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모달창 닫기

한국우주과학회지

1984년 ~ 2025년까지 1,249 건한국우주과학회지를 계간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계간 (Quarterly)
  • ISSN : 1225-052x (ISSN : 1225-052x)
  • DB구축현황 : 1,249건 (DB Construction : 1,249 Articles)
안내사항
총 게시글 1,249 페이지 86/125
851
  • Chang, Heon-Young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9, n.3
  • pp.181-186
  • 2002
  • 원문 바로보기
We study a role of the proto-accretion disk during the formation of the planetary system, which is motivated with recent X-ray observations. There is an observational correlation of the mass of extrasolar planets with their orbital period, which also shows the minimum orbital period. This is insufficiently accounted for by the selection effect alone. Besides, most of planetary formation theories predict the lower limit of semimajor axes of the planetary orbits around 0.01 AU. While the migration theory involving the accretion disk is the most favorable theory, it causes too fast migration and requires the braking mechanism to halt the planet~0.01 AU. The induced gap in the accretion disk due to the planet and/or the truncated disk are desperately required to stop the planet. We explore the planetary evaporation in the accretion disk as another possible scenario to explain the observational lack of massive close-in planets. We calculate the location where the planet is evaporated when the mass and the radius of the planet are given, and find that the evaporation location is approximately proportional to the mass of the planet as <TEX>${m_p}^{-1.3}$</TEX> and the radius of the planet as <TEX>${r_p}^{1.3}$</TEX>. Therefore, we conclude that even the standard cool accretion disk becomes marginally hot to make the small planet evaporate at~0.01 AU. We discuss other auxiliary mechanisms which may provide the accretion disk with extra heats other than the viscous friction, which may consequently make a larger planet evaporate.
852
  • 임홍서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9, n.4
  • pp.341-350
  • 2002
  • 원문 바로보기
한국천문연구원 지구접근천체 연구실과 연세대학교 천문대 YSTAR 팀은 해외에 설치될 전천탐 사용 광시야 망원경을 위한 돔 엔클로져(dome enclosure)를 순수한 우리 기술로 제작하였다. 이 돔 엔클로져는 망원경의 빠른 구동특성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완전 개방형의 구조를 지님과 동시에 다양한 기상 조건에 대응하도록 견고한 구조를 가지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자동 관측 프로그램과 연동되어 무인 관측 시스템의 한 부분으로도 그 역할을 다하도록 전자 제어부도 함께 설계되었다. 개발된 돔 엔클로져는 현재 남아프리카공화국 천문대 써덜랜드 관측소에 설치되어 성공적으로 가동되고 있다.
853
  • 곽영실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9, n.4
  • pp.243-254
  • 2002
  • 원문 바로보기
Sondrestrom 비간섭 산란 레이더로부터 구한 전자밀도분포를 이용하여, 전리층의 전기전도도를 추정할때 야기되는 불확실성들을 검토하였다. 첫째, 실제로 관측된 전자밀도와 전자와 양이온의 온도차이 및 Debye length효과를 보정한 전자밀도를 사용했을 경우에 야기되는 전리층 전기전도도의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보정한 전자밀도로부터 추정된 전기전도도는 실측 전자밀도를 사용했을 때 보다 큰 값을 나타내었다. 둘째, 전기전도도 추정에 이용되는 전자-중성대기 및 양이 온-중성대기의 충돌빈도모델에 따른 차이점도 비교해 보았다. 약 110km 이하의 고도에서는 전기전도도가 충돌빈도모델에 크게 의존하지 않았지만, 약 110km 이상의 고도에서는 이용된 모델에 따라 전기전도도의 값이 달랐다. 셋째, 전자 및 양이온의 부정확한 온도측정이 전기전도도의 추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전자 및 양이온의 온도측정에 약 10% 이내의 오차가 포함된 경우가 전기전도도의 계산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고도 적분된 전기전도도의 추정시 적용되는 적분 구간에 대해서도 검토해 본 결과, Hall 및 Pedersen 전기전도도의 값이 각각 하부 및 상부 적분 고도의 선택에 매우 민감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854
  • Lee, J.W.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9, n.3
  • pp.187-196
  • 2002
  • 원문 바로보기
2000년 11월부터 2001년 5월까지 총 16일간 맥동 식쌍성 Y Carn을 소백산천문대의 61cm 망원경에 부착된 단일 V 필터로 CCD 측광을 수행하였다. 새롭게 얻은 V 광도곡선과 Broglia & Marin(1974)의 BV 광도곡선을 Wilson-Devinney 방법의 Mode 2(분리형)와 Mode 5(준분리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광도곡선 분석만으로는 분리헝과 준분리형의 Roche 모형 중 어느 것이 Y Cam의 진실한 Roche 모형인가를 가려낼 수가 없다. 2) Y Cam의 B광도곡선에는 삼체의 광도가 약 2%, V광도곡선에는 약 3% 존재한다. 3) Y Cam의 주성에서 발생하는 맥동에 의한 밝기 변화는 광도곡선 해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으나, 맥동을 고려하였을 경우 분리형 모델이 준분리형 모델보다 약간 더 관측치를 잘 맞춘다. 4) 분리형과 준분리형 각각에 대해 Y Cam의 절대물리량을 계산하였다.
