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모달창 닫기

한국우주과학회지

1984년 ~ 2025년까지 1,251 건한국우주과학회지를 계간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계간 (Quarterly)
  • ISSN : 1225-052x (ISSN : 1225-052x)
  • DB구축현황 : 1,251건 (DB Construction : 1,251 Articles)
안내사항
총 게시글 1,251 페이지 101/126
1001
  • 성숙경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5, n.2
  • pp.307-320
  • 1998
  • 원문 바로보기
다중 위성 관측을 이용하여 지구 근처에서의 태양물질 방출현상(CME: Coronal Mass Ejection)의 전파 속도와 방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1994년 11월까지 지구에 영향을 미친 CME 중에서 세 개 이상의 위성에서 관측되고 각 위성들이 충분한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는 1997년 1월 6-11일과 1997년 11월 4-7일의 두 CME 자료를 선택하였다. 위성들의 위치를 공통 좌표 계로 전환하여 위성간의 거리와 CME에 의한 물리량의 변화 시간을 조사하여 CME의 전파 방향과 속도를 계산하였다. 선택된 자료에 대한 조사 결과 지구 자기권 내부에서 CME 전파 속도가 급격히 줄어들었으며 또한 자기권 외부에서의 CME 전파 방향이 GSE 좌표계상의 -x 방향과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1002
  • Lee, Byeong-Seon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5, n.2
  • pp.417-425
  • 1998
  • 원문 바로보기
Monte Carlo analysis is performed for the first acquisition and tracking of the KOMP-SAT spacecrat in GSOC tracking station after separation from Taurus launch vehicle. The error bounds in position and velocity vector in Earth-fixed coordinate system at injection point are assumed based on the previous launch mission. Ten thousands injection orbital elements with normal distribution are generated and propagated for Monte Carlo analysis. The tracking antenna pointing errors at spacecraft rising time and closest approach time at German Space Operations Center(GSOC) Weiheim track-ing station are derived. Then the tracking antenna scanning angles are analyzed for acquisition and tracking of the KOMPSAT signal.
1003
  • 최영준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5, n.2
  • pp.321-333
  • 1998
  • 원문 바로보기
자외선 영역에서 별의 색 지수와 유효온도와의 상관관계를 구하기 위해서 118개의 IUE(Inter-national Ultraviolet Explorer) 표준성에 대해서 유효온도와 자외선 영역에서의 색 지수를 구하였다. 별의 유효온도는 IUE 저 분산 스펙트럼을 차등 보정 법을 이용하여 Kurucz 대기모델(1993)에 fitting하여 구하였고, 자외선 영역에서의 색 지수는 2750 <TEX>$\AA$</TEX>과 2950 <TEX>$\AA$</TEX>에서의 등급 차이로 정의하였다. Kurucz 대기모델(1993) fitting으로 구한 온도는 다른 논문(Malagnini & Morossi 1990, Malagnini et al. 1986)에서 구한 온도와 낮은 온도의 낮은 온도의 별을 제외하고 대체로 비슷하였으며, 자외선영역에서의 색 지수와 유효온동의 상관계 또한 Kurucz 대기모델에서의 결과와 비슷하게 나타났다.
1004
  • Gong, Hyeon-Cheol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5, n.1
  • pp.229-234
  • 1998
  • 원문 바로보기
We study on a terrain contour matching algorithm using Radial Basis Functions(RBFs) for aided inertial navigation system for position fixing aircraft, cruise missiles or re-entry vehicles. The parameter optimization technique is used for updating the parameters describing the characteristics of an area with modified Gaussian least square differential correction algorithm and the step size limitation filter according to the amount of updates. We have applied the algorithm for matching a sampled area with a target area supposed that the area data are available from Radar Terrain Sensor(RTS) and Reference Altitude Sensor(RAS)
1005
  • 유광선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5, n.2
  • pp.359-371
  • 1998
  • 원문 바로보기
본 연구에서는 원자외선 영역(<TEX>$900~1750AA$</TEX>)에서 오로라, 주/DIRKS 대기 광 관측 및 천문학적 관측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한 FUVS(Far Ultraviolet Spectrograph)를 설계하고,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FUVS의 설계는 에돌이발(grating)의 광학적 특성과 비구면 광학을 충분히 고려하여 이루어졌으며, 분해능 계산을 위해 ray-trace 방법과 파면수차 계산에 의한 방법을 사용하여 설계의 검증을 시도하였다. 두 가지 방법에 의한 결과가 오차범위 안에서 일치하여 분석 방법에 큰 문제점이 없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고, 전 영역에 걸쳐 대략 <TEX>$2~5AA$</TEX>의 분해능을 얻었다. 또한, FUVS의 수행 임무 중 가장 검출이 힘들 것으로 생각되는 고온의 성간 플라즈마에서 방출되는 선 방출의 검출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하여 FUVS의 최소 검출가능 플럭스(MDF)를 계산하였다. 이 계산을 위하여 지금까지 알려진 반사물질, MCP 등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였으며, 선의 세기에 따라 하루에서 일주일에 걸친 관측을 통해 고온의 성간 플라즈마에서 방출되는 선 방출을 검출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1006
