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모달창 닫기

한국우주과학회지

1984년 ~ 2025년까지 1,253 건한국우주과학회지를 계간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계간 (Quarterly)
  • ISSN : 1225-052x (ISSN : 1225-052x)
  • DB구축현황 : 1,253건 (DB Construction : 1,253 Articles)
안내사항
총 게시글 1,253 페이지 107/126
1061
  • V771TAU의채층활동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4, n.1
  • pp.59-66
  • 1997
  • 원문 바로보기
V711 Tau의 채층활동을 조사하기 위하여 자외선 영역의 Mg II 방출선의 세기와 광도 변화의 상관 관계를 유추하였다. 첫째, 가시광선 영역의 광도곡선의 형태와 자외선 영역의 광도곡선의 형태를 비교하고, 둘째, IUE 고분산 스펙트럼에서 Mg II 방출선의 세기를 위상별로 측정하고 방출선 부근의 연속선을 이용하여 자외선 광도곡선을 완성하였다. 방출선의 세기와 광도곡선을 비교한 결과 방출선이 강하게 나타나는 위상, <TEX>$0.^{p}4$</TEX>에서는 광도가 어둡게 나타나 최소가 되고, 방출선의 세기가 약할 때는 광도가 밝아져서 최대가 되었다. 이는 자기장이 강한 위상에서는 채층활동과 흑점의 크기가 증가하고 반대로 자기장이 약한 위상에서는 채층활동과 흑점의 크기가 작다는 것을 뜻한다. 그러므로 자기장, 채층활동, 별 표면의 흑점과의 상관 관계가 밝혀지고, V711 Tau의 변광은 표면의 채층활동과 흑점에 의한 것이다.
1062
  • 최정림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4, n.1
  • pp.126-135
  • 1997
  • 원문 바로보기
전파연구소 이천분소에서는 1996년 8월에 지자기연속관측시스템을 이천분소(이천관측소: N37.1447, E127,5509)와 경희대학교(용인관측소: N37.1419, E127.0454)에 각각 설치하여 현재 관측중에 있으며, 현재 이것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있다. 또한 1997년 여름쯤에는 제주도(제주대학교)에 관측시스템 1식을 추가로 설치하여 한반도의 위도별 지자기 변화를 실시간으로 모니터할 예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천 및 용인관측소에서 1996년 12월 2일에 관측한 CME(Coronal Mass Ejection)을 Kakioka 관측소, WIND 및 Geotail 위성에서 관측 한 데이터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1063
  • 이성환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4, n.2
  • pp.275-285
  • 1997
  • 원문 바로보기
1989년 2월에 일본의 우주과학연구소(ISAS: Institute of Space and Astronautical Science)에서 발사한 과학위성 EXOS-D의 전기장 측정기와 지자기 자오선 동경 190/210 선상에 위치하고 있는 17개의 지상자력계들로부터 1994년 11월 09일 18시 50분부터 약 20분에 걸쳐 Pi 2 파동이 검출되었다. 우리가 이용한 지상자력계는 지자기 경도는 동경 185.02에서 동경 269.36사이, 지자기 위도는 -37.09에서 65.67사이에, L값은 1.00에서 5.89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같은 시각에 또 다른 위성 ETS-VI의 자기장 측정기의 자료와 지상의 Kakioka(지자기 동경 208.00, 지자기 위도 26.70), Hermanus(지자기 동경 82.97, 지자기 위도 -33.78) 지상자력계의 자료도 함께 사용하여 비교하여 보았다. Pi 2 파동의 주파수를 알아내기 위하여 FFT를 이용하였으며, L값이 2.35인 EXOS-D 위성과 지상자력계들에서는 주파수가 약 25mHz에서 최대 값을 보였으나, L값이 6.60인 ETS-VI위성에서는 같은 주파수가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지상자력계 중에서 MUT 지상자력계의 자료를 기준으로 하여 위성들과 나머지 지상자력계들간의 상관관계, 위상 차를 조사하여, 발견된 Pi 2 파 동 현상이 플라즈마구 내에서 형성된 공동(cavity) mode에 의한 현상임을 알 수 있었다.
