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모달창 닫기

한국우주과학회지

1984년 ~ 2025년까지 1,249 건한국우주과학회지를 계간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계간 (Quarterly)
  • ISSN : 1225-052x (ISSN : 1225-052x)
  • DB구축현황 : 1,249건 (DB Construction : 1,249 Articles)
안내사항
총 게시글 1,249 페이지 99/125
981
  • 오규동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5, n.1
  • pp.83-90
  • 1998
  • 원문 바로보기
Svechnikow & Kuznetsova (1990)의 Catalogue of Approximate Photometric and Absolute Elements of Eclipsing Variable로 부토 3780개의 식 쌍성들을 이용하여 식 쌍성의 질량-궤도 각 운동량과의 상관 관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쌍성이 진화하는 동안 궤도 각 운동량이 보전되지 못하며, 비록 일정한 값을 갖지는 않지만 점진적으로 분리형에서 준분리 형으로 그리고 접촉형으로 진화할수록 그 값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982
  • 조희구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5, n.1
  • pp.119-138
  • 1998
  • 원문 바로보기
최근에 인공위성에 의한 대기 중의 미량 기체 관측이 활발하다. 따라서 이들 자료의 처리기법 개발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인공위성에 의해 태양 엄폐범(太陽 掩蔽法: Solar Occultation Method)으로 관측한 대기 주연 경로(周緣 經路: limb path)의 접선 고도별 평균 투과율로부터 연직 오존 분포를 도출하고, 온도와 기압 오차의 민감도 오차의 민감도 실험을 하고자 한다. 여기에서 서울의 반전(Umkehr)관측에 의하여 구한 연평균 연직 오존분포로 계산된 평균 투과율을 인공위성으로부터 관측된 평균 투과율로 가정하였다. HALOE SIDS (Hallogen Occultation Experiment Simulated Instrument Data Set)의 연직 오존 자료를 초기치로 하고 온도와 기압의 연직 분포를 입력값으로 하여 대기 평균 투과율을 파장 <TEX>$9.89{\mu}m$</TEX>와 <TEX>$10.02{\mu}m$</TEX> 사이에서 접선고도별로 계산했다. 관측 평균 투과율에 대하여 계산한 평균 투과율로부터 오존 분포 법으로 접선고도 10km에서 50km까지 매 3km마다 오존 농도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서울의 연직 오존 분포를 관측한 연직 오존 분포와 비교하였다. 이 결과에 의하면 전 고도에 걸쳐서 서울의 연직 오존 분포가 오차가 거의 없을 정도로 정확하게 도출되었다. 그리고 민감도 실험을 위하여 관측 평균 투과율에<TEX>$\pm0.001$</TEX>, 각 층의 온도에 <TEX>$\pm3K$</TEX>, 그리고 각 층에 기압의 <TEX>$\pm3\%$</TEX>의 강제 오차를 각각 주었다. 이들 각 오차는 ADEOS/ILAS 관측 오차에 근거하였다. 이들의 결과는 투과율 오차에 대하여 -6.5%에서 +6.9%, 온도 오차에 대하여 -9.5%에서 +10.5, 그리고 기압 오차에 대하여 -5.1%에서 +5.4%의 고도별 오존 량 오차가 각각 나타났다. 태양 엄폐 법에 의해 비교적 정확한 연직 오존 분포를 도출할 수 있었다. 이 도출 과정에서 특히 온도 관측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983
  • Sohn, Young-Jonh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5, n.1
  • pp.27-38
  • 1998
  • 원문 바로보기
We discussed four different methods - the single, double and triple Gaussian fits, and the intensity weighted centroid fit - which extract rotation curves from several emis-sion lines(i.e. [OII], <TEX>$H{\beta}$</TEX>, [OIII], and <TEX>$H{\alpha}$</TEX>) of spiral galaxies. Spatial extents and the shapes of rotation curves derived through various methods applying to each emission lines of a sample galaxy UGC 11635 are all in a good agreement with one another. Linewidths of <TEX>$H{\beta}$</TEX> and <TEX>$H{\alpha}$</TEX> measure from rotation profiles are in a good agreement with <TEX>$H{\alpha}$</TEX> linewidth of Courteau (1992). however, linewidths of [OII] seems to be much broader than <TEX>$H{\alpha}$</TEX>, and the profile of [OIII] does not follow the profile of <TEX>$H{\alpha}$</TEX>.
984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5, n.2
  • pp.391-400
  • 1998
  • 원문 바로보기
KSR-II, a two-stage sounding rocket of KARI was launched successfully at the west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at 1000LST, June 11, 1998. For the ozone measurement mission, 8-channel UV and visible radiometers were onboard the rocket. The rocket measured the first in situ stratospheric and mesospheric ozone density profile over Korea during its ascending phase using the radiometer. Comparisons with Dobson spectrophotometer, ozonesonde, and HALOE onboard the UARS are shown together. Our results are in reasonable agreements with others.
