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모달창 닫기

한국우주과학회지

1984년 ~ 2025년까지 1,253 건한국우주과학회지를 계간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계간 (Quarterly)
  • ISSN : 1225-052x (ISSN : 1225-052x)
  • DB구축현황 : 1,253건 (DB Construction : 1,253 Articles)
안내사항
총 게시글 1,253 페이지 95/126
941
  • 이동한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7, n.2
  • pp.295-308
  • 2000
  • 원문 바로보기
OSMI(Ocean Scanning Multi-Spectral Imager) raw image data(Level 0) were acquired and radiometrically corrected. We have applied two methods, using solar & dark calibration data from OSMI sensor and comparing with the SeaWiFS data, to the radiometric correction of OSMI raw image data. First, we could get the values of the gain and the offset for each pixel and each band from comparing the solar & dark calibration data with the solar input radiance values, calculated from the transmittance, BRDF (Bidirectional Reflectance Distribution Function) and the solar incidence angle(<TEX>$\beta$</TEX>, <TEX>$\theta$</TEX>) of OSMI sensor. Applying this calibration data to OSMI raw image data, we got the two odd results, the lower value of the radiometric corrected image data than the expected value, and the Venetian Blind Effect in the radiometric corrected image data. Second, we could get the reasonable results from comparing OSMI raw image data with the SeaWiFS data, and get a new problem of OSMI sensor.
942
  • Seon, J.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7, n.2
  • pp.233-240
  • 2000
  • 원문 바로보기
Five scientific instruments are planned on KAISTSAT-4 that is scheduled to be launched in 2002. A far ultra-violet imaging spectrograph and a set of space plasma instruments are currently being designed. The imaging spectrograph will make observations of astronomical objects and Earth's upper atmosphere. The plasma instrumentation is capable of fast measuring the thermal magnetosphere plasmas, cold ionospheric plasmas and the Earth's magnetic fields. Major system drivers and constraints on the payloads as well as the spacecraft are identified. A preliminary analysis of the K-4 mission has been undertaken with the system requirements that are derived from the system drivers. Detailed investigation shows that Sun-synchronous orbits with approximate altitudes of 800km are optimal to satisfy the identified requirements. Comparisons with other orbits of different inclinations are also shown. Four operation modes and a daily schedule of spacecraft maneuver are found from the Sun-synchronous orbital model. It is shown that the scientific objectives of K-4 can be achieved with moderate levels of design and operation risks.
943
  • 조은아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7, n.1
  • pp.87-98
  • 2000
  • 원문 바로보기
오로라 제트전류에 영향을 미치는 전기장과 전기전도도의 상대적인 기여도를 조사했다. 이 목적 을 위해서 국제자기권연구 (IMS) 기간인 1978년 3월 17-19일 사이에 관측된 지자기변화자료를 이용했다. Allen & Kroehl (1975)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AU 및 AL 지수를 정의하였다. 이들은 각각 <TEX>$1500\leq MLT\leq1800$</TEX> 및 <TEX>$0000\leq MLT\leq0300$</TEX> 구간에 위치한 AE 관측소의 지자기변화자료를 이용해 작성되었다. 그리고 이렇게 정의된 지수로부터 동향 및 서향제트전류의 전류밀도를 계산했다. 저녁영역의 전기전도도는 태양의 EUV 복사에 의한 것으로 가정하고 AU 지수에 기여하는 전기장의 분포를 추정하였다. 나아가 저녁과 새벽영역의 전기장분포가 거의 같다는 관측사실로부터 AL 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하강오로라입자에 의한 Hall 천기전도도분포를 추정하는 것이 가능했다. 이렇게 얻어진 전기장 및 전기전도도분포는 각각 AU 및 AL 지수와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것은 AU 및 AL 지수가 각각 직접가동 및 저장-방충과정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
944
  • Rhee, Hwang-Jae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7, n.1
  • pp.99-106
  • 2000
  • 원문 바로보기
When a deployed probe is biased by a high positive potential during a space experiment, the payload is induced to a negative voltage in order to balance the total current in the whole system. The return currents are due to the responding ions and secondary electrons on the payload surface.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rrent collection mechanism, the process was simulated with a combination of resistor, inductor, and capacitor in SPICE program which was equivalent to the background plasma sheath. The simulation results were compared with experimental results from SPEAR-3 (Space Power Experiment Aboard Rocket-3). The return current curve in the simulation was compatible to the experimental result, and the simulation helped to predict the transient plasma response to a high voltage during the plasma sheath formation.
