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모달창 닫기

한국우주과학회지

1984년 ~ 2025년까지 1,251 건한국우주과학회지를 계간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계간 (Quarterly)
  • ISSN : 1225-052x (ISSN : 1225-052x)
  • DB구축현황 : 1,251건 (DB Construction : 1,251 Articles)
안내사항
총 게시글 1,251 페이지 104/126
1031
  • 김수주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4, n.2
  • pp.297-311
  • 1997
  • 원문 바로보기
산소 기체(<TEX>$O_2$</TEX>)를 전기 방전에 의해 완전히 오존(<TEX>$O_3$</TEX>)으로 만든 후 <TEX>$30~150^{\circ}C$</TEX>범위의 온도에서 열분해 시켰다. 열분해 결과 얻어진 산소 기체를 동위원소 질량분석기로 분석하여 동위원소 분할효과를 측정하였다. 낮은 온도에서는 생성된 산소 기체가 오존에 의해 더 가벼우면서 질량에 의존하는 일반적인 동위원소 분할효과를 보이다가, <TEX>$110^{\circ}C$</TEX> 이상의 실험에서는 산소 기체가 더 무거워지면서 <TEX>$^{17}O$</TEX>와 <TEX>$^{18}O$</TEX>가 <TEX>$^{16}O$</TEX>에 비해 같은 양 만큼씩 많아지는 질량과 무관한 분할효과를 나타냈다. 같은 재질(파이렉스)의 반응 관을 이용한 연구들과 그 범위와 경향이 거의 일치하였다. 실험 결과를 이용하여 산소 생성 비율이 일정한 값이 되는 순간의 동위원소 분할 인자들에 대한 값을 최소자승 법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관측된 현상들은 오존의 열분해 메커니즘의 이해와 운석 및 성층권에서의 산소 동위원소의 질량에 무관한 분포에 대한 이해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1032
  • 김경미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4, n.1
  • pp.24-32
  • 1997
  • 원문 바로보기
Alfven파에 의한 항상풍을 가정하고 운동방정식을 수치적분하여 속도분포를 구하였다. 질량이 보존된다면 밀도분포 속도분포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므로 가정되는 초기 밀도 개수의 값에 따라 선윤곽이 변화하는 효과를 계산하였다. 실제적인 항성풍 모형을 계산하기 위해 Schroder(1986)의 관측과 잘 맞는 초기 밀도 개수 <TEX>$N_0=5.5{\times}10^{12}/cm^3$</TEX>의 경우와 <TEX>$N_0=10^9,10^{10},10^{11}/cm^3$</TEX>의 경우를 계산하였으며 초기 밀도 개수가 작을수록 속도분포가 급격하고 더 큰 종속도를 보였다. 또한 공전궤도위상 0.06과 0.78에서의 선윤곽을 계산하였고, <TEX>$N_0$</TEX>가 작을수록 더욱 강하고 좁은 흡수요소를 가졌으며 이로 인해 방출선의 극대가 청색편이되어 나타났다.
1033
  • 황승현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4, n.2
  • pp.312-319
  • 1997
  • 원문 바로보기
과학적 목적으로 탑재되는 자력계(magnetometer)는 지구 근접 우주환경을 관측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탑재 체이다. 우주환경의 직접적인 전자기적 변화는 자기장과 전기장의 측정으로 알 수 있다. 실제 관측에 있어서 전기장의 관측은 기술적으로 어렵지만 자기장은 비교적 관측이 용이하다. 따라서 자기장을 측정하는 자력계는 과학위성의 기본적인 탑재 체들의 하나로 인식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1998년 7월경에 발사 예정인 우리별 3호의 과학 탑재체인 fluxgate 자력계를 개발한 결과를 보고한다. 우리별 1, 2호에 탑재된 자력계는 단순히 위성의 자세 제어를 위해 제작되었으나, 우리별 3호에서는 자세 제어뿐만 아니라 우주과학 적인 측정을 위한 자력계가 탑재될 예정이다. 우리별 3호는 1998년 7월경에 발사 예정이며 고도는 720km, 궤도는 원형 태양 동기 궤도, 무게는 약 100kg, 전력은 최대 150W이다. 그리고 과학 탑재 체로는 우주복사영향 측정기(Radiation Effect Microelectronics), 고 에너지 입자 검출기 (High Energy Particle Telescope), 정밀 자력계(Scientific Magnetometer), 전자 온도 측정기(Electron Temperature Probe)가 있다. 우리별 3호에 탑재 예정인 정밀 자력계는 기본적으로 우리별 1, 2호에 탑재된 자력계의 회로를 추가 보정 하여 넓은 우주 공간에서 일어나는 자기장 변화 현상을 관측하기에 적절한 분해능인 5nT를 기준으로 개발하였다. 일본의 자력계 전문 회사인 Tierra Tecnica사에서 자력계의 보정(calibration)과 잡음 레벨 시험(noise level test)을 수행하였다.
