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모달창 닫기

자주하는 질문

Total 14   
  • 작성일2010-02-23
태양은 우리 지구의 모체입니다. 생명이 살아가는 모든 에너지는 태양에서 오게 됩니다. 그러나 많은 연구원들은 이런 태양 없이도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들려고 하지요. 우주 식민지가 그 한 예입니다.



태양의 빛과 열이 지구에 도착을 하면 지구 표면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물을 이동하게 합니다. 흔히 대류라고 하지요. 이런 물의 이동은 지구 곳곳에 비가 되어 뿌려지게 되고 그 물과 땅위에 있는 양분을 토대로 식물이 자라게 되고 먹이 사슬이 이루어져 세상은 돌아갑니다.



열역학 제 1의 법칙은 열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른다 입니다. 태양은 지구에 있는 공기를 골고루 데우는 것이 아니라 적도 부근은 많이 가열하고 극지방은 덜 가열하게 되여 열 역학 제 1법칙에 의해 공기의 흐름이 생기게 됩니다. 그것이 바로 바람이지요. 그리고 따뜻한 태양의 열을 받아 공중으로 올라가 수증기는 구름을 만들게 되고 그 구름들이 바람을 따라 이동을 하게 되지요. 이런 것들이 모두 날씨의 변화를 가져다주게 됩니다.



아직 현재의 과학으로는 이 지구의 날씨를 정확하게 예측을 하지 못한답니다. 너무도 날씨를 변화시키는 다양한 요소가 있기 때문에 아직 따라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 때 그 때 조금은 예측을 할 수 있어서 일기예보를 하지요. 그러나 다 맞는 것은 아니고 하루 단위로 예측을 하는 것이 고작이지요. 그래도 틀린답니다.



날씨에 대한 유명한 말이 있습니다. "영국에서 나비가 한 번 날개 짓을 하면 아시아에서 태풍이 생긴다." 유명한 "버터플라이 이론(butterfly theory)"입니다.
  • 작성일2010-02-23
행성에 대기가 없는 이유가 여러 가지겠지만 제일 큰 이유가 중력이 작기 때문이 아니겠어요? 과학기술로 행성의 중력을 키울 수 있습니까?



현재에는 그런 기술이 없으므로 비용을 떠나 대기를 못 만들겠지요.



중력이 지구와 같은데 대기가 없는 경우는 태양에 너무 가까이 간 경우나, 아니면 너무 먼 경우 (아무래도 약간의 대기가 있겠지요)가 될 것입니다. 태양에 너무 가까이 다가간 경우라면 힘들겠지만, 먼 경우에는 다른 방법으로 인간이 살 수 있는 조건을 만들 수도 있을 겁니다. 예를 들면 원자력을 이용한다든지, 핵융합 발전 따위로 에너지를 공급한다든지 하는 방법 말이죠.
  • 작성일2010-02-23
1950년 네덜란드의 얀 오르트 (Jan Oort)가 태양으로부터 30,000 ~ 100,000AU 사이에 구형의 혜성운 (comet clouds)이 있는 것으로 가정하고, 이곳으로부터 혜성이 생겨나 태양계 안쪽으로 온다고 생각하였습니다. 이를 오르트 구름 (Oort Clouds)라 합니다.



오르트는 혜성의 궤도를 분석한 결과,



1) 혜성의 궤도가 태양계 밖의 공간에서 온 증거가 나타나는 궤도를 갖는 혜성이 없고,



2) 장/비주기 혜성의 원일 점 (태양으로부터 멀어지는 지점)이 약 50,000AU 근처로 나타나며,



3) 혜성 궤도의 경사각, 즉 혜성이 오는 방향이 일정하지 않은 점,



을 들어 이와 같은 혜성운을 가정하였습니다. 오르트에 따르면 이 오르트 구름에 약 1조개의 혜성 핵이 있는 것으로 추정하였습니다. 총 질량은 목성정도의 질량이 되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 가설에 의하면 혜성은 오르트 구름 외각을 지나는 별, 혹은 행성이나 다른 혜성의 섭동에 의하여 혜성 핵이 태양 쪽으로 떨어져 나와 혜성이 된다는 것입니다.



이 오르트 구름은 태양계 생성 당시 함께 생성된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 오르트 구름에 대한 직접적인 관측 증거는 없습니다.



이와 비슷한 것으로 큐이퍼 (혹은 카이퍼, Kuiper) 벨트가 있는데 해왕성 밖, 즉 30AU에서 100AU에 있는 원반 모양의 벨트로 많은 얼음 핵을 갖는 천체들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며, 단주기 혜성의 고향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이 큐이퍼 벨트 천체는 여럿 발견되었습니다.
  • 작성일2010-02-23
일반적으로 행성의 북극은 시계 반대방향으로 돌아가는 극을 북극으로, 시계 방향으로 도는 극을 남극으로 정의합니다. 이렇게 정의하면 어느 행성이든지 행성의 북반구에서 북극을 바라보면 오른쪽이 동쪽으로 해나 별이 떠오르는 방향이 되고, 왼쪽이 서쪽으로 지는 방향이 됩니다.


천왕성의 경우 지구에서 보아 반대로 회전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결국 위와 같은 정의에 의하면 지구와 마찬가지로 모든 별이 동에서 떠서, 서로 지게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