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모달창 닫기

한국우주과학회지

1984년 ~ 2025년까지 1,251 건한국우주과학회지를 계간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계간 (Quarterly)
  • ISSN : 1225-052x (ISSN : 1225-052x)
  • DB구축현황 : 1,251건 (DB Construction : 1,251 Articles)
안내사항
총 게시글 1,251 페이지 102/126
1011
  • 한국우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5, n.2
  • pp.269-276
  • 1998
  • 원문 바로보기
1012
  • Kim, Yong-Gi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5, n.1
  • pp.65-68
  • 1998
  • 원문 바로보기
We construct the X-ray light curves of the W UMa type contact binary SS Arietis(HD12929) from the EXOSAT data in HEASARC data archive. The phase dependent X-ray light curves obtained by using the ephimeris of Kaluzny & Pojmanski of SS Ari is modulated on the orbital phase as in the case of other W UMa type binaries. Although a detailed analysis of these data is impossible because of the very low X-ray light curves in the context of the radiation in the corona region of W UMa type stars.
1013
  • 이재진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5, n.2
  • pp.401-415
  • 1998
  • 원문 바로보기
1998년 6월 11일 오전 10시(KST)에 태안 반도(37。N, 126。E)에서 발사된 국산 로켓 KSR-II는 73km에서 130km고도에 걸쳐 전자 밀도, 전자 온도, 부동 전위 등을 관측하는데 성공하였다. 이 지역은 이온 층의 E-region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전자 온도가 낮고 특히 Probe의 오염 효과에 의해 오차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전자 온도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를 얻기가 쉽지 않다. 본 실험에서 사용된 장비는 Langmuir Probe (LP)와 Electron Temperature Probe (ETP)로 두 가지 서로 다른 probe를 통해 얻은 전자 온도를 비교하여 검증된 전자 온도를 구할 수 있었다. 실험 결과 전자 밀도는 약 90km지점에서 급격히 증가하여 약 102km지점에서 최대 전자 밀도를 갖고 이 이상의 고도에서는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대 전자밀도가 110km에서 나타나는 IRI(International Reference Ionosphere)95-model이나 PIM(Parameterized Ionospheric Model)과 비교해 보면 다소 낮은 고도에서 최대 전자 밀도가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으며 측정된 값은 모델 계산에 비해 약간 큰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ETP로 측정된 전자 온도는 200<TEX>$^{\circ}$</TEX>K에서 700<TEX>$^{\circ}$</TEX>K에서 LP에 의한 교란 효과로 추정되는 요동현상을 보였으며 이를 제외하면 전자 온도가 고도에 따라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LP를 통해 구한 전자 온도는 125km이상의 고도에서 ETP를 통하여 구한 전자 온도와 어는 정도 일치한다는 점에서 신뢰할 만한 측정값을 얻었다고 판단된다.
1014
  • 우형제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5, n.2
  • pp.509-523
  • 1998
  • 원문 바로보기
군 통신위성 탑재 체의 개념모델(payload Concept Model; PCM) 연구는 실제 위성의 설계 및 제작 이전에 탑재 체를 지상에서 상용부품으로 구성하고 실제 위성과 가까운 통신전파 조건에서 시험하여 그 특성과 성능을 미리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통신 탑재 체 개념 모델을 구현하기 위한 기계구조물의 설계와 제작 과정을 기술하고 있다. 제작된 개념모델의 설계 조건의 만족여부를 검증하기 위하여 기본 RF 특성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시스템이 양호한 통신품질을 제공함과 정상적으로 작동됨이 확인되었다.
1015
  • 장영근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5, n.2
  • pp.459-473
  • 1998
  • 원문 바로보기
인공위성이 더욱 복잡해 감에 따라 예측할 수 없는 실패의 발생은 설계의 부적당성, 경험 부족, 문제인식 부족, 빈약한 품질제어 능력, 부적당한 시험 또는 작업자의 실수 등 때문에 늘어나고 이들은 위성의 임무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고에서는 위성의 일반적인 실패유형과 임무수명 인자에 대해 검토하고, 지구 및 해양관측 임무를 갖고 있는 태양동기 저궤도위성인 다목적 실용위성에 대한 임무수명인자를 조사하고 실제 예상되는 위성의 임무수명을 예측하였다. 임무수명의 예측 시 랜덤하게 발생하는 실패에 의한 수명의 중단은 예측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주로 예측이 가능한 마모에 의한 대표적인 임무수명 인자 예를 들어, 전력 버짓, 추진제 버짓, 배터리 충 방전 사이클, 복사환경의 영향, 탑재체의 신뢰도, 단일 점 실패, 위성 여유 분을 등을 조사하고 개략적인 수명을 예측하였다.