855
  • Lee, Sang-Uk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9, n.4
  • pp.403-408
  • 2002
  • 원문 바로보기
3D display of spacecraft motion by using telemetry data received from satellite in real-time is described. Telemetry data are converted to the appropriate form for 3-D display by the real-time preprocessor. Stored playback telemetry data also can be processed for the display. 3D display of spacecraft motion by using real telemetry data provides intuitive comprehension of spacecraft dynamics.
856
  • 신명원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9, n.2
  • pp.151-162
  • 2002
  • 원문 바로보기
인공위성에서의 우주방사선 차폐계산을 위한 근사계산 방법으로 sectoring method를 적용하는 방법과 chord-length 분포를 이용하는 방법을 상세 계산 결과와 비교하였다. 저 궤도 위성인 우리별 1호를 대상으로 양성자의 차폐계산을 수행하였다. 이때 방사선환경은 AP-8 model을 이용하여 구한 SAA(South Atlantic Anomaly)지역으로 가정하였다. Sectoring method와 chord-length 분포를 이용하는 방법은 양성자가 물질내에서 직진한다는 기본적인 가정을 사용하므로 3차원 상세계산 결과와 비교하여 어느 정도의 오차를 갖는다. 그러나 우리별 1호를 대상으로 수행된 계산 결과에서 두 계측기 위치에서의 피폭량 예측은 2가지 근사모델이 모두 상세계산 결과와 근사하게 일치하였다.
857
  • Seon, K.I.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9, n.4
  • pp.283-292
  • 2002
  • 원문 바로보기
과학위성 1호의 탑재체 원자외선 분광기의 전자보드는 인공위성 운영시 경험하는 환경하에서 전자적 성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전자부품의 온도가 지나치게 높아지지 않도록 열적 특성을 고려하여 설계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원자외선 분광기의 전자부의 보드수준에서 열 해석을 수행하였고, 원자외선 분광기의 작동환경하에서 전자부품의 허용온도 범위내에서 온도가 유지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858
  • 김성백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9, n.4
  • pp.351-366
  • 2002
  • 원문 바로보기
본 연구에서는 저가의 INS와 GPS 정보를 합성하여 고기동 환경에서 항체의 위치와 자세정보를 연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약결합 방식의 통합 알고리즘을 구현하였고, 4S-Van에 장착된 이미지 센서의 위치와 자세결정 방법에 사용하였다. (D)GPS/INS 통합을 실시하기 전 IMU의 초기 정렬과정에서 방위각은 두 대의 GPS를 통해 결정하였으며 칼만 필터를 이용한 정밀정렬을 수행하였다. 통합 알고리즘의 성능평가를 위해 차량 테스트와 시뮬레이션 테스트를 병행하였다. 통합 결과 차량 시험을 기준으로 나타난 위치 오차는 직선도로에서 l0cm 내외의 정확도를 보이며 자세오차의 경우 시뮬레이션을 기준으로 롤각은 <TEX>$0^{\circ}.01$</TEX>, 피치각은 <TEX>$0^{\circ}.03$</TEX>, 요각은 <TEX>$0^{\circ}.1$</TEX> 내외의 정확도를 보였다. 구현된 (D)GPS/INS 알고리즘은 기하보정 방법을 통해 이미지센서의 위치와 자세정보 제공자로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4S-Van에 장착된 이미지 센서의 영상획득 시각에 대한 기하학적인 정보를 통해 지상의 건물이나 도로 시설물 등에 대한 3차원 공간 자료 구축이 가능하다고 보며, 구축된 정보를 통해 기존의 수치지도 갱신, 도로 시설물 관리, 비디오 GIS 데이터 베이스 구축 등에 대한 공간 자료 연계 및 응용에 활용할 계획이다.
859
  • Choi, Sung-Ki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9, n.2
  • pp.107-122
  • 2002
  • 원문 바로보기
Multi-body spacecraft attitude and configuration control formulations based on the use of collaborative control theory are considered. The control formulations are based on two-player, nonzero-sum, differential game theory applied using a Nash strategy. It is desired that the control laws allow different components of the multi-body system to perform different tasks. For example, it may be desired that one body points toward a fixed star while another body in the system slews to track another satellite. Although similar to the linear quadratic regulator formulation, the collaborative control formulation contains a number of additional design parameters because the problem is formulated as two control problems coupled together. The use of the freedom of the partitioning of the total problem into two coupled control problems and the selection of the elements of the cross-coupling matrices are specific problems ad-dressed in this paper. Examples are used to show that significant improvement in performance, as measured by realistic criteria, of collaborative control over conventional linear quadratic regulator control can be achieved by using proposed design guidelines.
860
  • 정장해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9, n.1
  • pp.39-46
  • 2002
  • 원문 바로보기
보현산천문대의 1.8m 망원경과 CCD 측광장치를 이용하여 1999년 10월 20일 밤에 얻은 V523 Cas 근처의 약 <TEX>$12'{\times}12'$</TEX> 시야를 찍은 124장의 이미지를 처리하여 측광 정밀도를 계산하는 과정에서 <TEX>${\Delta}m$</TEX> 광도곡선의 기울기가 별 마다 다르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관련 여러 항목들 간의 인자분석을 함으로서, 그 기울기가 CCD프레임 상의 위치와 관련성이 높음을 알아 내고, 그 결과 CCD의 우하부에서 좌상부 쪽으로 감광감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점점 심하게 작용했다고 보고, 이의 원인으로 CCD 냉각이 균질하지 못하여 서리 같은 것이 서서히 우하부로 부터 좌상부 쪽으로 진행해서 생겼다는 시나리오를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