1034
  • 권태영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4, n.2
  • pp.330-346
  • 1997
  • 원문 바로보기
다목적 실용위성 1호 (KOMPSAT I)는 지도 제작, 해양관측, 우주 과학실험 등에 활용할 태양도기 저궤도용 위성으로 1999년 8~9월에 발사될 예정이다. 본 위성에 탑재될 고해상도 전자광학 카메라(Electro-Optical Camera: EOC)의 주임무는 한반도 표준지도 제작을 위한 위성영상정보의 획득이다. EOC 센서는 가시광선 영역의 흑백 단일 채널(510~730mm)을 통해 수직 촬영 시 최소 15km 이상의 폭과 궤도 800km의 길이를 지상 해상도 6.6m로 촬영한다. 본 연구에서는 아리랑 1호의 한반도 통과 시각을 결정하기 위하여 한반도 지역에 있어 EOC 영상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태양 변수와 구름과 시정의 일변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동지의 경우 대략 오전 10시 30분 이후 태양 천장 각 의 <TEX>$70^{\circ}$</TEX>보다 작고, 예상되는 EOC 스펙트럼 밴드의 flux 값은 맑은 날씨 육지에서 약 <TEX>$2.4mW/cm^2$</TEX>보다 크다. 2) 낮 동안의 구름의 분포 (맑은 하늘의 분포)는 오전 11시경에 최소값(최대값)을 보이며, 비록 안개에 의한 악 시정의 발생 빈도는 정오로 갈수록 감소하나 맑은 하늘의 분포에 미치는 영향은 미약하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EOC 관측을 위해서는 다목적 실용위성 1호의 한반도 통과 시각을 오전 10시 30분에서 11시 30분 사이에서 결정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1035
  • Choi, C.S.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4, n.1
  • pp.18-23
  • 1997
  • 원문 바로보기
We present X-ray light curves and the energy spectra for two contact binaries SW Lac and W UMa, which are obtained from the ASCA(Advanced Satellite for Cosmology and Astrophysics) observations. We find that both sources show appreciable flux variations during the observatoins, and the variations are erratic and are not orbital-phase dependent. From a spectral analysis, we also find that the W UMa spectrum can be reproduced by a variable-abundance plasma model with a single temperature of <TEX>$T_1=6.8{\times}10^6K$</TEX>, while the SW Lac spectrum requires two different temperatures <TEX>$T_1=6.5{\times}10^6K$</TEX> and <TEX>$T_2=1.4{\times}10^7K$</TEX>.
1036
  • 황정선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4, n.2
  • pp.286-296
  • 1997
  • 원문 바로보기
EXOS-D(Akebono) 위성의 전기장 자료를 이용하여 자기유체 파동에 대해 조사하였다. EXOS-D 위성은 다른 위성들에 비해 비교 적 이심률이 큰 궤도를 돌고 있는데(근 지점 고도: 275km, 원지점 고도: 10,500km), 조사에서는 위성이 1989년 10월 원 지점 부근을 지나면서 측정한 자료(Magnetic Local Time이 9시에서 12시 사이, Magnetic Latitute는 <TEX>$-30^{\circ}$</TEX>에서 <TEX>$0^{\circ}$</TEX>사이에 해당)를 이용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L값이 약 2에서 3사이에 있는 자료를 이용하여 지자기 적도 부근에서의 자기유체 파동 현상에 대해 조사하였다. 여기에서 사용된 EXOS-D 위성의 전기장 자료는 8초마다 평균한 값이며, 주파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FFT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플라즈마 구 내부에서의 자기력선 공명현상과 지구 자기 구의 cavity mode를 확인 할 수 있었다.
