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모달창 닫기

한국우주과학회지

1984년 ~ 2024년까지 1,246 건한국우주과학회지를 계간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계간 (Quarterly)
  • ISSN : 1225-052x (ISSN : 1225-052x)
  • DB구축현황 : 1,246건 (DB Construction : 1,246 Articles)
안내사항
총 게시글 1,246 페이지 91/125
901
  • 이희원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8, n.1
  • pp.33-42
  • 2001
  • 원문 바로보기
이 논문에서는 Cerro Tololo Inter-American Observatory의 1.5미터 망원경에 설치된 에셸 분광기로부터 얻은 나비형 행성상 성운 M2-9의 분광 자료에 나타나는 6545 <TEX>${\AA}$</TEX>의 방출선이 He II n = 6 -> n = 2 천이의 방출선이 수소 원자에 라만 산란되어 형성됨을 제안한다. 또한, 이 천체에서 He II의 방출선인 6560 <TEX>${\AA}$</TEX> (n = 6 -> n = 4)와 6527 <TEX>${\AA}$</TEX>( n = 12 -> n = 5)이 분광 자료에 나타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He II 방출선 지역이 뜨거운 백색 왜성 근처에서 형성되며, 광학적으로 두꺼운 성분에 쉽게 가려질 수 있지만, 증성 수소에 의한 라만 산란은 더 넓은 지역에서 형성되어 관측자 시선에 들어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우리는 과이온화 모델을 사용하여, He II방출선 지역의 크기를 계한하였다. 이 계산의 결과로부터 우리는 중심별의 온도가 적어도 <TEX>$10^5K$</TEX>보다 더 뜨겁고, He II방출선 지역을 가리는 불투명한 성분의 크기가 <TEX>$10^{16}cm$</TEX>보다 크다고 추정한다. 이 크기는 M2-9까지 거리를 1 kpc으로 잡았을 때에 각거리로 1'로서, 허블 우주 망원경으로부터 알려진 적도면의 큰 소광을 일으키는 지역의 크기와 대체적으로 일치한다.
902
  • Moon, Hong-Kyu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8, n.3
  • pp.191-208
  • 2001
  • 원문 바로보기
We have recently compiled a database of the properties of 192 impact craters, which supercedes previous compilations. Using our database, the impact structures found in North America, Europe and Australia have been examined; these cratonic areas have been relatively stable for considerably long geological periods, and thus have been best preserved.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a close correlation between the geological epoch boundaries, the epochs of mass extinctions, antral the 'timing' of impacts. In addition, the terrestrial cumulative flux of objects >20km is found to be <TEX>$1.77{\times}10^{-15}km^{-2}yr^{-1}$</TEX>, over the last 120 Myr, which is much smaller than the published values in McEwen et al. (1997) and Shoemaker (1998) (<TEX>$5.6{\pm}2.8{\times}10^{-15}km^{-2}yr^{-1}$</TEX>. For terrestrial impact structures with D> 50 km, the apparent cumulative flux over the last 2450 Myr is ~50 times smaller than the corresponding value for the Moon. If we assume that the Earth and the Moon suffered the same level of bombardment over this time, this would mean that the actual flux of impacting bodies, capable of making craters with D)50 km, was ~ 50 times larger than the apparent flux estimated from the currently known terrestrial records.
903
  • 김성준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8, n.1
  • pp.71-80
  • 2001
  • 원문 바로보기
KITSAT-1에 탑재된 Total Dose Experiment (TDE)로 부터 관측된 RADFET의 문턱전압 변화를 원자력 연구소 조사실의 Co-60 감마선 조사 장치를 이용한 보정 실험을 통해 총 방사능양으로 환산하였다. 위성 내 센서의 위치에 따라 측정되는 총 방사능양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지구 자기권에서의 NASA 방사선 모델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이러한 차이가 센서 위치에 따라 위성체에 의한 차폐 효과가 다르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임을 확인하였다.
904
  • Kim, Sang-Joon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8, n.2
  • pp.95-100
  • 2001
  • 원문 바로보기
We have presented an ab initio model of the <TEX>$2{mu}m$</TEX> spectral features of <TEX>$(H_2)_2$</TEX> based on the far-infrared models of McKellar & Schaefer (1991). We have shown that the intensity variations of the <TEX>$2{mu}m;(H_2)_2$</TEX> features depend on the ortho/para ratios of <TEX>$H_2$</TEX> We have discussed the applicability of the variations to the atmospheres of the giant planets for the derivations of the ortho/para ratios. The signal to noise ratios of currently available spectra of the giant planets are not sufficient enough to derive accurate ortho/para ratios of these planets. Observations with longer exposure times and larger telescope apertures are required to obtain better spectra for the derivations of the ortho/para ratios of <TEX>$H_2$</TEX> in the atmospheres of the giant planets.