945
  • 선광일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7, n.1
  • pp.77-86
  • 2000
  • 원문 바로보기
약 <TEX>$10^{4.5}K$</TEX>과 <TEX>$10^{6}K$</TEX> 사이의 온도를 갖는 고온기체가 주로 복사열에 의해 냉각될 때 900 <TEX>${\AA}$</TEX>에서 1 1,200 <TEX>${\AA}$</TEX>사이의 원자외선 영역에서 OVI 이중선<TEX>$(\lambda\lambda1032,\lambda\lambda1038)$</TEX>을 가장 강하게 방출하게 된다. 은하 전체에 걸쳐 넓게 분포하는 원자외선 방출선을 검출하려는 시도가 그동안 몇 번 있어왔으나 극히 제한된 일부 시선방향으로만 OVI 방출선이 관측되었을 뿐 관측 자료가 극히 미비한 상태이다. 또한 지구 대기로부터 방출되는 여러가지 밝은 대기광들로 인해 OVI 방출선의 관측이 영향을 받게 된다. 대기광중 OVI 방출선에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HI 1025 <TEX>${\AA}$</TEX>과 01 1027 <TEX>${\AA}$</TEX> 두 line이 약 <TEX>$10^{5.5}K$</TEX> photons/s/<TEX>$cm^2$</TEX>/sr의 강도 (intensity)로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 는 온테카를로 모의실험과 <TEX>$\chi^2$</TEX> 검사 기법 등을 통하여 과학위성 1호에 탑재 예정인 원자외선 분광기로부터 OVI 이중선의 검출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또한 기존의 원자외선 관측 결과 및 이론으로부터 예상되는 결과와 비교하였으며 OVI 분석 결과를 실제 광학부 제작에 필요한 오차 허용 한계 (tolerance limit)를 결정짓는 중요한 변수로 사용하도록 하였다.
946
  • 강영운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7, n.2
  • pp.189-198
  • 2000
  • 원문 바로보기
RS Cvn형 4상성 SZ Psc의 광도곡선에 나타난 뒤틀림 현상을 규명하기 위하여 자외선 영역의 방출선과 가시광선 영역의 광도곡선을 분석하였다. 자외선 영역에서 IUE 고분산 분광선 중에서 MgII 방출선의 강도를 조사하여, 채충 활동은 주로 Kl IV 별에서 일어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가시광선 영역에서 나타난 광도 곡선의 뒤틀림 현상은 Kl IV별에 혹점이 존재하는 혹점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SZ Psc의 뒤틀린 광도 곡선을 잘 설명할 수 있었다. 그 결과 SZ Psc에 대한 완전한 측광학적인 해를 최초로 제시하였다.
