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모달창 닫기

한국우주과학회지

1984년 ~ 2025년까지 1,251 건한국우주과학회지를 계간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계간 (Quarterly)
  • ISSN : 1225-052x (ISSN : 1225-052x)
  • DB구축현황 : 1,251건 (DB Construction : 1,251 Articles)
안내사항
총 게시글 1,251 페이지 58/126
571
  • Koh, Dong-Wook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6, n.1
  • pp.47-58
  • 2009
  • 원문 바로보기
In this study, a Hardware-In-the-Loop (HIL) simulator using thrusters is developed to validate the spacecraft attitude system. To control the attitude of the simulator, eight cold gas thrusters are aligned with roll, pitch and yaw axis. Also linear actuators are applied to the HIL simulator for automatic mass balancing to compensate the center of mass offset from the center of rotation. The HIL simulator consists of an embedded computer (Onboard PC) for simulator system control, a wireless adapter for wireless network, a rate gyro sensor to measure 3-axis attitude of the simulator, an inclinometer to measure horizontal attitude, and a battery set to supply power for the simulator independently. For the performance test of the HIL simulator, a bang-bang controller and Pulse-Width Pulse-Frequency (PWPF) modulator are evaluated successfully. The maneuver of 68 deg. in yaw axis is tested for the comparison of the both controllers. The settling time of the bang -bang controller is faster than that of the PWPF modulator by six seconds in the experiment. The required fuel of the PWPF modulator is used as much as 51% of bang-bang controller in the experiment. Overall, the HIL simulator is appropriately developed to validate the control algorithms using thrusters.
572
  • 노수련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6, n.1
  • pp.9-24
  • 2009
  • 원문 바로보기
태양주기 23의 태양흑점과 코로나질량방출(Coronal Mass Ejection, CME), 지자기폭풍과의 상호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CME의 연도별 발생빈도 분포와 북-남 비대칭 분포, 태양흑점수와 면적의 연평균 분포와 북-남 비대칭 분포, 지자기폭풍의 연도별 발생빈도 분포와의 상호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1996년부터 2007년까지의 SOHO/LASCO 목록 CME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북쪽 반구에서 발생한 CME와 남쪽 반구에서 발생한 CME의 연도별 발생빈도 분포를 알아내었다. 태양흑점수와 면적을 북쪽 반구와 남쪽 반구를 구분하여 그 연평균 분포를 구하였고 지자기 교란정도를 알 수 있는 Ap지수, Dst지수, aa지수를 이용하여 지자기폭풍의 연도별 발생빈도 분포를 구하였다. 이렇게 구한 각각의 분포간의 상호 상관관계를 구하였다. 또한 CME를 각 너비(Angular Width)와 속도(Linear Speed)에 따라 분류하여 흑점 분포, 지자기폭풍의 발생빈도 분포와 상관관계도 알아보았다. 그 결과 CME의 전체 발생빈도는 흑점수와 면적의 전체 분포와의 상관관계가 높았고 흑점수와 면적의 북-남 비대칭 분포와는 상관관계가 낮았다. CME의 북-남 비대칭 분포는 흑점의 북-남 비대칭 분포와 상관관계가 높았다. CME와 지자기폭풍 발생빈도 분포와의 상관관계를 살펴 본 결과 CME 전체나 북-남 비대칭 분포와는 상관도가 낮게 나왔다. 그러나 CME를 규모별로 나누어 그 총 발생빈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 본 결과 Ap지수와 aa지수는 속도가 빠른 경우, Dst지수는 각너비나 속도별로 나눈 모든 경우에 상관도가 높게 나왔다. 흑점과 지자기폭풍 발생빈도의 경우 흑점수와 면적의 전체 분포와 지자기폭풍 사이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통해 CME의 발생빈도 분포는 흑점의 분포와 연관성이 높고 이 둘의 전체 분포와 지자기폭풍의 발생빈도 분포와의 연관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CME, 흑점의 북-남 비대칭 분포와 지자기폭풍의 발생빈도 분포의 경우 연관성이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573
  • 안상현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6, n.4
  • pp.621-634
  • 2009
  • 원문 바로보기
