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모달창 닫기

한국우주과학회지

1984년 ~ 2025년까지 1,253 건한국우주과학회지를 계간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계간 (Quarterly)
  • ISSN : 1225-052x (ISSN : 1225-052x)
  • DB구축현황 : 1,253건 (DB Construction : 1,253 Articles)
안내사항
총 게시글 1,253 페이지 110/126
1091
  • 남욱원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2, n.1
  • pp.66-77
  • 1995
  • 원문 바로보기
비례계수관에서 생성되는 신호의 상승시간을 비교하여 X-선과 비 X-선 신호를 구분하는것이 가능하다. 과학로케트 탑재형 비례계수관에 응용하여 백그라운드를 제거하기 위한 간단한 상승시간 선별회로를 개발하였다. 제작된 전체 회로는 상승시간 측정회로, 측정된 시간을 진폭으로 변환시켜주는 시간-진폭 변환회로로 구성되며, 시산 대 진폭을 검교정할 수 있는 회로를 부가하였다. 제작된 회로를 X-선 검출 시스템에 적용한 결과 2~12 keV에너지 범위에서 전반적인 백그라운드 제거율을 80% 이상 얻을 수 있었으며, 약 12 keV 이상의 높은 에너지내에서는 상승시간 선별법을 사용하기 어려운 제한성을 확인하였다.
1092
  • 김경희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2, n.1
  • pp.123-132
  • 1995
  • 원문 바로보기
인공위성의 추적자료(시선거리, 시선거리변화율, 방위각, 고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여러가지 요인들을 모델링하여 궤도추적 자료를 추적 안테나에서 받은 실제 자료와 가능한 거의 같게 이론적으로 생성하는 S/W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S/W를 이용하여 광시간 효과와 지구 대기에 의한 추적자료의 지연량을 산출하였다. 대기에 의한 추적자료 지연량들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대류층에 의한 지연량은 온도, 상대습도, 압력이 클수록 증가하고, 이온층에 의한 지연량은 최대전자밀로와 주파수에 따라 차이가 나는데, 최대전자 밀도가 증가할수록 지연량은 점점 증가하고, 주파수가 증가할 수록 지연량이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광시간 효과에 의한 추적자료의 지연량은 위성의 고도가 낮을 수록 빠른 궤도운동으로 지연량이 커짐을 알 수 있다.
1093
  • 손동훈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2, n.2
  • pp.204-215
  • 1995
  • 원문 바로보기
경희대학교 천문대에서는 1994년 7월 17일부터 9월 3일에 걸쳐 CCD카메라와 R 필터를 장착한 구경 76cm 광학 망원경을 이용하여 슈메이커-레비(SL-9)해성의 목성 충돌 흔적을 관측하였다. 관측된 모든 화상 자료에 대하여 각 충돌 흔적을 가려내고, 충돌 흔적의 자전 주기와 이동 속도, 크기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 A,C, E, G, H, K, L, Q1, W, G그룹 등의 충돌 흔적이 관측되었음을 알았다. G, L 충돌 흔적들을 통해 구한 System II에 대한 이동 속도는 -0.8m/s에서 8.8m/s의 값을 나타냈으며, 자전 주기는 <TEX>$9^h55^m39.4^s\pm34^s$</TEX>였다. 비교적 큰 G와 L충돌 흔적의 길이는 최초 관측시 각각 <TEX>$1.95\times10^4km,2.20\times10^4km$</TEX>였다. 또한 충돌 흔적이 진화해 가는 모습을 통해 충돌 흔적의 분산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1094
  • 김천휘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2, n.1
  • pp.21-29
  • 1995
  • 원문 바로보기
<TEX>$\beta$</TEX> Lyrae형 식쌍성 AW Cam을 UBV 세파장 영역에서 광전 관측하여 얻은 UBV 광도곡선을 Wilson and Devinney 쌍성 모델의 2가지 mode( mode 2와 mode 5)로 분석하였다. 이는 Russo and Milano (1983)가 산출한 측광 질량비(q=0.21)와 Mammano et al. (1967)의 분광질량비(q=0.43)가 일치하지 않는 모순-AW Cam 계의 남아 있는 문제인-올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Mode 2로 구한 측광학적 해가 mode 5로 구한 해보다 관측된 광도곡선을 더 잘 반영하는 것으로 계산되었다. 이는AW Cam이 정상준분리형계가 아나라 분리형 쌍성계임을 제시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산출한 질량비 (q=0.43)로 계산한 AW Cam계의 삼차원 로쉬 모형을 보면 가벼운 반성은 안쪽 로쉬 한계면에 잘 들어 있는 반연 더 무거운 주성이 로쉬 한계면에 거의 접촉하고 있다. 로쉬 기하, 공전주기의 일정성, 그리고 다른 측광학적 증거들로 부터 AW Cam은 Giuricin and Mardrossian (1981)이 제안한 ‘접촉이 깨진 상태’에 있는 진화된 분리형 쌍성계가 아니라, ‘접촉 상태’로 가고 있는case A 진화 상 태에 있는 덜 진화된 분리형 쌍성계로 잠정적으로 결론짓는다
1095
  • Suh, Kyung-Won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2, n.2
  • pp.168-178
  • 1995
  • 원문 바로보기
We have modeled the dust envelopes around carbon stars with close attention to the evolution of the structure of the dust shells. We use various dust density distributions to take account the effect of the superwind due to the helium shell flash by adding a density increased region. Depending on the position and quality of the density increased region, the model results are different from the results with conventional density distribution. The new results fit the observations of some carbon stars better. The IR two-color diagrams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super wind models and IRAS observation of 252 carbon stars have been made. The new results can explain much wider regions on the IR two-color diagrams.