  • Kim, Kyoung-Sook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5, n.1
  • pp.163-174
  • 1998
  • 원문 바로보기
To study the origin of organic matter in meteorite, terrestrial rocks which contain or-ganic compounds similar to the ones found in carbonaceous chondrites are studied and compared with Muchison meteorite. Hydrocarbon molecules were extracted by benzene and methanol from bituminous coal and oil shale and the extracts were partitioned into aliphatic, aromatic, and polar fractions by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Carbon isotopic ratios in each fractions were analysed by GC-C-IRMS. Molec-ular compound identifications were carried by GC-MS Engine. Bituminous coal and oil shale show the organic compound composition similar to that of meteorite. Oil shale has a wide range of <TEX>${\delta}^{13}C,-20.1%_0~-54.4%_0$</TEX> compared to bituminous coal, <TEX>$-25.2%_0~34.3%_0$</TEX>. Delta values of several molecular compounds in two terrestrial samples are different. They show several distinct distributions in isotopic ratios compared to those of meteorite; Murchison meteorite has a range of <TEX>${\delta}^13C\;from\;-13%_0\;to\;+30%_0$</TEX>. These results provide interpretation for the source and the formation condition of each rock, in particular alteration and migration processes of organic matter. Especially, they show an important clue whether some hydrocarbon molecules observed in meteorite are indigenous or not.
1007
  • Rhee, Myung-Hyun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5, n.1
  • pp.49-52
  • 1998
  • 원문 바로보기
We show quantitatively whether giant elliptical galaxies would be visible at for UV wavelenghts if they were placed at moderate red shift of 0.4-0.5. On the basis of simple cosmological tests, we conclude that giant elliptical galaxies can be detectable up to the red shift of 0.4-0.5 in the proposed GALEX(Galaxy Evolution Explorer) Deep Imaging Survey. We also show that obtaining UV color index such as <TEX>$m_{1550}$</TEX> - V from upcoming GALEX and SDSS (Sloan Digital Sky Survey) observations should be feasible.
1008
  • 정종균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5, n.1
  • pp.139-150
  • 1998
  • 원문 바로보기
남극 세종 과학기지에 설치된 페브리-페로 간섭 계를 사용하여 지구 열권의 OI <TEX>$6300{\AA}$</TEX>밤 대기광을 1997년 3월부터 9월까지 관측하였다. 세종 기지는 지리적으로 고위도(<TEX>$62.22^{\circ}S,\;301.25^{\circ}E$</TEX>) 이지만 지자기 위치로는 중위도(<TEX>$50.62^{\circ}S,\;7.51^{\circ}E$</TEX>)에 위치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세종 과학기지의 위치는 태양과 지자기 활동에 대해서 남반구의 열권 온도를 측정하기에 전략적인 위치에 있다. 우리는 고위도 열권에서 태양과 지자기 활동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F10.7과 Kp 지수와 상관하여 관측된 온도를 분석하였다. 관측기간 동안 태양 활동은 저조 기였다. 측정된 온도는 어느 정도의 계절적 변화를 보이면서 600~1000K 사이에 분포하였으며 반 경험 모델인 VSH과 경험 모델인 MSIS-86에 의해 예측된 값보다는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1009
  • Oh, Kyu-Dong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5, n.1
  • pp.69-74
  • 1998
  • 원문 바로보기
Two colour(B & V) photoelectric observations of EB-type eclipsing binary GO Cyg were carried out for 15 nights during October and December 1996. Three new times of minimum derived from our own observations are presented. With these and previously published times, the period variation is studied, and a continuous period increase of <TEX>$dP/dt{\approx}1.51{\times}10^{-7}d/yr$</TEX> is estimated from the quadratic ephemeris.
1010
  • 강영운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5, n.1
  • pp.91-100
  • 1998
  • 원문 바로보기
자외선 영역에서 색지수와 유효온도의 상관관계를 구하기 위한 pilot project 로 25개의 표준상태에 대하여 유효온도와 색지수를 산출하였다. 유효온도는 자외선 영역의 IUE 저분산 스펙트럼의 에너지 분포 곡선을 Kurucx 모델과 비교하여 산출하였고, 자외선 색지수는 IUE 저분산 스펙트럼의 플럭스를 <TEX>$300{\AA}$</TEX> 단위로 적분하여 등급으로 환산하여 산출하였다. 자외선 영역으 상관관계는 가시관선 영역의 상관관계와 유사한 형태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