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모달창 닫기

한국우주과학회지

1984년 ~ 2025년까지 1,249 건한국우주과학회지를 계간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계간 (Quarterly)
  • ISSN : 1225-052x (ISSN : 1225-052x)
  • DB구축현황 : 1,249건 (DB Construction : 1,249 Articles)
안내사항
총 게시글 1,249 페이지 115/125
1141
  • 김호일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0, n.1
  • pp.36-43
  • 1993
  • 원문 바로보기
쵠근 발견된 식쌍성인 SAO23229에 대한 광전측광 관측을 소백산 천문대에서 수행하여 UBV 광도곡선을 얻고, 제 1 극심시각을 구하였으며, <TEX>$O^p.75$</TEX>부근에서 이상 변광현상을 발견하였다. 결정된 제1극심 시각은 HJD2448636.1170 <TEX>$\pm$</TEX> 0.0005로 예측보다 3분 늦게 일어났으며, <TEX>$O^p.75$</TEX>에서의 변광은 식에 의한 것이 아니며 따라서 공전주기는 4.2일이라고 생각된다. 광도곡선을 분석하여 이 쌍성이 물리적 특성이 서로 같은 두 개의 F형 주계열성으로 이루어진 분리형 쌍성임을 밝혔다.
1142
  • 정장해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0, n.2
  • pp.123-145
  • 1993
  • 원문 바로보기
충북대학교 천문우주학과의 UBVRI 측광기가 부착된 20 cm 망원경을 이용하여 1988년 12월부터 1991년 3월 사이의 33일밤 동안 Algol을 광전측광 관측하여 총 3465점의 관측값을 얻었다. 이 관측값을 이용하여 UBVRI 광도곡선을 만들었고 5개의 극심시각 JDHel 2447898.0938, JDHel 2447908.1014, JDHel 2448265.1205, JDHel 2448288.0598, JDHel 2448275.146 을 결정하였다. 우리가 얻은 UBVRI 광도곡선을 동시에 Wilson-Devinney 방법으로 분석하여 측광학적 해를 구했다. 이 해로 부터 얻은 i= <TEX>$82.{\circ}47$</TEX>, q=0.227, <TEX>$r_1$</TEX>=0.2102, <TEX>$r_2$</TEX>=0.2512와 Hill et al.(1971)의 분광학적 해의 인수들을 이용하여 Algol A,B,C, 각각에 대한 질량에 반경을 <TEX>$m_1$</TEX>=3.36, <TEX>$m_2$</TEX>=0.76, <TEX>$m_3$</TEX>=1.6, <TEX>$R_1$</TEX>=2.97, <TEX>$R_2$</TEX>=0.76과 같이 구했다. 여기서 사용한 단위는 태양질량 단위와 태양반경 단위이다. 이러한 우리의 결과들은 Kim(1989)이 보고한 값들과 대체로 비슷하다. 우리의 해로 부터 은 5색의 <TEX>$l_1$</TEX>, <TEX>$l_2$</TEX>, <TEX>$l_3$</TEX> 값들을 Planck 곡선에 fitting 시키는 방법에 의해 Algol C의 온도를 <TEX>$T_3$</TEX>=8800로, 그리고 <TEX>$R_3$</TEX>=<TEX>$1.6R_\odot$</TEX>을 유도했다. Algol A와 B의 배치 형태가 준접촉형인 것은 case B 질량 이동에 의해 생긴 결과로 믿어지며, 질량-반경동에 나타난 이들의 위치에 의하면 Algol B는 수소연소 단계에서도 상당히 진화된 상태에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로 추정된다.
1143
  • 남욱원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0, n.1
  • pp.86-93
  • 1993
  • 원문 바로보기
다중선 비례계수관에서 균일한 개스증폭도를 얻기 위한 방법에 대해 실험하였다. 양극선에 전압을 공급하는 일반적인 연결 방법으로 검출기 양쪽 끝단의 edge effect 때문에 개스증폭도의 균일성이 좋지 않았다. 따라서 전압보상법을 사용하여 개스중폭도의 균일성을 <TEX>$\pm$</TEX>1.6%(rms 값) 이내로 보정하였다.