1096
  • 손건호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2, n.1
  • pp.133-142
  • 1995
  • 원문 바로보기
본 논문에서는 비션형계에 적용된 확장 칼만 필터의 션형화작업을 상펴보고 이를 LEO 위성에 적용해 봄으로써 확장칼만필터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모의실험을 위해 가정한 LEO 위성의 역학모델로는 <TEX>$J_2$</TEX>와 대기마찰에 의한 섭동을 고려하였고 사용된 관판측치에는 관측시 스템 잡음에 해당하도록 <TEX>$\sigma_r$</TEX> = 150m와 <TEX>$\sigma_r$</TEX> = lOm/s의 오차를 가정하였다. 모의싱험결과 필터의 전체척인 수행능력은 가정한 관측오차내에 추정오차들이 수렴되는 결과를 보였으며 이때 상태진행잡음 Q가 공분산행렬 Po의 1/10수준에서 가장 우수한 수렴능력을 나타냈다.
1097
  • 김호일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2, n.2
  • pp.196-203
  • 1995
  • 원문 바로보기
소백산천문대의 61cm 망원경을 사용하여 식쌍성 SW Lyn에 대한 UBV관측을 1983년 9월 부터 1987년 3월까지 7일밤 동안 수행하여 광도곡선을 얻었다. 이 광도곡선은 부극심을 중심으로 좌우가 비대칭이며 그 정도는 파장이 짧을수록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대칭 광도변화를 만드는 윈인을 흑점이라고 가정하고, 우리의 광도곡선 중에서 B와 V광도곡선을 WD 방법으로 분석하여 해를 얻었다. 그 결과 SW Lyn이 접촉에 가까운 준접촉계임이 밝혀졌으며 Case A 진화를 하는것으로 보인다.
1098
  • 표유선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2, n.2
  • pp.234-243
  • 1995
  • 원문 바로보기
1997년 10월에 발사 예정인 과학 로켓 3호는 고도 160km까지 도달할 것이 예상되므로 한반도 상공의 전리층 E 영역에 존재하는 플라즈마를 직접 측정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한다. 한펀 플라즈마 측정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검출기인 Langmuir 탑침을 실험실에서 사용하는 방법 그대로 우주 실험에 적용하면 탐침의 오염으로 인해 정확한 플라즈마 실험이 불가능해 진다. 본 논문에서는 로켓용 탑침 제작에 앞서 실험실용 탐침을 제작하여 진공 용기에서 플라즈마 실험을 수행함으로써 탐침의 오염 문제를 연구하였다. 그 결과, 플라즈마의 밀도가 낮을수록 오염에 의한 효과는 적었으며 탐침에 제공되는 쓸기전압의 주파수가 증가할수록 오염에 의한 효과를 줄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로켓 실험에 적당한 변형된 형태의 Langmuir 탐침을 제안하였다.
1099
  • 김방엽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2, n.1
  • pp.112-122
  • 1995
  • 원문 바로보기
1995년 7월에 발사될 무궁화호 통신위성이 원지점 모터 분사의 오차로 인해 예정된 지구정지궤도진입에 실패했을 경우를 가정하였다. 원지점 모터 분사시에 연료 저장 상태의 불균형, 추력축의 회전 등으로 인하여 원지점 모터 분사가 잘못되어, 통신위생이 정지 궤도 요소 충 궤도 경사각이 <TEX>$0^{\circ}$</TEX>가 아닌 지구 통주기 궤도를 도는 상황을 모의실험하였다. 이 때, 궤도 의 진화과정을 섭통론을 통해 분석하였고 이심율과 경사각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궤도 경사각이 <TEX>$0^{\circ}$</TEX>가 아닌 지구동주기 궤도를 도는 통신위성이 8자 궤적을 그리게 되면 빔 지향점도 위성의 이동에 따라 움직이는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위성의 roll각을 조정하여 빔 지향점을 고정시킬 수 있는 알고리즘을 무궁화호에 적용시켰다. 그리고 승교정과 강교점을 통과할 때 일어나는 펀파면의 회전 현상도 통신 효율에 큰 영향을 주는데, 편파변의 회전 현상을 줄일 수 있는 yaw각 조정방법올 역시 무궁화호에 적용했다.
1100
  • 이현우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2, n.2
  • pp.256-264
  • 1995
  • 원문 바로보기
This report presents the development procedure and the results of a prototype star sensor which can be used as one of the attitude sensors of the KITSAT-3. The star sensor is a major attitude sensor that can determine the 3-axis attitude information, by comparing between star corrdinates in the star catalog and the measured corrdinates. The 2 dimensional CCD camera is used for measuring the star corrdinates and the DSP(Digital Signal Processor) technology is applied to the image and signal processing. Using the prototype star sensor with thermoelectri cooling technique, we have succesfully obtained the star images around 4th magnitude at Sobaeksan Astronomy Observatory minimizing night sky eff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