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모달창 닫기

한국우주과학회지

1984년 ~ 2025년까지 1,251 건한국우주과학회지를 계간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계간 (Quarterly)
  • ISSN : 1225-052x (ISSN : 1225-052x)
  • DB구축현황 : 1,251건 (DB Construction : 1,251 Articles)
안내사항
총 게시글 1,251 페이지 60/126
591
  • 하지현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5, n.4
  • pp.425-434
  • 2008
  • 원문 바로보기
평균온도식은 GPS 기상정보 산출에 핵심요소로서, GPS 기반 가강수량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서는 지역형 평균온도식을 사용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Ha & Park(2008)에서 제안된 4가지 한국형 평균온도식인 HP, <TEX>$HP_M,\;HPt_Y$</TEX>, 그리고 <TEX>$HPt_M$</TEX>을 이용하여 각 모델이 GPS 가강수량 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정확도 검증을 위해 속초기상대의 라디오존데에서 관측된 가강수량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GPS와 라디오존데의 가강수량은 4개 한국형 평균온도식 모두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대략 3mm수준의 편향과 3.6mm수준의 편향 제거 RMS가 산출되었다. 특히 지상기온 관측자료 없이 사용 가능한 <TEX>$HPt_Y$</TEX>과 <TEX>$HPt_M$</TEX>을 이용하여도 HP나 <TEX>$HP_M$</TEX>와 동일한 수준의 정확한 가강수량 산출이 가능하였다. 한편, 라디오존데 관측치에 존재하는 건조편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속초기상대 라디오존데의 장비특성 및 관측시기에 따른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라디오존데 장비가 RS80-15L에서 GRS DFM-06으로 교체된 후 건조편향이 낮(KST 09시)과 밤(KST 21시)에 각각 18.2%와 16.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592
  • Lim, Hyung-Chu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5, n.4
  • pp.361-374
  • 2008
  • 원문 바로보기
Recently, satellite formation flying has been a topic of significant research interest in aerospace society because it provides potential benefits compared to a large spacecraft. Some techniques have been proposed to design optimal formation trajectories minimizing fuel consumption in the process of formation configuration or reconfiguration. In this study, a method is introduced to build fuel-optimal trajectories minimizing a cost function that combines the total fuel consumption of all satellites and assignment of fuel consumption rate for each satellite. This approach is based on collocation and nonlinear programming to solve constraints for collision avoidance and the final configuration. New constraints of nonlinear equality or inequality are derived for final configuration, and nonlinear inequality constraints are established for collision avoidance. The final configuration constraints are that three or more satellites should form a projected circular orbit and make an equilateral polygon in the horizontal plane. Example scenarios, including these constraints and the cost function, are simulated by the method to generate optimal trajectories for the formation configuration and reconfiguration of multiple satellites.
593
  • 조일현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5, n.4
  • pp.395-404
  • 2008
  • 원문 바로보기
태양활동프록시(proxies)와 지구연평균 기온아노말리 시계열을 이용하여 기후변화에서 태양활동신호를 찾아보았다. 이를 위해 Lomb & Scargle의 피어리드그램(Periodgram)을 이용하여 태양활동프록시와 기온아노말리 시계열을 주기분석하였다. 또한 EMD(Empirical Mode Decomposition)과 MODWR MRA(Maxial Overlap Discrete Wavelet Transform Multi Resolution Analysis)를 적용하여 두 시계열을 성분분해하고 이들 중 비슷한 주기의 특성을 보이는 성분을 비교하였다. 태양활동프록시는 짧의 주기의 파워가 긴 주기의 파워에 비해서 큰 반면 기온아노말리는 긴 주기에서 더 큰 파워를 보였다 EMD에 의한 성분분해 결과는 약40년보다 긴 주기성을 갖는 성분을 분해해 낼 수 없었지만 잔차 성분은 비교할 수 있었다. MRA에 의한 성분분해를 통해 지구연평균 기온아노말리 시계열에서 태양활동의 변화에 의한 신호를 찾아내었다. 1960년부터 2007년까지 기온상승에 대한 태양의 기여도는 39%로 계산되었다. 기후민감성은 출력신호의 진폭에만 관계하여 기후시스템이 간단한 2계미분방정식으로 근사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토의하였다.
