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모달창 닫기

한국우주과학회지

1984년 ~ 2024년까지 1,246 건한국우주과학회지를 계간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계간 (Quarterly)
  • ISSN : 1225-052x (ISSN : 1225-052x)
  • DB구축현황 : 1,246건 (DB Construction : 1,246 Articles)
안내사항
총 게시글 1,246 페이지 82/125
811
  • 양홍진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0, n.1
  • pp.83-94
  • 2003
  • 원문 바로보기
천문유초(天支類抄)는 조선시대 대표적인 천문서적으로 세종대(世宗代) 천문학자 이순지(李純之 \ulcorner-1465)가 편집하였다. 우리는 이 책의 첫 부분에서 지금까지 잘 알려지지 않은 28수(宿) 별자리를 사신-동물모양(이하 '사신동물천문도')으로 표현한 자료를 찾아 연구하였다. 사신동물천문도(四神動物天文圖)는 사방으로 나누어진 네 개의 별자리를 사신으로 잘 알려진 동-창룡(蒼龍), 서-백호(白虎), 남-주작(朱崔)그리고 북-현무(亥武)의 모습으로 표현하고 있다. 일반적인 사신과 달리 특이한 것은 백호 옆에 동양의 전설 속 동물인 기린(離離)이 같이 표현되어 있다. 각각의 동물들은 동양의 전통적 별자리 표현법인 28윤의 2 ~ 7숙의 별자리를 통해 표현되어 있다. 조선시대의 대표적 천문도인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의 논설(論說)에도 나와 있듯이 고구려는 조선과 천문학적으로 많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것이 고구려 무덤 벽화이다. 이 벽화에 많은 별, 별자리와 함께 천문유초에서 설명하고 있는 사신동물들도 그려져 있음은 이미 고구려 시대에도 하늘을 사신동물 별자리로 보았음을 추정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천상열차분야지도의 28寫와 고구려 무덤 벽화에 그려져 있는 사신과 기린을 이용해 철문유초에서 설명하고 있는 사신동물천문도도 형상화시켜 보았다.
812
  • 김원규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0, n.2
  • pp.153-162
  • 2003
  • 원문 바로보기
인공우주물체의 추적 및 관측을 위해 LX-200 12인치 망원경시스템을 도입하여 시스템의 구동부(모터, 모터드라이버, 모션컨트롤러)를 응답특성이 빠르고 능동제어가 가능한 것으로 개선하였다. 또한, PC를 이용하여 대상물의 실시간 궤적정보를 계산하여 모터 드라이버 내의 PID 제어기에 신호를 제공하였고, 명령신호 제어주기도 20ms까지 줄였다. 그 결과, 가대의 구동속도는 <TEX>$18^{circ}/sec$</TEX>로 향상되고 상용시스템보다 응답속도가 빠르며 대상물의 이미지 관측시 flipping 현상을 최소화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813
  • Kwon, Jay-Hyoun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0, n.1
  • pp.1-10
  • 2003
  • 원문 바로보기
A precise kinematic orbit determination (P-KOD) procedure for Low Earth Orbiter(LEO) using the GPS ion-free triple differenced carrier phases is presented. Because the triple differenced observables provide only relative information, the first epoch's positions of the orbit should be held fixed. Then, both forward and backward filtering was executed to mitigate the effect of biases of the first epoch's position. p-KOD utilizes the precise GPS orbits and ground stations data from International GPS Service (IGS) so that the only unknown parameters to be solved are positions of the satellite at each epoch. Currently, the 3-D accuracy off-KOD applied to CHAMP (CHAllenging Min-isatellite Payload) shows better than 35 cm compared to the published rapid scientific orbit (RSO) solution from GFZ (GeoForschungsZentrum Potsdam). The data screening for cycle slips is a particularly challenging procedure for LEO, which moves very fast in the middle of the ionospheric layer. It was found that data screening using SNR (signal to noise ratio) generates best results based on the residual analysis using RSO. It is expected that much better accuracy are achievable with refined prescreening procedure and optimized geometry of the satellites and ground stations.
814
  • Kim, Hee-Jeong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0, n.2
  • pp.101-108
  • 2003
  • 원문 바로보기
This study reports one approach for the classification of magnetic storms into recurrent patterns. A storm event is defined as a local minimum of Dst index. The analysis of Dst index for the period of year 1957 through year 2000 has demonstrated that a large portion of the storm events can be classified into a set of recurrent patterns. In our approach, the classification is performed by seeking a categorization that minimizes thermodynamic free energy which is defined as the sum of classification errors and entropy. The error is calculated as the squared sum of the value differences between events. The classification depends on the noise parameter T that represents the strength of the intrinsic error in the observation and classification process. The classification results would be applicable in space weather forecasting.
