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모달창 닫기

한국우주과학회지

1984년 ~ 2025년까지 1,249 건한국우주과학회지를 계간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계간 (Quarterly)
  • ISSN : 1225-052x (ISSN : 1225-052x)
  • DB구축현황 : 1,249건 (DB Construction : 1,249 Articles)
안내사항
총 게시글 1,249 페이지 84/125
831
  • 강자영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0, n.4
  • pp.351-358
  • 2003
  • 원문 바로보기
회전안정화 로켓 모터를 이용하는 우주 비행체의 자세 불안정 현상을 수치적 실험을 통하여 연구하였다. 이전 연구에서는 해석적 방법을 통하여 주어진 우주 비행체에 대한 정상해를 구하고 실제 발생했던 공진과 유사한 공진조건을 찾았으나 정상해 근방에서의 안정도 또는 파라미터 공간 전역에서의 안정도가 어떻게 변하는 지를 알 수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전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주어진 파라미터 공간 전역에서 수치적 실험을 통하여 유동체의 파라미터 값에 따라 위성체의 자세 안정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관찰하고, 시스템 설계에 필요한 파라미터들의 안정/불안정 영역을 결정하였다.
832
  • 조정호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0, n.3
  • pp.197-204
  • 2003
  • 원문 바로보기
iRTK 시스템을 개발하고 측위정확도 검증을 위해 중저가 수신기를 이용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각기 다른 네 가지 기선에 대해 iRTK 시스템을 이용한 측위실험이 이루어겼고, 1-3m수준의 측위정확도를 얻을 수 있었다. 제안하는 iRTK 기법은 기존의 RTK와 적용범위 및 정확도는 유사하지만, 중앙처리센터에서 일괄적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계산하는 점이 다르며 유무선 인터넷을 이용하므로 통신범위에 제약을 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유효응용범위가 5km미만인 단점도 있다. 따라서 향후 iRTK시스템의 효율적인 전국서비스에 대비한 보완책의 한 방안으로 VRS의 도입을 검토하였다.
833
  • Kim, Young-Soo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0, n.4
  • pp.393-402
  • 2003
  • 원문 바로보기
The Multi-Spectral Camera (MSC) is the payload of KOMPSAT-2 which is designed for earth imaging in optical and near-infrared region on a sun-synchronous orbit. The telescope in the MSC is a Ritchey-Chretien type with large aperture. The telescope structure should be well stabilized and the optical alignment should be kept steady so that best images can be achieved. However, the MSC is exposed to adverse thermal environment on the orbit which can give impacts on optical performance. Solar incidence can bring non-uniform temperature rise on the telescope tube which entails unfavorable thermal distortion. Three ways of preventing the solar radiation were proposed, which were installing external mechanical shield, internal shield, and maneuvering the spacecraft. After trade-off study, internal sun shield was selected as a practical and optimal solution to minimize the effect of the solar radiation. In addition, detailed designs of the structure and sunshield were produced and analyses have been performed. The results were assessed to verify their impacts to the image quality.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ernal sunshield complies with the requirements and would improve image quality.
834
  • 박재홍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0, n.1
  • pp.53-62
  • 2003
  • 원문 바로보기
SPS(Space Physics Sensor)는 1999년 발사된 다목적 실용 위성 1호(KOMPSAT-I)에 실린 관측 장비로서, 태양 활동 극대기인 2000년 6월부터 2001년 8월까지 지구 이온층에 관한 자료를 지구로 전송하였다. 이 자료 중 때때로 저위도 지역에서 급격한 플라즈마 밀도 증가 현상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현상의 통계적 분포를 살펴본 결과, 지구 자기장이 약한 대서양 지역과 하와이 지역에서 발생 확률이 가장 높으며, 지자기 활동성 지수인 Dst나 태양 활동성을 나타내는 F10.7지수와는 특별한 상관관계가 없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밀도 증가 지역 내의 전자 온도 변화는 개별 사건마다 증가, 유지, 또는 감소를 보이고 있으나, 온도가 급격히 감소하는 경우가 지배적이었다.
835
  • Suh, Kyung-Won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0, n.3
  • pp.175-184
  • 2003
  • 원문 바로보기
To investigate the SEDs of galaxies considering the dust extinction processes in the galactic disks, we present the population synthesis models for normal galaxies with dusty disks. We use PEGASE (Fioc & Rocca-Volmerange 1997) to model them with standard input parameters for stars and new dust parameters. We find that the model results are strongly dependent on the dust parameters as well as other parameters (e.g. star formation history). We compare the model results with the observations and discuss about the possible explanations. We find that the dust opacity functions derived from studies of asymptotic giant branch stars are useful for modeling a galaxy with a dusty disk.
836
  • Hyung, Siek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0, n.3
  • pp.163-174
  • 2003
  • 원문 바로보기
The motion of 3C 120 Jet relative to the core is reasonably uniform and the VLBI scale jet connects outwards to a VLA ~ 100kpc scale. We measured the jet width variation from the center and found some indication of a power law which indicates the jet expands roughly with a constant opening angle and a constant flow velocity, <TEX>$V_{f}{\cong}c$</TEX>, from subparsec scales to ~ 100 kpc. With such a constant flow velocity and based on other physical parameters deduced from observed emission characteristics of the jet, we have established an equipartition jet model which might accommodate the basic parameters of the jet on subparsec scales, with which one can fit the radio intensities over all the scale of the jet even to ~100 kpc.