594
  • Choi, C.R.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5, n.2
  • pp.113-128
  • 2008
  • 원문 바로보기
Solar wind dynamic pressure enhancements are known to cause various types of disturbances to the magnetosphere. In particular, dynamic pressure enhancements may affect the evolution of magnetic storms when they occur during storm times. In this paper, we have investigate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features of dynamic pressure enhancements during magnetic storm times. For the investigation, we have used a total of 91 geomagnetic storms for 2001-2003, for which the Dst minimum <TEX>$(Dst_{min})$</TEX> is below -50 nT. Also, we have imposed a set of selection criteria for a pressure enhancement to be considered an event: The main selection criterion is that the pressure increases by <TEX>${\geq}50%\;or\;{\geq}3nPa$</TEX> within 30 min and remains to be elevated for 10 min or longer. For our statistical analysis, we define the storm time to be the interval from the main Dst decrease, through <TEX>$Dst_{min}$</TEX>, to the point where the Dst index recovers by 50%. Our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EX>$(i){\sim}$</TEX> 81% of the studied storms indicate at least one event of pressure enhancements. When averaged over all the 91 storms, the occurrence rate is <TEX>${\sim}$</TEX> 4.5 pressure enhancement events per storm and <TEX>${\sim}$</TEX> 0.15 pressure enhancement events per hour. (ii) The occurrence rate of the pressure enhancements is about three times higher for CME-driven storm times than for CIR-driven storm times. (iii) Only 21.1% of the pressure enhancements show a clear association with an interplanetary shock. (iv) A large number of the pressure enhancement events are accompanied with a simultaneous change of IMF <TEX>$B_y$</TEX> and/or <TEX>$B_z$</TEX>: For example, 73.5% of the pressure enhancement events are associated with an IMF change of either <TEX>$|{\Delta}B_z|</TEX><TEX>></TEX><TEX>2nT\;or\;|{\Delta}B_y|</TEX><TEX>></TEX><TEX>2nT$</TEX>. This last finding suggests that one should consider possible interplay effects between the simultaneous pressure and IMF changes in many situations.
595
  • 정장해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5, n.2
  • pp.87-100
  • 2008
  • 원문 바로보기
소백산 천문대의 61cm 망원경에 부착된 bvri CCD 측광 시스템으로 근접쌍성 V523 Cas를 2003년 1월에 4일 밤을 관측하여 792점의 CCD 영상을 얻었다. 이 영상 내에 있는 17개의 BVRI 표준성을 이용하여 소백산 천문대의 bvri 측광계와 Johnson-Cousins의 BVRI 측광계 사이의 변환 관계를 V=v-0.0689(B-V)+0.0063, B-V=1.3197(b-v)-0.1733, V-R=0.9210(v-r)-0.1309, R-I=0.8892(r-i)-0.1055와 같이 구하였다. 이 식을 이용하여 근접쌍성 V523 Cas 근처에 있는 57개 별들의 표준 V등급과 색지수(B-V, V-R, R-I)를 결정하였다.
596
  • 조중현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5, n.1
  • pp.43-52
  • 2008
  • 원문 바로보기
2007년에 Giove-A 실험위성의 항법메시지 송신 시험이 성공적으로 끝마침으로써, 차세대 위성 항법시스템인 갈릴레오 계획이 초기궤도 검증단계를 앞두고 있다. 한국천문연구원의 우주측지연구부와 전파천문연구부는 제주 탐라대학교 내 유치 후보지에 대한 갈릴레오 센서 스테이션 전파 수신환경 공동조사를 2006년 8월 3일부터 5일까지 실시했다. 전계강도 스펙트럼은 전 대역<TEX>$(800{\sim}2000MHz)$</TEX>과 내 대역(E5, E6, L1 밴드)에 대해서 24시간 주파수 영역 관측을 했다. 이 단계에서 관측된 강한 내 대역 간섭 신호에 대해서 시간영역 분석을 했다.
597
  • Sohn, Y.J.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5, n.3
  • pp.249-254
  • 2008
  • 원문 바로보기
We report the distance modulus of nearby dwarf irregular galaxy NGC 6822 estimated from the so-called Tip of Red-giant Branch (TRGB) method. To detect the apparent magnitudes of the TRGB we use the color-magnitude diagrams (CMDs) and luminosity functions (LFs) in the near-infrared JHK bands. Foreground stars, main-sequence stars, and supergiant stars have been classified on the (g - K, g) plane and removed on the near-infrared CMDs, from which only RGB and AGB stars are remained on the CMDs and LFs. By applying the Savitzky-Golay filter to the obtained LFs and detecting the peak in the second derivative of the observed LFs, we determined the apparent magnitudes of the TRGB. Theoretical absolute magnitudes of the TRGB are estimated from Yonsei-Yale isochrones with the age of 12Gyr and the metallicity range of -2.0 <[Fe/H]< -0.5. The derived values of distance modulus to NGC 6822 are (m - M) = <TEX>$23.35{\pm}0.26$</TEX>, <TEX>$23.20{\pm}0.42$</TEX>, and <TEX>$23.27{\pm}0.50$</TEX> for J, H, and K bands, respectively. Distance modulus in bolometric magnitude is also derived as (m - M) = <TEX>$23.41{\pm}0.17$</TEX>. We compare the derived values of the TRGB distance modulus to NGC 6822 in the near-infrared bands with the previous results in other bands.
