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모달창 닫기

한국우주과학회지

1984년 ~ 2025년까지 1,251 건한국우주과학회지를 계간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계간 (Quarterly)
  • ISSN : 1225-052x (ISSN : 1225-052x)
  • DB구축현황 : 1,251건 (DB Construction : 1,251 Articles)
안내사항
총 게시글 1,251 페이지 103/126
1021
  • Jee, Myung-Kook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5, n.1
  • pp.261-267
  • 1998
  • 원문 바로보기
We present a feasibility study of a data receiving station in Korea to be used for a 50cm UV space telescope proposed by CSA. The feasibility was investigated by examining the spacecraft visibiligy from four different cities in Korea, based on the orbital characteristics of the proposed spacecraft, i.e. inclination of <TEX>$28.5^{\circ}$</TEX>and circular orbit altitude of 690km. The satellite can be accessed from Korea about 4 times a day, each pass having the duration of to 9 minutes depending on the elevation mask and the latitude of each site. Provided that the X-Band signal can be retrieved from <TEX>$10^{\circ}$</TEX> elevat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a ground station placed in any of the four cities can be used for a reasonable backup downlink of the science data gathered by the proposed UV space telescope.
1022
  • 안웅영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4, n.1
  • pp.150-157
  • 1997
  • 원문 바로보기
인공위성의 궤도경사각을 제어하는 남/북 위치보존은 많은 연료를 소모하기 때문에 연료량을 효율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방법의 연구가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궤도경사각의 변화를 영년항과 주기항으로 나누어 영년변화만을 보정함으로써 기동 연료량을 줄이는 MFT(Minimum Fuel Target)기법을 이용하여 무궁화 위성의 남/북 위치보존을 모의실험하였다. 임무기간(약 10년)동안 모의 실험한 결과를 남/북 위치보존을 위한 다른 두가지 방법인 MCT(Maximum Compensation Target)기법과 TBCT(Track-Back Cho가 Target) 기법으로 구한 연료량과 비교하였다. MFT 기법을 사용할 경우 두 기법에 비해 각각 최소 47일과 15일의 임무기간이 연장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23
  • Lee, Byoung-Sun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4, n.1
  • pp.158-165
  • 1997
  • 원문 바로보기
The Sun interference event predictions for the KOMPSAT TT&C station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frequency of the event and the impact on the TT&C link. The KOMPSAT orbit was propagated including only J2 geopotential term for maintaining the Sun-synchronism and no other perturbations were included. Local time of ascending node of the KOMPSAT satellite was set to 10h50m00s. The TT&C station was assumed to locate in Taejon and have 9 meter antenna for S-band link. One year of simulation from 1999/07/01 were performed out of 3 year of mission lifetime of KOMPSAT satellite. Total four times of Sun interference events were occurred during 1 year of simulation and those lasted about 50 seconds altogether. The C/N degradation of the TT&C system was calculated about 4dB. The Sun interference event of 50 seconds of year are 0.0076 percents of the S-band contact time when the 30 minute of contact time is assumed in a day.
1024
  • 안용원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4, n.2
  • pp.347-354
  • 1997
  • 원문 바로보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에서 수신된 L1(1575.42MHz) 반송파 위상자료를 이용하여 지표면의 두 지점의 기선 백터와 기선거리를 계산할 수 있는 S/W는 크게 네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째는 위성의 위치를 계산하는 부분, 둘째는 단일 차분 방정식을 구성하는 부분 셋째는 이중 차분을 구성하는 부분, 그리고 마지막으로 상관관계를 계산하는 부분이다. 개발한 S/W의 정확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전 천문대의 GPS 관측소(<TEX>$N37^{circ}.75,E127^{circ}.37,H77.61m$</TEX>)를 중심으로 약 2.7, 42.1, 81.1, 146.6km 떨어진 네 지점에서 Trimble 수신기를 이용하여 동시에 GPS 위성으로부터 관측자료를 획득하였다. 획득한 관측자료를 이 연구에서 개발한 S/W로 처리하였고, 그 결과를 Trimble사의 자료처리 S/W인 GPS Survey에 GPS 위성의 방송 궤도력을 적용하여 L1/L2 ION-Free 기법으로 계산한 결과와 비교 하였다. 두 S/W 시스템으로 산출한 기선 백터의 각 성분은 약 50cm내외에서 잘 일치하였고 기선 거리는 약 10cm내외에서 서로 일치하였다.
1025
  • 이선익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4, n.1
  • pp.142-149
  • 1997
  • 원문 바로보기
잘 알려진 최적제어 이론의 선형제차조절법을 정지궤도 위성의 위치보존 궤도조정 문제에 적용하였다. 정지궤도 위성의 운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섭동향을 선택하여 동서방향과 남북방향 궤도조정의 경우 각각 14일간 지구비대칭 중력장의 영향, 28일간 태양과 달의 영향을 예측한 결과로 궤도조정할 경계조건을 적절하게 설정하였다. 비선형방정식을 선형화하여 리카티 방정식(Riccati Equation)을 두 번 적분함으로써 최적궤도와 이에 상응하는 추진 가속도를 알아내었다. 선형제차조절법으로 구한 속도변화량과 기하학적으로 계산한 <TEX>${\Delta}V$</TEX>(속도변화량)을 비교해 봄으로써 제어이론을 통한 궤도조정 방법이 실제상황에 거의 근사한 해를 제공할 수 있는가와 제어이론을 위치보존 궤도조정 문제에 적용한 방법이 경제적인 측면에서의 연료최적화와 이에 따른 정지궤도 위성의 수명연장에 기여할 수 있는가에 대한 해석을 시도하였다.
