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모달창 닫기

한국우주과학회지

1984년 ~ 2025년까지 1,253 건한국우주과학회지를 계간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계간 (Quarterly)
  • ISSN : 1225-052x (ISSN : 1225-052x)
  • DB구축현황 : 1,253건 (DB Construction : 1,253 Articles)
안내사항
총 게시글 1,253 페이지 105/126
1041
  • 이대희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4, n.1
  • pp.80-86
  • 1997
  • 원문 바로보기
지구 주변의 방사선대에 존재하는 고에너지 입자들은 위성계의 전자 재료, 부품, 및 집적 회로 등에 일시적 또는 장기적인 영향을 준다. 따라서 이러한 고에너지 입자들에 의한 우주 방사선 환경에 대한 정보를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총 방사선의 양을 측정하는 장치로서 MOSFET을 개량한 RADFET을 많이 사용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TEX>$Co^{60}{\gamma}-ray$</TEX>를 이용하여 TOT500 RADFET을 보정하였다. 그 결과, 방사선에 대한 RADFET의 특성 곡선 변화가 온도의 변화에 매우 민감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우리별 1호에서의 TDERUF과를 위성의 온도와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TDE 실험에 나타난 특이한 형상은 지구에 의한 위성의 식 현상에서 비롯된 온도 변화가 주된 원인이었음을 확인하였다.
1042
  • 최기혁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4, n.1
  • pp.109-116
  • 1997
  • 원문 바로보기
중간권 계면(고도 85km)은 중간권과 열권의 경계면으로 활발한 유체역학적 운동과 화학반응에 의한 대기 발광현상이 일어나는 흥미로운 곳이다. 그러나 직접 측정의 어려우으로 그 동안 많은 연구가 있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간계면 87km 고도에서 발생하는 수산기의 대기발광(843mm)을 지상 파브리-페로 간섭계로 측정하여 도플러 온도와 바람 속도를 측정하였다. 2년간에 걸친 장기간의 연구로 이 곳의 계절적 온도 변화가 지상의 온도 변화와 반대 경향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남북.동서 방향의 바람 속도는 각각 연 1회, 연 2회 변화하는 것을 밝혀내었다. 이러한 온도와 바람의 계절적 변화는 대규모 반구간 대류 운동의 결과로 여겨진다.
1043
  • Rhee, Hwang-Jae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4, n.2
  • pp.269-274
  • 1997
  • 원문 바로보기
Langmuir probe was housed in the sounding rocket to test the probe's performance and to find the environmental parameters at the F layer of the ionosphere. The gold plated cylindrical probe had a length of 14㎝ and a diameter of 0.096 ㎝. The applied voltage to the probe consisted of 0.9 sec fixed positive bias followed by 0.1 sec of down/up sweep. This ensured that the probe swept through the probe's current-voltage characteristic at least once during 1 second quiescent periods enabling the electron temperature to be measured during the undisturbed times of the flight.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good agreement of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with IRI model at the lower F layer. In the upper layer, the experimental temperatures were 100-200K lower than the IRI model's because of the different geomagnetic conditions: averaged conditions were used in IRI model and specific conditions were reflected in the experiment.
1044
  • 강영운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4, n.2
  • pp.216-224
  • 1997
  • 원문 바로보기
산개성단 NGC 7209에 속한 쌍성 SS Lac에 대하여 원자외선 영역의 IUE 관측을 수행하였다. IUE 저 분산의 짧은 파장과 긴 파장 영역의 스펙트럼을 합성하여 에너지 분포 곡선을 완성하고 적색 화 현상을 제거한 후, Kurucz 항성대기 모델과 비교하여 SS Lac의 표면온도, gravity, abundance 등을 결정하였다. SS Lac의 식 현상이 중단되기 이전의 광도곡선을 분석하고, SS Lac의 가능한 거리를 구하여, SS Lac이 산개성단 NGC 7209의 구성원임을 확인하였다. 식이 중단된 이유는 충돌에 의한 합병보다는 제 3체에 의한 공전궤도 기울기의 변화가 더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1045
  • Kim, Jhoon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4, n.1
  • pp.87-93
  • 1997
  • 원문 바로보기
Radiometers in UV and visible wavelengths were onboard the Korean Sounding Rocket(KSR)-1 and 2 which were launched on June 4th and September 1st, 1993. These radiometers were designed to capture the solar radiation during the ascending period of the rocket flight. The purpose of the instrument was to measure the vertical profiles of stratospheric ozone densities. Since the instrument measured the solar radiation from the ground to its apogee, it is possible to investigate the altitude variation of the measured intensity and to estimate the effect of atmospheric scattering by comparing the UV and visible intensity. The visible channel was a reference because the 450-nm wavelength is in the atmospheric window region, where the solar radiation is transmitted through the atmosphere without being absorbed by other atmospheric gases. The use of 450-nm channel intensity as a reference should be limited to the altitude ranges above the certain altitudes, say 20 to 25km where the signals are not perturbed by atmospheric scattering effects.
