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모달창 닫기

한국우주과학회지

1984년 ~ 2025년까지 1,253 건한국우주과학회지를 계간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계간 (Quarterly)
  • ISSN : 1225-052x (ISSN : 1225-052x)
  • DB구축현황 : 1,253건 (DB Construction : 1,253 Articles)
안내사항
총 게시글 1,253 페이지 106/126
1051
  • 최기혁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4, n.1
  • pp.117-125
  • 1997
  • 원문 바로보기
파브리-페로 간섭계는 높은 해상도(∼1,000,000)를 갖고 있어 최근에 우주과학의 여러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이 간섭계의 작동 원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수학적 모델링이 필요하고, 간섭계로부터 얻어진 간섭무늬를 해석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장비 특성함수를 아는 것이 필수적이다. 간섭계로부터 나온 스펙트럼은 발광원으로부터의 순수 신호와 장비의 특성함수가 콘볼루션과정을 통하여 섞여있고, 순수 신호는 발광원의 양자 상태, 온도와 공기 덩어리의 움직임 등의 정보가 들어 있다. 따라서 이 순수 신호를 모델링하여 이론적인 장비 특성 함수와 콘볼루션하면 실제 얻어질 스펙트럼을 예측할 수 있다.
1052
  • Jeong, J.H.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4, n.2
  • pp.225-232
  • 1997
  • 원문 바로보기
A total of 1088 observations (272 in B, 272 in V, 272 in R, and 272 in I) were made from January to February in 1995 at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observatory(CbNUO). We constructed BVRI light curves with our data. The photometric solution of these light curves was obtained by means of the Wilson-Devinney method. Our result was compared with those by previous investigators.
1053
  • 김천휘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4, n.1
  • pp.44-58
  • 1997
  • 원문 바로보기
1996년 11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열흘간 W UMa 형 접촉쌍성 SS Ari의 BVR CCDD 측광관측을 수행하였당. 이 관측으로부터 여덟 개의 새로운 극심시각을 결정하였다. 이 극심시각과 발표된 모든 극심시각을 분석하여 SS Ari의 궤도공전주기의 변화 진폭은 약 0.053일이며, 그 주기는 약 58년이다. 이 변화의 원인을 1)제 3전체에 의한 광시간 효과 2) 한 성분별에서의 주기적 자기활동에 이한 형상 변화 효과란 두 가지 관점에서 조사하였다. 전자로 해석할 경우 제 3 천체의 질량은 약 <TEX>$1.3M_{\odot}$</TEX>인데, 존재한다면, 백색왜성이나 쌍성일 가능성이 높다. 분광관측으로 얻은 SS Ari계의 시스템 속도는 이를 뒷받침하는 것 같다. 후자로 해석할 경우, 자기활동이 심한 별은 주성이다. 이때 이론적인 주성의 밝기 변화 요구량은 <TEX>$\pm0.^m08$</TEX>이다, 그러나. 관측자료의 부족으로 이를 검증할 수 없다. 결론적으로 현재의 관측자료를 가지고, 두 해석 중 어느 것이 바른 해석인지를 결론지을 수 없다. 또한, SS A갸의 공전주기의 변화에는 위의 변화 위에 약 <TEX>$0.^{d}0.01$</TEX>의 작은 진폭을 갖고 약 14년의 주기적 변화가 겹쳐 있다. 이 변화의 원인에 대해서도 아직 명확히 결론을 내릴 수 없다.
1054
  • 박종애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4, n.1
  • pp.67-79
  • 1997
  • 원문 바로보기
100GHz와 150GHz 대역의 두 수신기를 한 개의 냉각기로 운용하여 두 대역을 동시에 관측하기 위한 이중채널 수신기의 준광학계를 설계하였다. 준광학계를 위하여 가우시안 빔에 대한 일반적인 해석을 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대덕전파망원경인 카세그레인 안테나의 초점에 형성된 빔이 각 준광학 소자들을 통해서 믹서 전단에 있는 휘드혼에 최적 빔 결합되도록 준광학소자들 사이의 빔 파라미터를 결정하였다.
1055
  • Sohn, Young-Jong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4, n.2
  • pp.179-193
  • 1997
  • 원문 바로보기
We use B band CCD images to investigate the surface brightness distributions and dynamical properties of 29 Galactic globular clusters. Model fits suggest that 22 clusters show King type surface brightness profiles, while 7 clusters are characterized by power law cusp profiles. For the King type clusters, concentration parameters <TEX>$(c=log(r_{t}/r_{c}))$</TEX> range from 1.20 to 2.10, and core radii are 0.4 to 1.9 pc. The mean value of power law slopes of 7 cuspy clusters was estimated as <TEX>${alpha}=1.011{\pm}0.065$</TEX>. Total masses of King type globular clusters are in the range of <TEX>$1.7{ imes}10^4M_{odot}$</TEX> to <TEX>$1.0{\times}106M_{\odot}$</TEX> with a mean of <TEX>$1.7{\times}10^5M_{\odot}$</TEX>.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ass and mass-to-light ratio of King type globular clusters has been confirmed with 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 = 0.52 and a confidence level of 99%. Our data also confirm a linear relation between total mass and absolute magnitude of King type globular clusters.
