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모달창 닫기

한국우주과학회지

1984년 ~ 2025년까지 1,253 건한국우주과학회지를 계간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계간 (Quarterly)
  • ISSN : 1225-052x (ISSN : 1225-052x)
  • DB구축현황 : 1,253건 (DB Construction : 1,253 Articles)
안내사항
총 게시글 1,253 페이지 108/126
1071
  • 배정석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3, n.2
  • pp.94-104
  • 1996
  • 원문 바로보기
The satellite experiences the launch environment such as vibration, acceleration, shock induced by rocket and the orbit environment such as high vacuum, no gravity, high temperature and cryogenic. Therefore, the satellite should be designed and manufactured to endure such environments. Also, special care must be taken on the assembly of parts and subsystem. Finally, we describe the environment test of microsatellite to ensure the reliable operation during launch period as well as in-orbit operation.
1072
  • 김경미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3, n.1
  • pp.79-89
  • 1996
  • 원문 바로보기
We calculate the theoretical line profiles for 32 Cyg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various velocity fields. Line profiles are calculated with wind accelerations driven by Alfven waves and described by velocity parameters. The results for Alfvenic wave model show weakened line profiles. For the orbital phases <TEX>${\Phi}$</TEX>=0.78 and <TEX>${\Phi}$</TEX>=0.06 the Alfvenic models show strong absorption part due to very low densities at the surface of the supergiant. Hence, we conclude the velocity gradient of the wind near the supergiant could influence on the theoretical line formation.
1073
  • 이임평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3, n.2
  • pp.181-197
  • 1996
  • 원문 바로보기
CCD 지구 영상 실험 장치(CCD earth image experiment, CEIE)는 우리별 I호의 주 탑재체중의 하나이다. 우리별 1호가 발사된 후에 CEIE는 이제까지 약 500여장의 세계 곳곳의 지표면 영상을 촬영하였다. 내재한 방사학적(radiometric) 오차 및 기하학적(geometric) 찌그러짐으로 인해, 관측된 영상은 지표면의 모습과 아주 다르다. 이러한 영상 데이터롤 다양한 목적의 응용을 위해 처리하고 분석하기전에 이러한 오차를 제거하기 위한 전처리 과정을 반드시 수행하여야한다. 이 논문은 CEIE:의 운영 결과를 요약하고 방사학적 및 기하학적 보정을 수행하는 전처리 과정을 설명한다.
1074
  • 박강민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3, n.2
  • pp.163-172
  • 1996
  • 원문 바로보기
본 논문의 목적은 우리별 1,2호의 디지탈 신호처리부(DSPE, digital signal processing experiment)를 설계, 제작하고 운용, 실험한 결과를 정리하는데 있다. 다목적 임무에 적합한 유연성(flexibility)과 열악한 우주환경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신뢰성을 가진 시스템을 설계, 제작하였다. 지상 및 궤도상에서 몇 가지 수행된 실험중 고속(19.2kbps) 소프트웨어 변조기의 구현을 집중적으로 고찰했다. 상용으로 개발된 부동소수(floating point) 연산형 신호처리 전용 프로세서인 TMS320C30의 장착은 저궤도 위성에 최초로 시도되었으며 차세대 위성의 각종 탑재물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1075
  • 한원용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3, n.1
  • pp.72-78
  • 1996
  • 원문 바로보기
복잡한 광도변화를 보이는 RS CVn형 단주기 식쌓성 UV Piscium의 BV 광도곡선을 Wilson-Devinney의 차등보정 방법으로 분석하여 궤도요소들을 산출하였다. 우리가 분석에 사용한 광도곡선은 식이 일어나지 않고 있는 부분에서도 심한 광도변화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주성에 흑점 군이 있기때문인 것으로 가정하고 이 흑점군의 위치와 크기 등도 계산하였다. 그 결과 UV Psc는 분리계쌍성이며 주성이 반성에 비하여 질량도 크고 온도도 높으나 반경은 거의 같다는 것을 알았다. 이것은 일반적인 항성 모형과는 대조를 보이는 것이어서 이를 검증하기 위한 관측이 요구된다.
