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모달창 닫기

한국우주과학회지

1984년 ~ 2023년까지 1,226 건한국우주과학회지를 계간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계간 (Quarterly)
  • ISSN : 1225-052x (ISSN : 1225-052x)
  • DB구축현황 : 1,226건 (DB Construction : 1,226 Articles)
안내사항
총 게시글 1,226 페이지 106/123
1051
  • 민승현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3, n.2
  • pp.82-93
  • 1996
  • 원문 바로보기
The paper discusses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KITSAT-1/2 communication systems. Several requirements for the communication system have been analyzed and the specifications for KITSAT-1/2 communication systems have been summarized. Also the design and performance of KITSAT-1/2 communication system is described.
1052
  • 김기형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3, n.2
  • pp.52-66
  • 1996
  • 원문 바로보기
본 논문에서는 우리별 2호(KITSAT-2)와 같은 소형위성의 실시간 제어 컴퓨터 시스댐인 KASCOM(KAIST satellite computer)의 설계시 요구사항(requirement)파 설계 방식(design meth-odology)을 제시한다. 위성 컴퓨터는 위성의 서브시스템으로서 뿐만 아니라 위성의 관리 제어 및 실험 장치들의 운용에 이르기까지 위성의 전 시스템파 연관을 맺고 었다. 이러한 연관성 때문에 위성 컴퓨터의 신뢰성은 위성의 전체 생명 유지에 매우 중요하다. 위성의 제어 컴퓨터로서 가져야 할 요구조건은 위성의 실시간 제어를 위한 연산 능력, 결함 허용의 입출력 시스템, 저전력소모, 무게, 크기, 방사선 차폐 등이다. 이러한 요구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KASCOM에 채택된 여러 설계 방법이 소개된다. 설계뿐만 아니라 실수 없이 구현하고 성능 및 환경 시험을 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KASCOM의 구현 및 테스트 역시 본 논문에서 다툰다. 마지막으로 구현된 시스템의 실제 운용(in-orbit) 결파를 제시한다. 운용 결과, 프로그램 메모리(lMbit SRAM)에서는 하루 평균 2개의 SEU(lMbyte 당), 데이터 메모리(4Mbit SRAM)에서는 하루 평균 3.7개의 SEU(l Mbyte 당)가 관측되었다. 따라서 저집적 메모리가 고집적 메모리보다 SEU에 강한 것으로 보여진다.
1053
  • Kim, Sang-Joon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3, n.1
  • pp.32-39
  • 1996
  • 원문 바로보기
Voyager IRIS (Infrared Interferometer Spectrometer) observations of Jupiter's Great Red Spot (GRS) have been examined in order to extract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phosphine. To the accuracy than can be achieved from this approach, there appears to be no difference between the PH3 distribution over the GRS compared with the distribution over the neighboring South Tropical Zone. This result is at variance with a pre-Voyager prediction of an enhancement of PH3 over the GRS resulting in the preferential production of red phosphorous in this location on the planet (Prinn & Lewis 1975). The composition of the red material remains an open question.
1054
  • 박성동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3, n.2
  • pp.105-116
  • 1996
  • 원문 바로보기
이 연구는 1992년 8월 11일과 1993년 9월 26일 발사된 우리별 1호 및 우리별 2호의 열제어 모델 및 그 동안의 운용 결과에 대한 해석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우리별 1, 2호는 아리안 발사체의 초소형 위성 탑재를 위한 특수 구조물에 장착되어 발사되었기 때문에 크기, 전력, 무게 등의 제한으로 인해 외부로부터의 열 흡수와 방출의 제어 및 내부의 연결 모듈간의 열 흐름을 제어하여 위성체 전반의 열적 환경을 조절하는 수동적인 방식의 열제어를 채택하게 되었다. 우리별 위성의 주 임무는 위성 기술의 개발과 더불어 위성체 바닥면에 탑재된 CCD 카메라를 이용하여 지구 표면을 촬영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위성의 바닥면은 항상 지구의 중심을 향하고 있게 된다. 이 연구는 위성의 임무 궤도에 대한 분석으로부터 열 모델링, 시뮬레이션 결과 및 우리별 2호의 실제 운용헤서 얻어진 원격검침 정보를 바탕으로 한 열 모델의 평가를 포함한다. 이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수동 제어에 의한 우리별 위성의 열 모델 및 해석이 실제 측정된 온도 데이터와 평균 오차 <TEX>$$10^{\circ}C$</TEX> 이내에서 일치되었음을 보여 준다.