815
  • Kim, Young-Soo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0, n.3
  • pp.217-226
  • 2003
  • 원문 바로보기
MSC (Multi-Spectral Camera) is the payload of KOMPSAT-2, which is being developed for earth imaging in optical and near-infrared region. The design of the MSC is completed and its reliability has been assessed from part level to the MSC system level. The reliability was analyzed in worst case and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value complies the required value of 0.9. In this paper, a calculation method of reliability for the MSC system is described, and assessment result is presented and discussed.
816
  • Cho, Sung-Ki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0, n.4
  • pp.319-326
  • 2003
  • 원문 바로보기
The motion of each satellite in a tethered satellite system is non-Keplerian in the Earth's gravitational field. In this paper, the tether perturbation force is formulated and compared with the perturbation force due to the Earth's oblateness. Also, the center of mass motion of the tethered satellite system is analyzed. The tether perturbing force on the one of satellites in a tethered satellite system is much bigger than the Earth's oblateness perturbation. The two-body motion approximation of the center of mass is acceptable to describe the motion of the system, when the libration is small.
817
  • 김선미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0, n.1
  • pp.29-42
  • 2003
  • 원문 바로보기
2002년 11월에 발사된 과학로켓 KSR-111에 자세제어를 위한 정보 획득용 3축 Fluxgate 자력계 (AIM: Attitude Information Magnetometer)와 지구 자기장 섭동 측정용 Search-Coil 자력계(SIM: Scientific Investigation Magnetometer)가 탑재되었다. SIM은 지구 자기장 중 약 10~1,000Ha주파수 대의 섭동 현상을 관측한다. AIM을 통해 측정한 지구 자기장의 DC 벡터 성분을 지구 자기장의 기준 모델인 IGRF(International Geomagnetic Reference Field)와 비교하여 로켓의 위치와 비행 상태를 파악하는 프로그램 1과 KSR-Ⅲ에서 측정된 실제 데이터를 이용해 시간에 따른 회전 각의 변화를 알아보는 프로그램 2를 개발하였다. 알고리즘 개발시 자세제어의 요소로서 데이터 처리 속도, 로켓의 비행역학 등을 고려하였고, 이로 인한 오차를 감안하기 위해 최소자승법을 사용하였다. 프로그램 2를 실행하여 얻은 값으로(항우연 자료 비교분석한 결과 내용), 자력계를 로켓의 자세 제 어용으로는 부적합하나 붐(boom)이 장착된 로켓에 탑재할 경우 지구 상충의 자기장을 측정하여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발사 전 로켓 몸체와 마운트의 자기장을 측정하여 로켓의 자기장'분포를 미리 모델링화 할 경우 자료 처리가 훨씬 용이하다.
818
  • 문홍규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0, n.4
  • pp.269-282
  • 2003
  • 원문 바로보기
Grieve(1991), Moon et al.(2001), Earth Impact Database(2002; DB02) 등 세 가지 충돌구 DB를 이용해서 미행성 지구충돌 사건의 주기성 여부를 조사했다. 특히 DB02는 과거 사용됐던 데이터베이스들에 비해서 연령 측정오차가 크게 향상되었으며, 이를 이용한 주기분석 발표는 이번이 처음이다. DB02(나이 <TEX>$t{\leq}250Myr$</TEX> 및 <TEX>$t{\leq}150Myr$</TEX>, 나이오차 <TEX>${\Delta}t{\leq}{\pm}10Myr$</TEX>)에 대 한 Fourier 분석 결과, <TEX>$D{\geq}5km$</TEX>와 <TEX>$D{\geq}20km$</TEX>인 표본의 경우, 주기성이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나 <TEX>$D{\geq}30km$</TEX>인 표본인 경우 16.1Myr와 34.7Myr에서 두 개의 피크가 나타났고, <TEX>$D{\geq}45km$</TEX>인 표본은 16.1Myr부근에서 강한 파워를 보였다. 이로부터 우리는 <TEX>$d{\geq}1.5km$</TEX>인 천체의 주기적인 지구 충돌 가능성을 고려할 수 있으며, 충돌구 나이의 정밀도는 물론 t와 D의 범위, 그리고 데이터베이스의 선택이 미행성의 지구충돌의 역사를 재구성하는데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819
  • 문가희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0, n.2