조선 초기의 보천가(步天歌)와 천문류초(天文類抄)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근거로부터 이 보천가(步天歌)의 가결(歌訣)이 A.D. 1161년에 중국에서 출간된 통지(通志)에 실려 있는 보천가(步天歌)에 큰 영향을 받았음을 알았다. 두 보천가(步天歌)의 별자리들은 서술 순서가 같고, 태미원(太微垣)의 가결(歌訣)의 첫 구철이 일곱 글자가 아니라 다섯 글자로 되어 있으며, 특히 별자리들에 대한 은하수의 위치를 기술한 천하기몰(天河起沒)은 통지(通志)의 저자인 정초(鄭樵)가 특별히 작성하여 보충한 것인데 그것이 조선 보천가(步天歌)에 들어 있다는 점이 그 근거들이다. 통지(通志)는 A.D. 1364년에 고려에 들어왔으므로, 조선 초기의 보천가(步天歌)는 그 후에야 성립 될 수 있다. 조선 초기의 보천가(步天歌)는, 중국의 보천가(步天歌)들과 비교할 때, 그 가결(歌訣)에 별자리들의 색깔이 유난히 강조되어 있다. 이것은 석신(石申), 감덕(甘德), 무함(巫咸)으로부터 기원한 별자리를 색깔로 구분하려는 의도이다. 조선 초기에 출간된 보천가(步天歌)와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의 성도(星圖)들은 별자리들의 이름, 별개수, 모양 등이 일치한다. 이 사설은 조선 보천가(步天歌)의 성도(星圖)가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의 모본(母本)이나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 자체에서 기원했음을 뜻한다.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의 모본(母本)은 A.D. 1392년에 발견되어 A.D. 1396년에 비석에 새겨졌기 때문에, 보천가(步天歌)의 성립시기의 상한은 1392년이 된다. 천문류초(天文類抄)는 보천가(步天歌)에 중국의 점성술 문헌의 내용을 덧붙인 책이다. 이 책의 성립 시기는 그 저자인 이순지(李純之)의 생애 등을 근거로 A.D. 1440-1450년으로 추론되었다. 더군다나, 보천가(步天歌)는 A.D. 1430년에 관상감의 천문학자를 뽑는 취재(取才) 시험의 과목으로 선정되었다. 이러한 사설들로부터, 이 연구에서는 조선의 보천가(步天歌)가, 송(宋)의 선진 체제를 받아들임으로써 조선 왕조의 문화적 정치적 기초를 다지기 위해, A.D. 1392년에서 A.D. 1430 사이에 출간되었을 것으로 추론하였다.
574
  • 노경민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6, n.4
  • pp.499-510
  • 2009
  • 원문 바로보기
이 논문의 목적은 이온층의 대표적인 교란현상인 Equatorial Spread F(ESF)가 GPS 관측 값을 이용한 저궤도위성의 상대궤도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궤도결정은 우주기반의 Differential GPS(DGPS)방법을 이용했으며, 궤도결정 성능의 분석을 위해 ESF가 발생하지 않는 시점인 2004년 10월 한 달간에 대해 GRACE 두 위성의 상대궤도를 결정하였다. 궤도결정 정밀도를 검증하기 위해 상대궤도 정보로부터 계산된 기선거리를 K-Band Ranging 관측 값과 비교하였고, 그 결과 기선거리의 평균오차는 약 2~3mm(<TEX>$1{\sigma}$</TEX>)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ESF가 우주기반 DGPS 자료처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ESF가 자주 발생한 2003년과 거의 발생하지 않은 2004년에 대해 2주씩 자료처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2003년의 2주간 평균 기선 거리 오차는 약 15mm로 2004년의 2주간 평균 3.5mm보다 상대적으로 켰으며, K-Band Ranging 센서를 통해 그 당시의 ESF로 보이는 이온층의 교란현상이 상대적으로 많이 발생하였음을 확인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ESF가 자주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태양활동 극대기의 경우 우주기반 DGPS 자료처리 시 ESF의 영향을 고려해야 하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575
  • Jung, M.Y.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6, n.4
  • pp.417-420
  • 2009
  • 원문 바로보기
We have used the near-infrared <TEX>$JHK_S$</TEX> photometric data of resolved stars in a nearby dwarf elliptical galaxy NGC 205 to determine the magnitudes of the red giant branch tip (TRGB). By applying Savitzky-Golay filter to the observed luminosity functions (LFs) in each band, we derived the second derivatives of the LFs so as to determine the magnitudes of the TRGB. Absolute magnitudes of the TRGB in <TEX>$JHK_S$</TEX> bands were measured from the Yonsei-Yale isochrones. By comparing the determined apparent magnitudes and the theoretical absolute magnitudes of the TRGB, we estimated the distance moduli of NGC 205 to be (m - M) = <TEX>$24.10{\pm}0.08$</TEX>, <TEX>$24.08{\pm}0.12$</TEX> and <TEX>$24.14{\pm}0.14$</TEX> in J, H, and <TEX>$K_S$</TEX> bands, respectively.