985
  • 김재훈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5, n.2
  • pp.499-508
  • 1998
  • 원문 바로보기
다목적 실용위성 관계시스템의 SOS(Satelite Operations Subsystem) 서브시스템은 위성에서 보내온 원격측정 데이터를 처리하여 위성의 상태를 감시하고 위성으로 원격명령을 전송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본 논문에서는 SOS 서브시스템의 신뢰성 및 가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이중화하여 데이터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설계한 SOS의 동족 고장관리(dynamic fault management) 기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또한 구현의 정당성을 확인하기 위한 성능 시험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그에 대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986
  • Kim, Chung-Lee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5, n.1
  • pp.151-162
  • 1998
  • 원문 바로보기
Infrared absorption spectra of 9 bulk samples and 3 acid residues of meteorites were obtained in the mid-infrared region (<TEX>$4000~400cm^{-1}$</TEX>). From the know composition of meteorites studied, the possible absorption modes were investigated. Most bands of bulk samples occur in the region below <TEX>$1200cm^{-1}$</TEX> and they are due to metallic oxides and silicates. The spectra of each group can be distinguished by its own characteristic bands. Acid residues show very distinct features from their bulk samples, and absorp-tion bands due to organic compounds are not evident in their spectra. Quantiative analyses for two carbonaceous (Allende CV3 and Murchison CM2) and one ordinary (Carraweena L3.9) chondrites were performed for the presence of fullerene (<TEX>$C_{60}$</TEX>) in the meteorites. We calculated the concentration of <TEX>$C_{60}$</TEX> in the acid residues by curve-fitting the spectra with Gaussian functions. The upper limit of <TEX>$C_{60}$</TEX> concentration in these meteorites appears to be less than an order of a few hundred ppm.
987
  • 김경미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5, n.1
  • pp.101-110
  • 1998
  • 원문 바로보기
32Cyg의 B형 별 주위에 형성된 <TEX>$str{\'{o}}mgren$</TEX> 구를 가정하고 공전궤도위상 0.06과 0.78에서 이론적인 선 윤곽을 계산하였다. 항성 풍의 속도분포에 따라 alfv n 파 모형의 선윤곽이 누승 함수의 속도 분포를 이용한 모형의 선 윤곽 보다 전체적으로 낮은 세기를 보였다. HII 모형은 HII 영역이 없는 경우보다 약한 선 윤곽을 보였으나 <TEX>$\phi$</TEX> = 0.06에서는 HII 영역이 없는 모형이 HII 영역을 가진 모형에 비해 단지 적색편이 쪽에서만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한편 <TEX>$\phi$</TEX> = 0.79에서 HII 영역을 가진 <TEX>$Alfv{\'{e}}n$</TEX> 파 모형의 선 윤곽은 적색편이와 청색 편이 쪽에서 각각 다른 속도기울기의 누승 함수 모형으로써 나타낼 수 있었다. 이는 급격한 초기 속도 기울기를 고려하여 2개의 가속영역을 가진 누승 함수 모형이라면 항성 풍의 가속과정을 고려하지 않음으로써 생기는 오차를 줄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의미한다.
988
  • Rey, Soo-Chang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5, n.1
  • pp.39-48
  • 1998
  • 원문 바로보기
We present the results of a search for photometric variable blue straggler stars(BSSs) in the globular cluster M53. Six of 151 probable BSSs are identified as variable candidates based on the robust variable star detection technique of Welch & Stetson (1993). Most variable BSS candidates appear to occupy the instability strip in the color-magnitude deagram, and they appear to have visual light amplitudes of 0.2 mag-0.3 mag. Further observations are required, however, to resolve the natrue of variabil-ity between pulsating stars and eclipsing binaries for these variable BSS candidates.
989
  • 김재훈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5, n.2
  • pp.475-484
  • 1998
  • 원문 바로보기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개발은 그 우수성이 입증됨에도 불구하고 기존 개발 방법론에 익숙해진 개발자들에게는 여전히 사용하기엔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위성 관제시스템 개발을 위해 기존의 구조적 분석 기법인 자료흐름도(DFD: Data Diagram)와 그래픽 설계 명세서인 구조 도를 재 사용하여 객체지향 설계 모델 링을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즉, 객체지향 기법에서 가장 어렵게 느껴지는 객체 추출을 기존 적 구조적 그래픽 기법을 이용함으로써 분석 설계를 손쉽게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990
  • 박종옥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5, n.1
  • pp.235-244
  • 1998
  • 원문 바로보기
인공위성의 궤도조정에 사용되는 소모연료의 최적화를 위해, 비 선형 제어 시스템인 슬라이딩 제어 기법을 사용하여 지구 비대칭 중력장에 의해 섭동력을 고려한 궤도조정 문제의 해를 구하였다. 결합 방정식을 이용한 해법을 통해 총 속도 변화량이 최소가 되는 Lambert 궤도를 목표궤도로 설정하고 그에 따른 궤도조정 시간을 결정하였다. 결정된 궤도조정 시간이 종료되는 시점에서 제한된 추력에 의해 제어되는 인공위성의 상태 백터가 경계조건과 일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슬라이딩 제어를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2단 슬라이딩 제어기법을 도입하였으며, 이를 인공위성 랑데뷰 문제에 적용하여 최적 에어방법에 의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새롭게 제안된 제어방법을 이용한 궤도조정은 이상적인 전이궤도인 Lambert 궤도와 근접한 궤도를 갖도록 하는 thrust-coast-thrust 형태의 추력을 나타내었으며, 이 때 필요한 속도의 변화량은 Lambert's two-impulsive 방법에 의한 값에 매우 근접한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궤도조정 시간이 종료되었을 때, 궤도의 모든 상태변수들이 최종 경계조건과 거의 일치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