905
  • 황승현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8, n.3
  • pp.249-256
  • 2001
  • 원문 바로보기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는 지난 1998년 KSR-2 촤학로켓에 이온층 전자환경 측정기를 탑재하여 한반도 상공의 전자 밀도, 전자 온도, 부동 전위등을 측정하는데 성공하였다. 이온층 전자환경 측정기는 한반도 상공 이온층의 전자 온도와 밀도를 측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2002년 상반기 발사 예정인 KSR-3 과학로켓에 탑재될 전자환경 측정기를 개발하였고 일본에서 우주 환경 모사 실험을 수행하여 측정기의 성능을 확인하였다. 전자환경 측정기는 랑뮈어 프로브(Langmuir Probe)와 전자 온도 프로브(Electron Temperature Probe)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센서들의 측정 결과로부터 이온층의 전자 밀도와 온도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렇게 개발된 전자환경 측정기로부터 신뢰성 있는 자료를 얻는다면 IRI(International Reference Ionosphere) 모델이나 PIM(Parameterized Ionospheric Model)과 비교하여 한반도 상공의 이온층 전자 환경에 대한 이해를 돕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906
  • 김현주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7, n.2
  • pp.221-232
  • 2000
  • 원문 바로보기
밀리미터파 우주잔파 수신기의 국부 발진기로 사용될 수 있는 도파관형 건 발진기를 제작하였다. 제작한 건 발진기는 60 GHz에서 70 GHz까지 발진하는 광대역 특성을 보였다. 건 발진기는 공진 디스크와 포스트의 직경 변화와 다이오드 특성에 따라 발진 주파수의 특성이 달라진다. 본 논문에 우리는 광대역 발진 특성을 가지는 건 발진기의 설계 방법과 측정결과를 보였으며, 제작한 발진기는 대덕천파천문대의 100/150 GHz대 이중채널 수신기로 활용되고 있다.
907
  • Sohn, Young-Jong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7, n.2
  • pp.133-140
  • 2000
  • 원문 바로보기
From the VI images of M13, obtained by using 2K CCD camera and the BOAO 1.8m telescope, we derive the(V - I) - V CMD of M13. From the shapes of red giant branch, the magnitude of horizontal branch, and the giant branch bump on the constructed CMD, we determined the metallicity of the globular cluster to be 1.74<TEX>${\lesssim}$</TEX>[Fe/H]<TEX>${\lesssim}$</TEX>-1.41. The good agreement between our determination of [Fe/H] and those determined by using other methods implies that the morphology of red giant and horizontal branches on (V - I) - V CMD's can be good indirect metallicity indicators of Galactic globular clusters.
908
  • Kim, Hyo-Min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7, n.2
  • pp.317-328
  • 2000
  • 원문 바로보기
The solar wind contributes to the formation of unique space environment called the Earth's magnetosphere by various interactions with the Earth's magnetic field. Thus the solar-terrestrial environment affects the Earth's magnetic field, which can be observed with an instrument for the magnetic field measurement, the magnetometer usually mounted on the rocket and the satellite and based on the ground observatory. The magnetometer is a useful instrument for the spacecraft attitude control as well as the Earth's magnetic field measurements for the spacecraft purpose.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preliminary design and test results of the two onboard magnetometers of KARI's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sounding rocket, KSR-3, which will be launched four times during the period of 2001-02. The KSR-3 magnetometers consist of the fluxgate magnetometer, MAG/AIM (Attitude Information Magnetometer) for acquiring the rocket flight attitude information, and of the search-coil magnetometer, MAG/SIM (Scientific Investigation Magnetometer) for the observation of the Earth's magnetic field fluctuations. With the MAG/AIM, the 3-axis attitude information can be acquired by the comparison of the resulting dc magnetic vector field with the IGRF (International Geomagnetic Reference Field). The Earth's magnetic field fluctuations ranging from 10 to 1,000 Hz can also be observed with the MAG/SIM measurement.
909
  • 김방엽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7, n.1
  • pp.107-116
  • 2000
  • 원문 바로보기
본 연구는 지구 공전 궤도 근처의 Leonid의 출현 빈도와 속도 등을 예측하기 위한 연구의 초기 단계로서 meteoroid에 대한 기초 자료 조사와 더붙어 기존에 알려져 있는 meteoroid 입자의 분출 속도 모텔과 섭동 모델로부터 meteoroid의 운동 방향과 속도를 컴퓨터로 계산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것을Leonid stream에 적용해 보았다. 입자의 초기 속도 모델로는Jones의 분출속도 분포모델을 사용하였으며, meteoroid의 궤도 운동 모델에는 태양과 달, 지구를 비롯한 각 행성들의 섭동 모델이 포함되었다. 태양계 천체들의 Ephemeris를 구하기 위해 JPL (Jet Propulsion L Laboratory)의 SSD (Solar System Dynamics) Laboratory에서 개발된 DE405 Solar System E Ephemeris 데이터 파일을 사용하였다. 이외에 중요한 섭동 요소로써 태양 복사압을 고려하였으며, 적분 알고리즘으로는 8차 Runge-Kutta 방법을 사용하였다.
910
  • Lee, Byoung-Sun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7, n.2
  • pp.285-294
  • 2000
  • 원문 바로보기
The post-launch mission analysis of the KOMPSAT-1 spacecraft was carried out. The injection accuracy of the Taurus launch vehicle was analyzed by comparison of the target and the realized orbit parameters. The tracking station contact analysis was also performed based on the state vectors applied at the day of launch. The offset angles between the predicted orbit and realized orbit were calculated for various tracking stations. The injection orbit parameters of the KOMPSAT-1 were analyzed for the possible options in Launch and Early Orbit Phase(LEOP) operations. Variations of the Local Time of Ascending Node(LTAN) were also obtai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