1064
  • 김형신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3, n.2
  • pp.41-51
  • 1996
  • 원문 바로보기
우리별 1,2호는 50kg급의 소형위성으로 위성체내의 모든 데이터의 처리는 주 컴퓨터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주 컴퓨터는 위성운영의 중심으로 고도의 신뢰도를 요구하며, 저 전력소모, 저 중량, 소형 설계가 중요한 설계 제한요소로 고려되어야 한다. 우리별 1,2호의 컴퓨터부는 고성능의 컴퓨터 하드웨어를 사용하기보다는 신뢰도에 중심을 두어 비교적 간단하며 유동적인(flexible) 하드웨어로 설계되었으며, 소프트웨어에 더 큰 비중을 두고 있다. 우리별 I, 2호의 컴퓨터 시수탬은 주 컴퓨터인 OBCI86과 보조 컴퓨터인 OBC80으로 이루 어져 있으며, 주 컴퓨터인 OBCI86은 인공위성 운영체제(spacecraft operating system)를 사용하여 다중 태스크를 실시간적으로 처리한다 .. OBCI86과 OBC80은 발사 이후 현재까지 성공 적으로 동작하고 었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별 I, 2호의 주 컴퓨터인 OBCI86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 대해 설명하고, 우주에서의 운영 결과를 분석하였다.
1065
  • 신영훈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3, n.2
  • pp.149-162
  • 1996
  • 원문 바로보기
1992년 8월에 발사된 한국의 첫번째 위성인 우리별 1호에는 저궤도 고에너지 입자환경를 관측하는 탑재체 cosmic ray experiment(CRE)가 실렸다. CRE는 크게 cosmic particle experiment(CPE)와 total dose esperiment(TDE) 두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이와 더불어 실험 탑재물은 아니지만, 프로그램 메모리와 램디스크(RAM disk)의 비트바뀜현상(SEU) 결과를 통해서 고에너지 입자환경에 대한 간접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1993년 9월에 발사된 두 번재 위성 우리별 2호에는 OBCI인 KASCOM에서 프로그램 메모리와 램디스크 메모리에 대한 비트바뀜현상실험을 수행하였다. 우리별 1호와 2호는 그 구조는 비슷하지만 서로의 궤도가 다르기 때문에 두 위성의 실험결과를 분석해본다면 각 궤도에서의 고에너지 입자환경에 대한 비교연구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된다.
1066
  • Joo, Jong-Myung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3, n.1
  • pp.1-8
  • 1996
  • 원문 바로보기
CCD time series photometry was performed for two Oosterhoff type II field RR Lyrae stars, SV Eri and XX And, to construct light curves in B and V bands. The maximum light times from our observations were combined with those in the literature to construct phase shift diagrams, from which we determined the period change rates <TEX>${\beta}$</TEX>. We obtained large positive period change rates for these stars, which are expected from current evolutionary models if these stars are evolving rapidly from blue to red toward the end of core helium burning phase.
1067
  • Kim, Y.C.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3, n.1
  • pp.40-47
  • 1996
  • 원문 바로보기
One of the important effects of the space environment on the satellites and spacecrafts is the single event upsets (SEUs) which are caused by the high energy particles in space. A SEU occurs when an ionizing radiation produces a burst of electron-hole pairs in a digital microelectronic circuit and causes the charge state to change. We have developed and integrated a software package which can estimate the SEU rates for any specified locations or altitudes under various geophysical conditions. We report in this paper the algorithm of the software and the results for some devices with known parameters. We also compare the results with actual observations made by Akebono.
1068
  • 김성헌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3, n.2
  • pp.30-40
  • 1996
  • 원문 바로보기
우리별 1,2호의 원격명령부는 지상의 지구국, 또는 위성내 부 컴퓨터로부터 위성의 각부분을 제어하는 명령을 수신하여 적절한 전기적인 신호로 해당 부분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원격검침부는 위성의 건강 상태나 운영 상태를 나타내는 각종 정보를 취합하여 지상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원격 검침 및 명령부를 이용하여 위성내의 나머지 부분들을 제어할 수 있으며, 또한 동작 상태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위성내의 어느 시스템보다도 높은 신뢰도가 요구되는 시스템이다. 특히, 저궤도 소형위성이라는 특수한 상황을 고려하여 설계되었으며, 위성 시스템의 전체 구성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우리별 1, 2호는 1992년 8월과 1993년 9월에 각각 발사되어 지금까지 성공적으로 운용되고 있으며, 탑재된 원격검침 및 명령부도 정상적인 동작을 하고 있다.
1069
  • 이영로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3, n.2
  • pp.117-133
  • 1996
  • 원문 바로보기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architecture and protoccl of stored-and-forward packet communication payload of KITSAT 1/2 microsatellites and then analyze this payload in terms of the probabilities of login success and login refusal, and maximum throughput as quality of service parmaeters.
1070
  • Kim, Chul-Hee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3, n.1
  • pp.9-18
  • 1996
  • 원문 바로보기
CCD differential photometry was carried out for seven stars in the 'New Catalogue of Suspected Variable Stars' in order to discover new short-period pulsating variables such as low and high amplitude <TEX>$\delta$</TEX>Scuti stars and RR Lyrate stars. It was found that NSV1132, NSV3031, and NSV5119 are RRs, Irregular, and low amplitude <TEX>$\delta$</TEX>Scuti type variables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