1026
  • Sohn, Young-Jong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4, n.1
  • pp.1-17
  • 1997
  • 원문 바로보기
The results of a restricted numerical simulation for the color gradients within globular clusters have been presented. The standard luminosity function of M3 and Salperter's initial mass functions were used to generate model clusters as a fundamental population. Color gradients with the sample clusters for both King and power law cusp models of surface brightness distributions are discussed in the case of using the standard luminosity function. The dependence of color gradients on several parameters for the simulations with Salpter's initial mass functions, such as slope of initial mass functions, cluster ages, metallicities, concentration parameters of King model, and slopes of power law, are also discussed. No significant radial color gradients are shown to the sample clusters which are regenerated by a random number generation technique with various parameters in both of King and power law cusp models of surface brightness distributions. Dynamical mass segregation and stellar evolution of horizontal branch stars and blue stragglers should be included for the general case of model simulations to show the observed radial color gradients within globular clusters.
1027
  • 윤재철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4, n.2
  • pp.381-385
  • 1997
  • 원문 바로보기
해석적 방법을 이용한 정지위성의 장기 궤도예측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적용된 섭동모델에는 5 <TEX>$\times$</TEX>5 지구중력포텐셜, 달과 태양의 중력, 태양복사압에 의한 섭동들이 포함되었으며, 모든 섭동들은 장반경, 이심률 백터, 궤도경사각 백터, 평균경도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춘분점 궤도요소의 영년변화, 단주기 변화, 장주기변화 섭동항들로 급수전개되었다. 해석적 방법에 의한 무궁화 위성의 궤도예측의 결과를 코웰방법을 이용한 궤도예측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이 비교를 통해서 새로 개발된 해석적 방법을 이용한 궤도예측 알고리즘은 3개월동안 약<TEX>$pm35m$</TEX> 이내로 장반경을 정밀하게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028
  • 경재만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4, n.2
  • pp.194-201
  • 1997
  • 원문 바로보기
We have carried out JK near-infrared photometry for the central region of the metal rich globular cluster M71, whose (K, J - K) color-magnitude diagram is presented here. Using two independent methods we derive the distance modulus to M71, 12.89 and 12.86 <TEX>$pm0.12$</TEX> respectively. The former is derived using the HB luminosity <TEX>$M_{Ko}$</TEX>(HB) = -1.15 for globular clusters having metallicity between -1.0 to -0.3 (Kuchinski et al. 1995). The latter is derived through a comparison with IR photometry of stars in the similar metallicity cluster 47 Tuc. We also estimate the reddening to M71, E(J - K) = 0.13, based on E(B - V) = 0.04 of 47 Tuc.
1029
  • 조경석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4, n.2
  • pp.320-329
  • 1997
  • 원문 바로보기
전파연구소 이천 분소에는 각각 세 개의 안테나로 30MHz∼2500MHz 대역의 태양전파를 관측할 수 있는 광대 역 태양전파분광시스템이 1995년에 설치되었다. 그 동안 태양전파 데이터를 수집 분석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가 없어 실질적인 관측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본 연구에 의해 운용 소프트웨어가 개발됨으로써 본격적인 태양전파관측 연구를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개발된 운용 소프트웨어를 실험 이용한 결과 1997년 11월 4일 06시경(UT)에 연속하여 발생한 3개의 TYPE III Burst에 대한 양질의 관측자료를 얻을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전파연구소 이천 분소의 광대역 전파분광시스템을 소개하고 태양전파 데이터의 취득, 처리 및 분석을 위해 개발한 소프트웨어와 이를 통해 관측된 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1030
  • 지명국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4, n.2
  • pp.375-380
  • 1997
  • 원문 바로보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에 있어서 궤도의 정밀도는 응용분야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파라미터이다. 따라서 GPS 사용자가 얻는 자료의 정밀도는 기준으로 삼고 있는 위성의 위치 자료를 얼마만큼 신뢰할 수 있느냐에 달려 있는데 이들 위성의 위치 자료는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항법메세지에 포함된 방송궤도력에 의존할 경우 실제위치와 약 3~10m의 차이가 난다. 그러나 GPS를 이용하여 100km의 기선거리를 수mm의 오차로 측정하기 위해서는 방송궤도력보다 실제 궤도에 매우 가까운 정밀 궤도력을 사용하여야 하는데 이 정밀 궤도력은 오차가 수cm정도로서 현재 이러한 수준의 정밀 궤도력을 계산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한 곳은 전 세계 약 7개 기관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정밀 궤도 결정에 필요한 궤도 모델링과 위상자료 처리 방법을 연구하였고, 직접 전세계 28개 관측소로부터 관측된 위상 관측 자료들을 최소자추정(Least Square Estimation) 하여 국제 GPS 관측망에서 발표하는 궤도자료에 비길 수 있는 정밀 궤도력을 산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