576
  • 안상현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6, n.4
  • pp.603-620
  • 2009
  • 원문 바로보기
1792년 조선에서 출간된 새로운 보천가(步天歌)는 기존 보천가(步天歌)의 가결(歌訣)을 약간 수정하고 여기에 중국의 새로운 항성 관측 자료를 바탕으로 성립된 성도(星圖)를 합하여 작성된 것이다. 기존의 조선(朝鮮) 보천가(步天歌)의 배열 순서는 송대(宋代)의 보천가(步天歌)를 따랐으나, 이 보천가(步天歌)는 명대(明代) 이후의 보천가(步天歌)를 따르고 있다. 이 보천가(步天歌)의 성도(星圖)에서 자미원(紫微垣)은 12차(次)와 12진(辰)를 사용하여 구획하고 있고, 28숙(宿)는 3개나 4개씩 묶어서 그리되 각 그룹은 12진(辰)으로도 영역을 표시하였다. 그러나 28숙(宿)의 가결(歌訣)에는 기존의 조선 성도(星圖)들과 마찬가지로 황도십이궁을 채용하고 있다. 각 성도(星圖)는 그 적경 범위 안에 들어있는 모든 별을 그린 것이 아니라 그 원(垣)이나 숙(宿)에 소속된 별자리만을 그렸다. 이 보천가(步天歌)는 의상지(義象志)를 활용했고, 그 주석(注釋)과 비슷한 내용을 1700년 무렵의 중국 문헌에서 찾을 수 있다. 이 문헌들은 1709년에 동시에 조선으로 수입되었다. 우리는 피휘, 참숙(參宿)와 자숙(宿)의 도치, 그리고 1791년에 운관절목(雲觀節目)을 개정할 때 기존의 보천가(步天歌)를 대신하여 이 보천가 취재(取才)에 사용된 사설 등으로부터 우리는 이 보천가(步天歌)의 작성 시기를 고찰해 보았다. 그 결과, 1792년에 출간된 보천가(步天歌)의 성도(星圖)와 주석(注釋)은 그 모본(母本)에 해당하는 것이 중국에서 작성되어 1709년에 조선으로 수입되었고, 1709년과 1791년 사이에 새로운 보천가(步天歌)로 작성되어 사용되다가, 1792년에 출간되었다고 추론하였다. 이러한 추론을 뒷받침하기 위해 필요한 추가 연구에 대해 토의하였다.
577
  • 오규동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6, n.1
  • pp.1-8
  • 2009
  • 원문 바로보기
질량비가 작은 접촉쌍성 FP Boo를 3색(B, V, R) CCD 측광관측하여 새로운 광도곡선을 얻었으며, Rucinski et al.(2005)의 시선속도곡선과 함께 Wilson-Devinney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FP Boo의 새로운 측광학적 해와 절대물리량을 구하였다. FP Boo를 포함한 24개의 질량비가 작은 접촉쌍성의 H-R도로부터 FP Boo의 진화 상태도 일반적인 질량비가 작은 접촉쌍성의 진화 상태와 일치하는 위치에 놓이고 있음을 다시 확인하였다. 이번 관측을 통하여 얻은 우리의 광도곡선에서는 작지만 약간의 비대칭성을 보였다.
578
  • Chung, Moon-Hee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6, n.3
  • pp.345-354
  • 2009
  • 원문 바로보기
A stepped septum polarizer has been designed and fabricated for the 43 GHz band KVN receiver system. The dual-circular polarizer converts left and right hand circularly polarized signals into linear polarizations in two separated rectangular waveguides. Measurements show that the performance of the designed septum polarizer covering 42-48 GHz frequency band is adequate to meet the requirement of KVN receivers. Especially, a polarizer for the KVN receiver of 85-95 GHz frequency band can be fabricated by scaling the dimensions of the septum polarizer developed in this paper.
579
  • 김수진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6, n.1
  • pp.127-140
  • 2009
  • 원문 바로보기
COMS DATS C&M 소프트웨어는 통신해양기상위성(CONS)의 송수신자료전처리시스템에 대하여 상대감시 및 원격조정기능을 제공하는 통합관리시스템이다. DATS C&M 소프트웨어는 시스템 관리 모듈, 감시 및 제어 모들, 데이터 관리 모듈, 그리고 상태 데이터 분석 모듈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감시 및 제어 모듈은 위성운영센터가 기상위성센터의 백업 시스템으로 송수신자료전처리시스템을 운영하도록 결정됨에 따라 동일만 두 시스템의 동기화를 지원하도록 설계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DATS C&M 소프트웨어의 설계, 구현, 그리고 개발 결과에 대한 내용을 기술하고 있다.
580
  • 전형열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6, n.3
  • pp.403-416
  • 2009
  • 원문 바로보기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는 기상탑재체, 해양탑재체 및 통신탑재체를 탑재한 정지궤도 위성인 통신해양기상위성을 개발하고 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자체 개발한 대형 열진공 챔버를 이용하여 통신해양기상위성의 열평형 시험을 수행 할 예정이다. 열평형 시험의 주목적은 열해석 모델을 보정하고 열제어 설계를 검증하는데 있다. 통신해양기상위성의 고온 열평형 시험을 위해 남쪽과 북쪽 방열판 위에 외부 열유입량을 모사하기 위한 히팅플레이트를 장착하고, 액화질소 및 질소가스를 이용하여 히팅플레이트의 온도를 90K에서 260K 사이로 조절할 예정이다. 또한 열진공 챔버의 벽면은 심우주의 낮은 온도를 모사하기 위해 열평형 시험동안 액화질소를 이용하여 90K로 유지할 예정이다. 이 논문에서는 통신해양기상위성의 열평형 시험을 위한 열진공 챔버, 탑재체를 위한 타깃, 히팅플레이트 등 위성 모델링에 관한 내용과 열평형 시험 예측을 위한 경계조건, 부품의 작동 상태 및 온도 예측에 관해 다루고자 한다. 또한 새로이 개발한 히팅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열평형 시험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