598
  • 정성욱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5, n.3
  • pp.267-282
  • 2008
  • 원문 바로보기
대류층의 중성 대기는 전자가파의 신호 지연을 일으키기 때문에,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를 이용한 정밀측위의 가장 큰 오차요인으로 작용한다. 대류층 지연오차는 대류층의 굴절률과 연관 있으며, 대류층의 굴절률은 경험적으로 압력, 온도 및 수증기 분압으로 표현된다. 따라서 GNSS 안테나 위치의 기상 정보를 알고 있다면, 대류층 지연오차는 경험적 법칙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임의의 장소와 시간에 대한 대류층 지연오차를 생성하기 위한 기상정보 생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한국천문연구원이 운영하는 9개의 상시 관측소에 설치된 디지털 기상 센서의 관측값을 가지고 범용 크리깅 (Ordinary Kriging)을 적용하여 기상 정보를 생성하였고, 상시 관측소의 데이터 공백을 메우기 위해 각 상시관측소의 기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수치 모델을 만들어 보완하였다.
599
  • 김남균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5, n.2
  • pp.181-198
  • 2008
  • 원문 바로보기
최근 들어 소형의 저궤도 위성들을 이용해서 특정 지역을 관측하기 위한 위성군의 궤도를 설계하는 것의 중요성이 점점 부각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Walker 위성군 설계 방법은 전 지구영역 관측에는 적당하지만 부분적인 지역 관측에는 효율성이 떨어진다. 이 논문에서는 한반도를 효율적으로 관측하기 위한 최적의 위성군 궤도 설계 방법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원궤도 중 지표면 반복궤도를 이용하여 위성군을 이루고 있는 위성들의 궤도요소를 직접 조절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관측 목표 지역에 대해 최소한의 위성을 이용하여 관측 공백시간을 최소화하고 관측시간은 최대화하는 궤도요소를 산출하여 위성군 궤도를 설계하였다. 위성군 설계 결과, 저궤도 위성을 이용하였을 경우, 관측 가능한 최소 고도각을 12도로 가정하였을 때 한반도 지역의 관측을 효율적(관측 공백시간은 1시간 이내로 하면서 최대의 관측시간을 보장)으로 하려면 최소한 4대의 위성이 필요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그리고 이 연구에서 제시된 방법이 Walker 방법보다 더 효율적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서 개발된 알고리즘은 향후 우리나라가 실제로 위성군을 운영하고자 할 때 사전 임무 설계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600
  • 노수련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5, n.4
  • pp.383-394
  • 2008
  • 원문 바로보기
코로나질량방출(CMEs)의 지구영향도를 효율적으로 예측하기 위해 속도가 빠른 CMEs의 방향지시 매개인수(parameter)를 조사하여 Dst 지수 최소값과의 상관관계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이 매개인수 중 어떤 매개인수가 예측 효율성이 높은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SOHO/LASCO 목록에서 CMEs의 속도가 1000km/s 이상, CMEs발생 위치가 태양 중심에서 <TEX>${\pm}30^{\circ}$</TEX> 이내에 위치한 혜일로(halo) CMEs를 사용하였다. 이 CMEs가 태양에서 발생하여 지구에 도착하는 시각을 모델을 이용하여 예측한 뒤 이 시각에 가장 가까운(24시간 이내) Dst 지수 최소값을 구하였다. 이를 통해 CMEs의 지구 영향도를 판별하였다. 전체 30개의 사건 중 22개(73%)가 지자기 폭풍을 일으켰다. 우리는 CMEs의 지구 영향도를 예측하기 위해 기존의 방향 매개인수와 이번 연구에서 새롭게 제안한 이심을, 이동거리, 중심각 매개인수를 사용하였다. 이들 매개인수와 Dst 지수 최소값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상관계수 값을 알아보고 그 결과를 통해 어떤 매개인수가 CMEs의 지구 영향도 예측 효율이 높은지 비교하였다. 그 결과 이심율 매개인수가 가장 좋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방향 매개인수는 비교적 좋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동거리와 중심각 매개인수는 이심율과 방향 매개인수보다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하지만 이들 역시 강한 지자기 폭풍(Dst 지수 <TEX>${\leq}$</TEX>-200nT)의 경우에는 좋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방향 매개인수 값이 0.6 이상이고 이심율 매개인수 값이 0.4 이하이며 이동거리, 중심각 매개인수 값이 0.2 이하인 경우에는 강한 지자기 폭풍(Dst 지수 <TEX>${\leq}$</TEX>-200nT)이 일어날 확률이 아주 높음을 알 수 있었다. CMEs의 방향을 지시하는 매개인수는 CMEs의 지구 영향도를 판별하는데 유용하고 이를 복합적으로 고려한다면 예측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