1037
  • 정종균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4, n.1
  • pp.94-108
  • 1997
  • 원문 바로보기
열권 상부의 온도는 일반적으로 태양 활동에 따라 변화하며, 특히 고위도 지역에서는 지자기 활동에 의해서도 크게 변화된다. 본 연구에서는 장기간에 걸쳐 관측된 열권 온도를 이용하여 태양 활동 지수 및 지자기 활동 지수와의 상관 관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온도 자료는 미시간 대학에서 운용하고 있는 그린랜드의 두 관측소인 Thule Air Base(76.6<TEX>$^{\circ}$</TEX>N, 68.4<TEX>$^{\circ}$</TEX>W, Λ = 86<TEX>$^{\circ}$</TEX>)와 Strømfjord (67.0<TEX>$^{\circ}$</TEX>N,50.9<TEX>$^{\circ}$</TEX>W, Λ - 74<TEX>$^{\circ}$</TEX>)에서 측정된 것으로 두 곳 모두 지리적 뿐만 아니라 지자기적으로도 고위도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자료는 페브리-페로 간섭계를 이용하여 6300 <TEX>$\AA$</TEX> 대기광을 관측한 것이며 관측기간은 Thule Air Base 관측소는 1986~1991년, Søndre Strømfjord 관측소는 1986~1994년이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Thule 지역의 관측 온도와 태양 활동 지수와의 상관 관계는 3<TEX>$\leq$</TEX>Kp<TEX>$\leq$</TEX>4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며 Søndre Strøfjord 지역의 상관 관계는 Kp 지수가 커질수록 증가함을 보인다. (2) 전반적인 온도는 고위도 지역인 Thule 지역에서 높지만, 태양 활동 지수 변화에 따른 온도 변화의 증가율은 Søndre Strømfjord 지역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3) 겨울철 Thule 지역의 하루 온도 변화는 13-14 LT(LT=UT-4) 부근에 최대 온도를 가진 일일 주기(24hrs) 변화를 보이지만, 태양 활동이 미약한 경우에는 반일 주기 (12 hrs) 변화가 우세하게 나타났다. (4) 고층 대기분야에서 통용되는 MSIS86 모델과 VSH 모델은 여기서 분석된 관측치에 비해 전반적으로 낮은 온도를 예측하고 있으며, 이러한 차이는 특히 태양 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더욱 심해짐을 보였다. 따라서 보다 많은 관측 자료를 이용한 새로운 열권 모델의 개발이 시급하다고 생각된다.
1038
  • 강영운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4, n.2
  • pp.207-215
  • 1997
  • 원문 바로보기
우리 은하 안에서 암흑물질을 찾는 OGLE 프로젝트가 바데의 창에서 발견한 변광성 중에서 미 분류로 분류한 기타변광성들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기타변광성의 진화상태, 광도곡선의 형태, 그리고 공전주기에 따른 광도변화의 폭 등을 조사하였다. 기타변광성을 제외한 것들은 대부분 주 계열을 떠나 준거 성 혹은 거성에 속하고, 광도변화의 폭은 주기가 30일 이하에서는 급격히 감소하고, 주기가 30일 이상에서는 완만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도곡선의 형태를 태양 근방의 RS CVn 형 별들의 광도곡선과 비교한 결과 OGLE 기타변광성을 RS CVn 형 별들로 분류하였다.
1039
  • 이대희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4, n.1
  • pp.80-86
  • 1997
  • 원문 바로보기
지구 주변의 방사선대에 존재하는 고에너지 입자들은 위성계의 전자 재료, 부품, 및 집적 회로 등에 일시적 또는 장기적인 영향을 준다. 따라서 이러한 고에너지 입자들에 의한 우주 방사선 환경에 대한 정보를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총 방사선의 양을 측정하는 장치로서 MOSFET을 개량한 RADFET을 많이 사용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TEX>$Co^{60}{\gamma}-ray$</TEX>를 이용하여 TOT500 RADFET을 보정하였다. 그 결과, 방사선에 대한 RADFET의 특성 곡선 변화가 온도의 변화에 매우 민감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우리별 1호에서의 TDERUF과를 위성의 온도와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TDE 실험에 나타난 특이한 형상은 지구에 의한 위성의 식 현상에서 비롯된 온도 변화가 주된 원인이었음을 확인하였다.
1040
  • 최기혁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4, n.1
  • pp.109-116
  • 1997
  • 원문 바로보기
중간권 계면(고도 85km)은 중간권과 열권의 경계면으로 활발한 유체역학적 운동과 화학반응에 의한 대기 발광현상이 일어나는 흥미로운 곳이다. 그러나 직접 측정의 어려우으로 그 동안 많은 연구가 있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간계면 87km 고도에서 발생하는 수산기의 대기발광(843mm)을 지상 파브리-페로 간섭계로 측정하여 도플러 온도와 바람 속도를 측정하였다. 2년간에 걸친 장기간의 연구로 이 곳의 계절적 온도 변화가 지상의 온도 변화와 반대 경향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남북.동서 방향의 바람 속도는 각각 연 1회, 연 2회 변화하는 것을 밝혀내었다. 이러한 온도와 바람의 계절적 변화는 대규모 반구간 대류 운동의 결과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