947
  • 성언창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7, n.2
  • pp.199-210
  • 2000
  • 원문 바로보기
이 연구는 1997년 2월 21일부터 5월 l일까지 소백산천문대 61 cm망원경과 CCD카메라, 그리고 5개의 협대역 필터를 이용하여 근일점 근방을 지나는 헤일-밥 혜성 (Comet Hale-Bopp, C/1995 01) 코어 4’ 내의 CN, <TEX>$C_2$</TEX>, <TEX>$C_3$</TEX> 방출선에 대한 분광측광 관측 결과이다. 이 연구에서는 협대역 필터를 이용한 분자 방출선 영상의 형태학적인 특징과 근일점 근처에서의 시간에 따른 분자 방출 선의 변화 추이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헤일-밥 혜성은 형태학적인 면에서 중심에서 반경 4' 내에 있는 혜성 코어의 CN의 분자 방출선은<TEX>$C_2$</TEX>나 <TEX>$C_3$</TEX>에 비하여 구형의 대청척인 형태를 보인 반면, <TEX>$C_2$</TEX>나 <TEX>$C_3$</TEX> 분자의 방출선은 비대청적인 분포를 보였다. 그리고 이들 분자의 방출선 영상에서 광대역 필터의 영상에 나타난 나선팔과 같은 형태학적 특성이 나타났다. 한편 측광학적인 특정으로 <TEX>$C_2$</TEX>, <TEX>$C_3$</TEX> 분자 방출선의 광도 분포는 CN 보다 중심 집중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태양으로부터 거리에 따른 CN의 표면광도 변화는 <TEX>$C_2$</TEX>, <TEX>$C_3$</TEX> 표면광도 변화와 약간 다른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 러나 근일점 근처에서 이들 분자의 방출선의 광도의 따른 변화는 이천 연구에서 제기되었던 7일 주기로 나타나는 극대 광도를 보여 주고 있다.
948
  • 문용진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6, n.1
  • pp.61-68
  • 1999
  • 원문 바로보기
GPS신호는 대류권을 지나면서 지연된다. 대류권에서의 신호지연은 건조공기에 의한 건조지연과 수증기에 의한 습윤지역으로 분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98년 5월 한달동안 대전, 수원에서 관측된 GPS자료를 최소자승법으로 처리하여 천장방향에 대한 총 대류권 신호지연값을 얻어내었다. 건조지연값은 지상기압을 정확하게 관측하면 얻어지므로 총대류권 지연양에서 건조지연값을 빼주면 천장방향의 습윤지연값을 얻게된다. 천장 습윤지연값은 대류층의 수증기양과 직접적으로 연관됨으로 수증기량을 측정하였고 결과의 신빙성을 검증하기 위해 오산에서 관측된 라디오존데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한 대류권 수증기량과 비교하여 보았다. 그 결과 오산에서 가까운 수원의 경우 수증기량의 변화 경향이 라디오존데의 그것과 대체로 일치하였고 표준편차 3.68mm의 정도의 정확도를 보였다.
949
  • Kim, Jeong-Soo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6, n.2
  • pp.177-190
  • 1999
  • 원문 바로보기
An absorbed heat-flux method for ground simulation of on-orbit thermal environment of satellite is addressed in this paper. For satellite ground test, high vacuum and extremely low temperature of deep space are achieved by space simulation chamber, while spatial environmental heating is simulated by employing the absorbed heat-flux method. The methodology is explained in detail with test requirement and setup implemented on a satellite. Developed heat-load control system is presented with an adjusted PID-control logic and the system schematic realized is shown. A practical and successful application of the heat simulation method to KOMPSAT(Korea Multi-purpose Satellite)thermal environmental test is demonstrated, finally.
950
  • Lee, Byoung-Sun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6, n.2
  • pp.167-176
  • 1999
  • 원문 바로보기
The optimal initial inclination for minimizing the variation of the Local Time of Ascending Node(LTAN) during the three year mission of the KOMPSAT is investigated. At first, the analytical equation for the inclination change by the Sun is derived and the optimal initial inclination by analytical method is derived. Then the analytically derived optimal inclination is checked by the numerical orbit propagation with including all major perturbations. Four different cases of the initial orbital elements are used for monitoring the LTAN variation of the LTAN. Therefore, a new optimal initial inclination by numerical orbit propagation for the KOMPSAT is found. In addition, the variations of the mean and osculating semi-major axis are investigated with the different atmospheric density values. The mean eccentricity vs. argument of perigee diagram for the frozen orbit is obtai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