1056
  • 서경원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4, n.2
  • pp.202-206
  • 1997
  • 원문 바로보기
We have modeled the infrared spectral energy distributions of proto stars with close attention to the dust envelopes around the stars. The observed spectral energy distributions are closely compared with our models. The model results and observations are compared on IRAS color-color diagrams. Typical model results can explain the observations fairly well.
1057
  • 진호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4, n.2
  • pp.242-250
  • 1997
  • 원문 바로보기
W UMa형 접촉쌍성 AB And의 BVR CCD 측광 관측을 1994년 9월부터 1996년 10까지 4일간 수행하여 4개의 새로운 극심 시간을 결정하였다. 이 극심 시각과 이제까지 발표된 모든 극심 시각을 분석하여 AB And의 주기변화의 양상을 연구하였다. AB And의 주기변화를 sine 함수와 같이 규칙적으로 변한다고 가정하여, 관측된 극심 시간을 가장 잘 맞추는 광도 요소를 구하였다. 이 광도요소의 sine 항으로부터 계산된 AB And의 공전주기 변화는 약 0.059일의 진폭으로 약 92년 주기로 규칙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가장 최근에 관측된 이 연구의 극심 시각들은 이 광도요소에서 예측한 극심 시각들보다 다소 크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AB An의 공전주기가 sine 함수 외에도 포물선 형태로 변한다고 가정하고 관측된 극심 시각을 가장 잘 맞추는 광도요소를 구하였다. 이 광도요소의 이차항으로 계산된 AB And의 공전주기는 100년에 약 0.73초만큼 영 년 증가하는 동시에, sine 항으로부터 약 62.9년 주기와 0.024일의 진폭으로 규칙적으로 변화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10년 이내에는 AB And의 공전주기는 sine 항만을 고려하면 주기 감소를 해야하고, 이차항까지 고려하면, 주기 증가가 예측되므로, AB And의 주기변화에 대한 명확한 해답을 위해서 지속적인 관측이 요구된다.
1058
  • 진호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4, n.2
  • pp.259-268
  • 1997
  • 원문 바로보기
천문대에서 개발 중에 있는 CCD를 사용한 극미 광 영상장비의 시험모델 개발과 현재까지의 결과를 논의하였다. 고도의 저 잡음 도와 안정성이 요구되는 천문관측용 극미 광 영상장비는 자외선에서 가시 광 및 근 적외선 영역에 이르기까지 매우 넓은 파장영역에서 관측을 수행할 수 있는 장비로서 여러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가지 국내에서는 이 장비의 핵심부분인 controller의 자체설계 기술이 확보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시스템의 전자 부는 한 개의 EPLD(Erasable Programable Logic Device)에 구현된 controller와, 그 외에 analog driver, video processor로 이루어져 있으며 CCD의 암잡음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액체질소 냉각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전체적인 제어와 자료처리는 범용성을 고려하여 개인용 컴퓨터(PC)를 이용하였다. 액체질소 냉각용 cryostat와 CCD 소자를 제외한 대부분이 자체 설계제작 되어진 이 시스템으로 실험실과 소백산천문대에서 시험영상을 얻는데 성공하였다.
1059
  • 박영택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4, n.1
  • pp.166-178
  • 1997
  • 원문 바로보기
위성의 수와 복잡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다양한 고장이 생기는 경우를 예측하고 고장이 발생한 경우 이를 감지하여 신속히 감지하여 처리하는 노력의 필요성이 증가하게 된다. 현재는 위성 관제소의 전문요원들이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고 있지만, 많은 부분이 일상적인 작업이므로 이러한 진단 작업을 자동화할 필요성이 있다. 즉, 일상적인 작업은 전문가시스템이 수행하고, 보다 복잡하고 고차원적인 문제는 전문요원이 해결하는 방식이 바람직하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인공지능의 사례기반 방식을 도입한 위성 고장진단 전문가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론과 이에 따른 프로토타입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사례기반 시스템은 과거의 사례를 기억하고 있는 사례베이스를 구축하고 고장의 증상이 발생한 경우에 이러한 사례베이스로부터 가장 근사한 경우를 인덱스하여 처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기능을 가지는 사례기반 시스템의 구조와 활용방안에 대해서 서술하고자 한다.
1060
  • Kim, Dae-Sik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4, n.2
  • pp.367-374
  • 1997
  • 원문 바로보기
Slewing maneuver and vibration suppression control of flexible spacecraft model by Lyapunov stability theory are considered. The specific model considered in this paper consists of a rigid hub with an elastic appendage attached to the central hub and tip mass. Attitude control to point and stabilize single axis using reaction wheel type device is tested. To control all flexible modes is so critical to designing an active control law. We therefore considered an direct output feeback control design by using Lyapunov stability theory. It is shown that the ouput feedback control law design with proposed configuration gives satisfactory result in slewing performance and vibration suppression contr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