1016
  • 은종원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5, n.2
  • pp.485-497
  • 1998
  • 원문 바로보기
본 논문에서는 다목적 실용위성 관제시스템의 성능지표의 하나인 가용 도를 산출하기 위한 H/W 및 S/W 시스템 가용도의 수학적 모델 링을 제시하고, 직렬연결 시스템과 별렬 연결 시스템 그리고 이중화 시스템에 대한 가용도 산출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가용도 향상을 위한 이중화 방법에서 효율적인 스위치 선택방법을 기술하였으며, 다목적 실용위성 1호 관제시스템의 가용 도를 산출하였다. 가용도 분석 결과 비 이중화 시가용 도는 0.995216, 이중화 시가용도는 0.9955165, 관제시스템 실시간 운용 가용 도는 0.9963991로 분석되었다.
1017
  • Lee, Y.S.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5, n.1
  • pp.75-82
  • 1998
  • 원문 바로보기
A total of 842 observations (277 in B, 282 in V, and in R) for U Pegasi were made in October of 1996 at Mt. Sobaek Observatory. With our data we constructed the BVR light curves and determinded 5 times of minimum light. We also obtained physical parameters of the system by combined analysis of both light and radial velocity curves using the Wilson-Devinney code.
1018
  • Kuang, Jin-Lu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5, n.1
  • pp.209-220
  • 1998
  • 원문 바로보기
The stability problem of steady motion of a rigid body with multi-elastic appendages and multi-liquid-filled cavities, in the presence of no external forces or torque, is considered in this paper. The flexible appendages are modeled as the clamped -free-free-free rectangular plates, or/and as the discrete mass- spring sub-system. The motion of liquid in every single ellipsoidal cavity is modeled as the uniform vortex motion with a finite number of degrees of freedom. Assuming that stationary holonomic constraints imposed on the body allow its rotation about a spatially fixed axis, the equation of motion for such a systematic configuration can be very complex. It consists of a set of ordinary differential equations for the motion of the rigid body, the uniform rotation of the contained liquids, the motion of discrete elastic parts, and a set of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s for the elastic appendages supplemented by appropriate initial and boundary conditions. In addition, for such a hybrid system, under suitable assumptions, their equations of motion have four types of first integrals, i.e., energy and area, Helmholtz' constancy of liquid - vortexes, and the constant of the Poisson equation of motion. Chetaev's effective method for constructing Liapunov functions in the form of a set of first integrals of the equations of the perturbed motion is employed to investigate the sufficient stability conditions of steady motions of the complete system in the sense of Liapunov, i.e., with respect to the variables determining the motion of the solid body and to some quantities which define integrally the motion of flexible appendages. These sufficient conditions take into account the vortexes of the contained liquids, the vibration of the flexible components, and coupling among the liquid-elasticity solid.
1019
  • 김병수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5, n.1
  • pp.175-182
  • 1998
  • 원문 바로보기
SAR 영상은 speckle 잡음의 multiplicative 특성으로 인해 영상 해석에 많은 제약을 받고 있다. Speckle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은 크게 여러 개의 독립 영상을 multi-looks 처리 방법과 디지털 영상 처리 기술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speckle 잡음 특성에 따른 비선형필터의 적용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지적 통계 자료를 이용하는 LEE와 Refined LEE 필터 그리고 speckle 자체의 통계 특성을 이용하는 EPOS(Edge Preserving Optimal Speckle)필터를 이용하여 speckle 잡음을 제거하여 SAR 영상의 화질을 개선하고 그 결과를 기존의 mean과 median 필터와 비교하였다.
1020
  • 윤재철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5, n.2
  • pp.427-436
  • 1998
  • 원문 바로보기
무궁화위성 <TEX>$1{cdot}2$</TEX>호와 앞으로 발사될 무궁화위성 3호의 원지점 궤도천이는 기본적으로 궤도평면을 바꾸는 타원궤도천이인데, 무궁화위성 <TEX>$1{cdot}2$</TEX>호의 경우는 고체추진제를 이용하여 천이궤도의 원지점에서 단 한번 분사함으로써 목표 표류궤도로 진입하는 AKM(Apoges Kick Motor)단계를 거치는 반면, 무궁화위성 3호는 액체추진제를 이용하영 원지점에서 여러번 분사를 통해 천이궤도를 바꾸어 나가면서 최종 표류궤도로 진입하는 LAE(Liquid Apogee Engine) 단계를 거치도록 계획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액체추진제를 사용한 정지궤도 진입방법과 추진제 제어방법을 연구하여 액체추진제를 사용한 정지궤도 진입 시뮬레이션 툴을 개발하였다. 정밀한 시뮬레이션을 위해 연세대학교 위성궤도공학연구실의 COWELL5 정밀궤도예측 프로그램을 토대로 기본설계를 했으며, 결과는 <TEX>$STK/VO^{TM}$</TEX>의 지상궤적 및 3차원 그래픽환경으로 실시간 구현이 가능하도록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