1046
  • 우병삼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4, n.2
  • pp.386-394
  • 1997
  • 원문 바로보기
본 연구에서는 유연모드를 고려한 위성체 모델링 방법들을 소개하고, 이에 따라 3축 안정화 위성의 유연모드를 모델링하였다. 이 모델을 강체에 대해 설계되었던 반작용휠을 이용한 자세제어루프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한요소모델이 완성되기 전 단계에서 집합모드모델 중 전역모드모델을 이용하는 것을 제안하였고, 이를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계산된 모델과 제어기 필터 설계의 관점에서 비교하였다. 새로운 유연모드가 적용됨에 따라 제어기 요구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필터가 필요하여 반작용휠의 모터제어기 루프와 축제어기 루프에 각각 1차 필터를 설계하여 추가하였다. 제어루프 설계 및 시뮬레이션을 위해 MATLAB/Simulink를 사용하였다.
1047
  • Lee, Byoung-Sun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4, n.2
  • pp.355-366
  • 1997
  • 원문 바로보기
This paper presents a comprehensive analytical approach for determining key maneuver parameters associated with the acquisition and maintenance of the ground track for a low-earth orbit. A livearized model relating changes in the drift rate of the ground track directly to changes in the orbital semi-major axis is also developed. The effect of terrestrial atmospheric drag on the semi-major axis is also explored, being quantified through an analytical expression for the decay rate as a function of density. The non-singular Lagrange planetary equations, further simplified for nearly circular orbits, provide the desired relationships between the corrective in-plane impulsive velocity increments and the corresponding effects on the orbit elements. The resulting solution strategy offers excellent insight into the dynamics affecting the timing, magnitude, and frequency of these maneuvers. Simulations are executed for the ground track acquisition and maintenance maneuver as a pre-flight planning and analysis.
1048
  • 이용삼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4, n.2
  • pp.233-241
  • 1997
  • 원문 바로보기
충북대학교 천문대에서 1991년 10월부터 1993년 3월까지 총 42일간 근접쌍성 RZ Cas의 광전 측광 관측을 수행하여 UBV 광도곡선을 완성하였다. 제 1식심 의 광도곡선으로부터 8개의 제 1식심 시각 및 새로운 광도요소를 결정하였다. 우리의 광도곡선에서 제 1식심이 개기 식임을 확인하였고, 개기 식 지속시간이 평균 18.1분으로서 이 값은 약 <TEX>$0.^{p}01$</TEX>에 해당하는 값임을 알았다. Wilson Devinney 분석법을 사용하여 우리의 광도곡선과 Duerbeck & Hanel(1979)의 시선속도 곡선을 동시에 만족하는 RZ Cas 의 측광 및 분광학적 해를 구하고 이 값으로부터 이 쌍성 계의 절대량을 산출하였다.
1049
  • 윤재철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4, n.1
  • pp.136-141
  • 1997
  • 원문 바로보기
임의의 순간 인공위성의 위치와 속도를 정밀하게 계산하기 위해서는 섭동력을 일으키는 우주공간의 환경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분석하여 정량화함으로써 섭동력에 대한 수리적인 모형을 만들어야 한다. 이들 우주환경모델에 의해서 인공위성이 받는 총가속도는 2계 미분방정식으로 표현되며, 이 방정식을 두 번 적분함으로써 원하는 시각에서의 인공위성의 위치와 속도를 얻는 코웰방법을 사용하여 궤도예측 알고리즘을 완성하였다. 정지위성의 궤도에 미치는 주요한 섭동력으로는 지구의 비대칭 중력 포텐셜에 의한 섭동력, 태양과 달의 중력에 의한 섭동력, 태양의 복사압에 의한 섭동력들이 있는데, 그것들의 정밀성을 최대한 높이기 위해 spherical harmonic 계수들을 40 <TEX>$\times$</TEX> 40까지 적용할 수 있도록 했으며, JPL DE 403 ephemeris의 polynomial 내삽을 통해 지구로부터 태양과 달까지의 거리를 정밀하게 계산하였다. 그리고 수치적분 방법으로는 적분간격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8계 Runge-Kutta single step 방법을 사용하였다.
1050
  • 오규동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4, n.1
  • pp.33-43
  • 1997
  • 원문 바로보기
소백산 천문대의 61cm 망원경을 사용하여 1995년 10월부터 12월 사이의 10일 동안 CCD 측광관측에 의하여 EB형 식쌍성 V388 Cyg의 3색 (B, V&R)의 광도곡선을 얻었다. 새로운ㄴ 3색의 광도곡선을 Wilson-Devinney model에 동시에 적용하여 이 별의 궤도요소를 얻었다. 그 결과 현재로서는 V388 Cyg이 접촉형인지 준분리형인지를 판단하지 못하였다. 한편, 지금까지 발표된 이 별의 극심시각을 수집하여 주기변화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 일정한 주기 감소를 나타내는 <TEX>$-4.83{\times}10^{-10}$</TEX>의 2차 함수를 포함하는 새로운 광도요소를 계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