1076
  • Kim, Kyung-Joo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3, n.1
  • pp.19-31
  • 1996
  • 원문 바로보기
We have analyzed collected photoelectric light curves for light variations of SW Lac. The method of Fourier analysis was adopted to quantify the light variation from season to season. We found the linear relation between the Fourier coefficient, B1 and the magnitude difference between two maxima. The total light of the system has been decreased as much as 0m.04 during approxiamately 20 years time interval. Photoelectric parameters including spot parameters for all light curves were obtained by the method of the Wilson and Devinney differential correction in order to secure the variations of parameters from season to season. SW Lac, not like RS CVn type stars, required to adjust all parameters as well as spot parameters for a reasonable fit to the observations of each epoch. A surface temperature of cooler star is one of the most sensitive parameters to affect a shape of light curve of SW Lac. We conclude that the shape of light curve of SW Lac varies even during one season as well as season to season. The light curve is mainly caused by inhomogeneous surface temperature due to strong chromospheric activity of the system.
1077
  • 김기형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3, n.2
  • pp.52-66
  • 1996
  • 원문 바로보기
본 논문에서는 우리별 2호(KITSAT-2)와 같은 소형위성의 실시간 제어 컴퓨터 시스댐인 KASCOM(KAIST satellite computer)의 설계시 요구사항(requirement)파 설계 방식(design meth-odology)을 제시한다. 위성 컴퓨터는 위성의 서브시스템으로서 뿐만 아니라 위성의 관리 제어 및 실험 장치들의 운용에 이르기까지 위성의 전 시스템파 연관을 맺고 었다. 이러한 연관성 때문에 위성 컴퓨터의 신뢰성은 위성의 전체 생명 유지에 매우 중요하다. 위성의 제어 컴퓨터로서 가져야 할 요구조건은 위성의 실시간 제어를 위한 연산 능력, 결함 허용의 입출력 시스템, 저전력소모, 무게, 크기, 방사선 차폐 등이다. 이러한 요구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KASCOM에 채택된 여러 설계 방법이 소개된다. 설계뿐만 아니라 실수 없이 구현하고 성능 및 환경 시험을 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KASCOM의 구현 및 테스트 역시 본 논문에서 다툰다. 마지막으로 구현된 시스템의 실제 운용(in-orbit) 결파를 제시한다. 운용 결과, 프로그램 메모리(lMbit SRAM)에서는 하루 평균 2개의 SEU(lMbyte 당), 데이터 메모리(4Mbit SRAM)에서는 하루 평균 3.7개의 SEU(l Mbyte 당)가 관측되었다. 따라서 저집적 메모리가 고집적 메모리보다 SEU에 강한 것으로 보여진다.
1078
  • 이영로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3, n.2
  • pp.134-148
  • 1996
  • 원문 바로보기
본 논문은 우리별 1, 2호에 탑재된 패킷 통신 프로토콜을 이론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먼저 AX.25 프로토콜과 PACSAT 프로토콜을 확장형 페트리 네트로 모델링하고, 도달성 나무 기법을 이용하여 패킷 프로토콜에 대한 정확성, 제한성, 생존성, 그리고 데드록 없음 등을 검증한다.
1079
  • 민승현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3, n.2
  • pp.82-93
  • 1996
  • 원문 바로보기
The paper discusses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KITSAT-1/2 communication systems. Several requirements for the communication system have been analyzed and the specifications for KITSAT-1/2 communication systems have been summarized. Also the design and performance of KITSAT-1/2 communication system is described.
1080
  • Kim, Sang-Joon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3, n.1
  • pp.32-39
  • 1996
  • 원문 바로보기
Voyager IRIS (Infrared Interferometer Spectrometer) observations of Jupiter's Great Red Spot (GRS) have been examined in order to extract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phosphine. To the accuracy than can be achieved from this approach, there appears to be no difference between the PH3 distribution over the GRS compared with the distribution over the neighboring South Tropical Zone. This result is at variance with a pre-Voyager prediction of an enhancement of PH3 over the GRS resulting in the preferential production of red phosphorous in this location on the planet (Prinn & Lewis 1975). The composition of the red material remains an open ques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