1055
  • 장현석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3, n.2
  • pp.173-180
  • 1996
  • 원문 바로보기
이 논문에서는 우리별 1호와 2호의 간략한 설명과 우리별 I호와 통일한 구조를 가진 우리별 2호의 아날로그 태양 감지기의 동작원리, 보정 방법 및 궤도상의 운용결과를 서술한다. 아날로그 태양 감지기는 향후 위성 프로젝트를 위한 실험 탑재체로써 탑재되었다. 이 태양 감지기들은 위성이 요구하는 중량 및 전력 소모의 최소화에 알맞게 제작되었다. 두개의 일차원 아날로그 태양 감지기들이 우리벌 2호 위성의 윗면에 부착되어 있다. 각각의 태양 감 지기들은 <TEX>$\pm60^{\circ}$</TEX>의 앙각을 갖고 있으며 갑지기 두개가 총 <TEX>$210^{\circ}$</TEX>의 앙각을 가지므로 <TEX>$30^{\circ}$</TEX>의 중 첩부분이 있다. 일차원 태양 감지기들이 위성의 Z축에 정렬되어 있으므로 위성의 Z축(yaw 축)을 중심으로한 상대적인 태양각과 위성의 회전 속도만을 알 수 있다. 각각의 태양 감지기는 지상에서 5차 곡선 적합화(5th order line fitting) 알고리즘율 이용하여 보정수식올 얻었으며 이 수식들은 궤도상의 운용결과에 적용되었다. 그 결과 입사 태양광의 난반사가 가장 심한 입사각 <TEX>$0^{\circ}$</TEX> 근처를 제외한다면 태양전지판용 실리콘 소자를 사용한 태양 감지기 1의 경우 <TEX>$1.5^{\circ}$</TEX>, 파기원에서 제작된 실리콘 광소자를 사용한 태양 감지기 2의 경우 <TEX>$0.5^{\circ}$</TEX>의 최대 오차흘 갖는 궤도 운용상의 성능을 보여 주었다. 그 결과들을 4장에 보였으며 각각의 태양 감지기의 성능과 가능한 감지기의 부확에 따롱 오차를 5장에 보인다.
1056
  • 이강환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3, n.1
  • pp.63-71
  • 1996
  • 원문 바로보기
A total of 546 UBV photoelectric observations of AG Per was carried out from January to December in 1993 at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Observatory. With our observations, UBV light curves were constructed, three minimum times of JDHel. 2449284.213, JDHel. 2449360.060, and JDHel. 2449363.192 were determined. The phase displacement of secondary minimum time <TEX>$\delta$</TEX>=-0.046 were determined and orbital eccentricity e=0.071 was calculated. Forty-five times of minimum light (including ours) were collected from the literature and plotted on O-C diagram. We analyzed these data and apsidal motion period of U=76.17 (years) was obtained. Using e and U for AG Per, the internal structure constant, log k2, was found to be -2.13.
1057
  • 이현우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3, n.2
  • pp.67-81
  • 1996
  • 원문 바로보기
The attitude dynamics of KITSAT-1 are modeled including the gravity gradient stabilization method. We define the operation scenario during the initial attitude stabilization period by means of a magnetorquering control algorithm. The required constraints for the gravity gradient boom deployment are also examined. Attitude dynamics model and control laws are verified by analyzing in-orbit attitude sensor telemetry data.
1058
  • 이흥규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3, n.2
  • pp.198-209
  • 1996
  • 원문 바로보기
본 논문에서는 인공위성을 통하여 수신되는 다중대역 영상을 압축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다대역 영상에서 보이는 대역간 상관성 및 대역내에서 각 화소간의 상관성을 줄이는 목표를 가지고, 화소간 상관성을 줄이기 위해서는 wavelet 변환을 사용하고, 대역간 상관성을 줄이기 위해서는 대역간 데이타블럭의 화소값간의 상관관계를 1차식으로 모델링하고 회귀(regression) 방법을 이용하여 대역간 화소 차이을 가깝게 하여 데이타 압축율을 향상시킨다. 변환계수는 데이타 압축율을 높이기 위해 변형된 힐버트 커브와 RLE 그리고 허프만 코딩을 이용하였다. 제안된 알고리듬은 우리별 1호 영상과 LANDSAT MSS 영상을 이용하여 실험하였으며, 성능평가 척도로는 원영상과 복원된 영상의 PSNR과 ISODATA를 이용할 때의 분류 능력을 비교하였다.
1059
  • 구자춘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3, n.2
  • pp.20-29
  • 1996
  • 원문 바로보기
Provision of the electrical power generated from solar array is one of the most fundamental requirements for the spacecraft payloads. Power subsystem collects, regulates and distributes power to the experiment payloads and to the various spacecraft subsystem. In this paper, the analysis result of the KITSAT-1 WOD shows that the in-orbit operation of whole power system has been in good condition.
1060
  • 박성동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3, n.2
  • pp.1-19
  • 1996
  • 원문 바로보기
Satellite Technology Research Center(SaTReC) of Korean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KAIST) has started a collaborative research, development, and training program in the field of space technology. As the result of that, SaTReC has successfully developed and operated the KISTAT-1, which is the first Korean satellite system. From the experience gained. SaTReC has developed the KITSAT-2 with its own technology and man-power and acquired the capability to design and to manufacture small satellite systems. In this paper, an overview of KITSAT-1/2 microsatellite systems and operational results are introduc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