837
  • Lim, Hyung-Chul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0, n.4
  • pp.365-374
  • 2003
  • 원문 바로보기
Satellite formation flying is currently an active area of research in the aerospace engineering. So it has been researched by various authors. In this study, a tracking controller using sliding mode techniques was designed to control a satellite for the satellite formation flying. In general, Hill's equations are used to describe the relative motion of the follower satellite with respect to the leader satellite. However the modified Hill's equations considering the <TEX>$J_2$</TEX> perturbation were used for the design of sliding mode controller. The extended Kalman filter was applied to estimate the state vector based on the measurements of relative distance and velocity between two satellites.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follower satellite tracks the desired trajectory well by thruster operations based on the sliding mode control law.
838
  • 황정아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0, n.1
  • pp.43-52
  • 2003
  • 원문 바로보기
본 논문에서는 수 MeV 이상의 에너지를 갖는 전자들(electrons)의 비정상적인 증가 현상 즉 Relativistic Electron Events(REE)와 자기 폭풍(magnetic storm) 및 자기 부폭풍(magnetic substorm) 사이의 상관 관계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1996-1998년의 3년 동안 일어났던 자기 폭풍을 조사하여 REE를 동반하는 자기 폭풍과 동반하지 않는 자기 폭풍의 두 그룹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고, 두 그룹 각각의 자기 폭풍이 일어나는 동안 발생한 자기 부폭풍들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특히 수십에서 수백 keV 에너지대의 고에너지 입자 수 증가(energetic particle injection) 현상과 자기장 쌍극자화(magnetic dipolarization) 현상을 분석한 결과, REE를 동반하는 자기 폭풍 동안에 발생한 자기 부폭풍이, REE를 동반하지 않는 자기 폭풍이 일어나는 동안 발생한 자기 부폭풍보다 더 강하게 나타난다.
839
  • 김인준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0, n.4
  • pp.339-350
  • 2003
  • 원문 바로보기
국가우주개발 중장기 계획의 일환으로 '통신방송위성(CBS: Communications and Broadcasting Satellite) 탑재체 개발 사업'이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을 중심으로 국내산업체와 공동으로 추진되었다. 통신탑재체는 Ku대역 및 Ka대역 통신중계기와 안테나로 구성되며, 2000년 5월부터 2003년 4월까지 3년 동안 기술검증모델 탑재체가 개발되었다. 본 사업에서 통신방송위성을 위한 위성버스체는 개발되지 않으므로 위성을 이루는 통신탑재체와 버스체의 구성이 완벽하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위성버스체를 대신할 소프트웨어 위성시뮬레이터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개발에 적용된 위성버스체는 무궁화위성 버스체를 그 대상 모델로 가정하였다.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하드웨어 통신탑재체와 소프트웨어 위성시뮬레이터의 연동은 통신탑재체의 기능 시험 및 검증을 목적으로 개발된 전기적 지상시험장치(EGSE: Electrical Ground Support Equipment)의 전력, 원격명령 및 원격측정 시스템(PCTS: Power, Command and Telemetry System)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설계되었다. 이러한 시스템 개발을 통해 하드웨어 통신탑재체와 실시간으로 연동되는 Hardware-in-the-loop(HITL) 통신방송위성 시뮬레이터(CBSSIM: CBS Simulator)를 구현하였다. CBSSIM의 위성버스체 모델은 모멘텀 바이어스 삼축 안정화 방식의 정지궤도 위성이고, CBSSIM은 PCTS와 TCP/IP로 연결되고, 통신탑재체는 DC하니스 및 MIL-STD-1553B로 PCTS와 연결된다. CBSSIM은 실시간 처리부을 통해 통신탑재체와 위성버스체 모델로 원격명령을 전송하며, 통신중계기로부터 실제 원격측정 자료와 위성버스체 모델로부터 생성된 원격측정 자료를 수집한다. CBSSIM은 다양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를 통해 위성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으며, 통신위성의 발사 전후 및 궤도 운용시의 상태를 모사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객체지향 기법에 의해 위성버스체를 모사한 CBSSIM과 통신탑재체 및 통신탑재체와 CBSSIM을 연동시키는 PCTS를 포함한 HITL시뮬레이터의 설계 및 구현 내용에 관해 기술한다.에 관해 기술한다.
840
  • 임형철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9, n.4
  • pp.385-394
  • 2002
  • 원문 바로보기
SLR(Satellite Laser Ranging)은 위성과 관측소간 거리를 가장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1964년 발사된 Beacon-B 위성의 궤도결정을 위해 SLR 기술이 처음 사용되었는데 거리측정 정밀도가 m 수준이었다. 현재 single shot 정밀도는 cm, NP(Normal Point)는 mm수준으로 발전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SLR을 이용한 궤도결정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GPS(Global Positioning System)-36위성의 정밀 궤도를 결정하였다. 알고리즘의 정밀도를 검증하기 위해 산출한 정밀 궤도를 IGS(International GPS Service)에서 제공하는 정밀 궤도력과 비교하였는데 74cm의 RMS(Root Mean Square)를 얻었다. 또한, SLR 시스템의 관측잔차 RMS는 55mm 미만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 연구에서는 44mm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