  • pp.109-122
  • 2003
  • 원문 바로보기
자기폭풍(magnetic storm)과 서브스톰(substorm)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서브스톰 확장기 활동(substorm expansive activity)의 전형적인 지시자로 알려진 정지궤도 위성에서 관측된 양성자 플럭스(proton flux)의 무분산 입자유입률(dispersionless particle injection rate)과 Dst 지수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 이용된 자기폭풍은 1996년에서 2000년까지 5년 동안에 일어난 것으로 자기폭풍 기간 중 Dst의 최소값인 <TEX>$Dst_{min}$</TEX>의 크기에 따라 대규모(<TEX>$-200nT{$\leq$}Dst_{min}{$\leq$}-100nT$</TEX>), 중규모(<TEX>$-100nT{\leq}Dst_{min}{\leq}-50nT$</TEX>), 소규모 자기폭풍(<TEX>$-50nT{\leq}Dst_{min}{\leq}-30nT$</TEX>)의 3단계로 구분하였다. 양성자 플럭스는 LANL의 정지궤도 위성에서 관측된 자료 중에서 주로 환전류(ring current)를 구성하는 입자의 에너지에 해당하는 50keV에서 670keV 범위의 6개 에너지 채널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입자유입은 자정 부근에서 주로 일어나므로 18:00~04:00MLT구간에서 관측된 자료만을 이용하였다. 한편 내부 자기권으로 유입되는 입자에너지를 추정하기 위하여 양성자 플럭스 비(<TEX>$f_{max}/f_{ave}$</TEX>)를 조사하였다. 여기서, <TEX>$f_{ave}$</TEX> 및 <TEX>$f_{max}$</TEX>는 각각 입자유입이 일어나기 전 후의 양성자 플럭스의 양을 나타낸다. 한편 자기폭풍 기간 동안에 1 ~ 2개의 인공위성 관측으로부터 내부 자기권으로 유입되는 총 에너지량을 추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이 알려졌다. 그러나 총 에너지 유입량은 적어도 플럭스 비와 유입횟수에 비례할 것이다. 따라서 내부 자기권으로 유입되는 에너지의 양을 간접적으로 추정하기 위해서 이들의 곱으로 정의되는 총 에너지 유입률 지수(total energy injection parameter, TEIP)를 제안하였다. 특히 서브스톰이 자기폭풍의 발달에 기여하는 정도를 알기 위하여 자기폭풍을 두 구간, 즉 주상(main phase)과 회복기(recovery phase)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양성자의 무분산 유입자료와 자기폭풍 기간 중 Dst<TEX>$_{min}$</TEX> 값을 비교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특성이 확인되었다. 첫째, 주상기간 중 입자들의 평균 유입횟수는 자기폭풍의 크기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며 유입휫수와 <TEX>$Dst_{min}$</TEX> 사이에는 높은 상관관계(0.83)가 있었다. 둘째, 주상기간 중 자기폭풍의 크기가 클수록 플럭스 비 (<TEX>$f_{max}/f_{ave}$</TEX>는 대체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리고 75~113keV 에너지 채널에서의 <TEX>$Dst_{min}$</TEX> 값과 플럭스 비의 상관계수는 0.74로서 가장 높았으며 나머지 에너지 채널 역시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주상기간 중 총 에너지 유입률 지수와 <TEX>$Dst_{min}$</TEX> 사이에 높은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특히 환전류를 구성하는 주요 입자의 에너지 영역(75~l13keV)에서 가장 높은(0.80) 상관계수를 기록했다. 넷째, 회복기 중에 일어나는 입자들의 유입은 자기폭풍의 지속시간을 연장시키는 경향을 보이며 큰 자기폭풍일수록 현저했다. 주상에서 관측된 이러한 특성은 서브스톰 확장기 활동이 자기폭풍의 발달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
820
  • Lee, Sang-Uk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0, n.4
  • pp.313-318
  • 2003
  • 원문 바로보기
A communications satellite system placed in three-Lagrange points, <TEX>$L_3$</TEX>, <TEX>$L_4$</TEX> and <TEX>$L_5$</TEX>, of the restricted three-body problem in Earth-Moon system is proposed in this paper. LEO satellite constellation has been another choice of communications system. The proposed system which is alternatives of limited geostationary orbit resources, has some weak points such as long distance from the Earth, relatively expensive launch cost, long delay time, more required power, and so on. It has good points like less efforts (fuel) for station keeping, less eclipses, etc. This system has limitations for applications to provide commercial services but it is still some attractive poi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