1144
  • 오규동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0, n.1
  • pp.44-85
  • 1993
  • 원문 바로보기
EA형이며 준분리형에 속하는 19개의 식쌍성에 대한 공전주기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런데 각 식쌍성의 주기 변화각 갑작스러운 주기 변화를 보이는 일차항의 광도요소를 갖는다는 가정하에 주기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각 식쌍성의 주기 변화와 그 별의 물리량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1145
  • 이현주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0, n.1
  • pp.17-27
  • 1993
  • 원문 바로보기
The orbit characteristics and perturbation effects of an artificial satellite with critical inclination have been studied. The critical inclination problem in artificial satellite theory is treated as Ideal Resonance Problem(IRP). The KITSAT-1 satellite launched by Arian 42P at Guiana in August 11, 1992 has orbital inclination close to the critical value cos-1(1/√5). In that case, there is a singularity in some perturbation terms and perigee of the orbit is fixed because d<TEX>$\omega$</TEX>/dt is theoretically equal to zero. But actually the long periodic behaviour in argument of perigee, <TEX>$\omega$</TEX> shows a small oscillation. The causes of the oscillation and the relativistic effect in IRP have been studied and applied to the KITSAT-1. The geo-potential perturbation terms which are seperated inclination terms have been obtained using Algebraic manipulation. Also luni-solar disturbing funtion based on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sun, moon, and satellite has been obtained. Phase portraits are used to depict the change of eccentricity and grgument of perigee. The variations of each orbital elements have been obtained in case of the KITSAT-1.
1146
  • 안영숙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0, n.2
  • pp.152-162
  • 1993
  • 원문 바로보기
이 연구에서는 태양계 천체들의 운동에 대한 역학 모델을 설정하고, 그에 적합한 운동 방정식을 수치 적분하여 임의의 시각에 각 행성과 달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역학 모델에는 (1) 점질량 상호작용, (2) 지구와 달의 중력 포텐셜에 의한 figure효과, (3) 조석력, (4) 지구와 달의 orientation 등에 의한 섭동력 등을 모두 고려하였다. 그리고 이 프로그램을 이용해 계산한 결과를 미국의 JPL에서 생산한 DE200 자료와 비교 분석하였다.
1147
  • 김광열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0, n.2
  • pp.189-196
  • 1993
  • 원문 바로보기
상해 천문대 Sheshan 관측소의 레이저 위성거리 측정기기를 이용하여 LAGEOS II위성에 대한 레이저 관측을 수행하여 총 1,838점을 얻었다. 관측된 거리 자료를 지상목표물 관측에 의한 관측기기 지연보정, 대기굴절 보정, 위성의 질량중심거리 보정, 일반 상대론적 보정과 지구 고형체 조석, 극 조석, 대양 조석을 포함한 조석보정을 통해 지연값을 결정하였는데 거리보정의 평균값은 19.12m이다. 결국 다항식 fitting 과 최소 자승법을 이용하여 계산한 관측값의 내부 정밀도 평균은 <TEX>$\pm$</TEX>7cm이다. 잡음을 제거하고 보정된 최종 관측점은 1,340점으로 관측점 총수에 대한 잡음비율은 27.1%이다.
1148
  • 김경미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0, n.2
  • pp.146-151
  • 1993
  • 원문 바로보기
AZ Cas는 B형의 주계열 별과 확장 대기를 가진 만기형으로 이루어진 쌍성계이다. 근성점 근처에서 Roche lobe를 채운 초거성으로부터 일어나는 질량 흐름이 미치는 효과를 구하기 위해 궤도위상 0.05와 0.09에서 불투명도 계수에 따른 AZ Cas의 선윤곽을 계산하였다. 원천 함수는 Hempe(1982)의 방법을 따라 Sobolev 근사방법을 이용하였으며 불투명도 계수가 클수록 넓은 흡수 부분을 가진 강한 선윤곽을 보였다. 궤도 위상 0.05의 부분식이세 나타난 bump는 흡수선위에 포피의 산란에 의해 생긴 방출선이 중첩되어 나타난 재방출 효과인 것으로 설명된다.
1149
  • Min, K.W.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0, n.2
  • pp.103-112
  • 1993
  • 원문 바로보기
The KITSAT-1 was successfully launched on August 11, 1992, into a near circular, 1300-km-high orbit with an <TEX>$66^{\circ}$</TEX>inclination. The satellite carries a solid state detector module to measure the high energy particle flux originating mostly from the inner radiation belt. We describe here the objectives of the experiment, the detector structure, and the preliminary result.
1150
  • Chun, Mun-Suk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9, n.2
  • pp.143-153
  • 1992
  • 원문 바로보기
Spectra of the <TEX>$\zeta$</TEX> Aurigae type eclipsing binary system 32 Cygni were taken at the Asiago Observatory. Using the Gaussian fitting method we can estimate the radial velocity and equivalent widths of some metalic li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