 줄어드나 저속일 때 오차가 현저히 커질 수 있음을 해석적으로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