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모달창 닫기

한국우주과학회지

1984년 ~ 2025년까지 1,251 건한국우주과학회지를 계간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계간 (Quarterly)
  • ISSN : 1225-052x (ISSN : 1225-052x)
  • DB구축현황 : 1,251건 (DB Construction : 1,251 Articles)
안내사항
총 게시글 1,251 페이지 90/126
891
  • Won, Young-In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8, n.1
  • pp.21-26
  • 2001
  • 원문 바로보기
As part of a long-term program for polar upper atmospheric studies, temperatures and intensities of the OH(3-1) bands were derived from spectrometric observations of airglow emissions over King Sejong station(<TEX>$62.22^{circ}S,\;301.25^{circ}E$</TEX>). These measurements were made with a Michelson interferometer to cover wavelength regions between 1000nm and 2000 nm. A spectral analysis was performed to individual nights of data to acquire information on the waves in the upper mesosphere/lower thermosphere. It is assumed that the measured fluctuations in the intensity and temperature of the OH (3-1) airglow were caused by gravity waves propagating through the emission layer. Correlation of intensity and temperature variation revealed oscillations with periods ranging from 2 to 9 hours. We also calculated Krassovsky’s parameter and compared with published values.
892
  • Park, J.-H.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8, n.3
  • pp.209-218
  • 2001
  • 원문 바로보기
과학위성 1호의 주 과학임무중의 하나인 전천탐사를 통해 얻어지는 천구의 각 지역별 노출시간을 모의 계산하였다. 현재 계획된 위성운용 시나리오에 의하면 노출시간은 친구적도 지역에서 최소가 되고 극 지역으로 갈수록 증가한다. 한편, SAA (South Atlantic Anomaly)와 달에 의한 영향으로 천구 적도지역에서의 노출시간 추가 감소가 불가피하다. SAA에 의한 노출시간 감소는 SAA의 영향이 별로 없는 고층대기 관측과의 궤도교체 등 간단한 관측 스케줄링을 통해 SAA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의 노출시간 분포는 성찬물질의 진화를 구체적으로 연구하기 위해서는 적절치 않다. 친구의 극 지역에 치중된 노출시간의 효율적 분배를 위해서는 능동적인 지역별 노출시간 분배가 필요하고, 따라서 현재보다 진보된 운용 시나리오 및 관측 스케줄링에 대한 추가 연구가 요구된다
893
  • Seon, K.-I.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8, n.3
  • pp.219-230
  • 2001
  • 원문 바로보기
원자외선 분광기 (Far ultraviolet IMaging Spectres.mph; FIMS)는 과학위성 1호의 주탑재체로 개발되고 있다. 원자외선 분광기 광학부에 대한 민감도 분석과 오차 예산 분석을 광범위하게 수행하였다.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제작 오차 및 조립 오차 등의 모든 오차가 함께 존재할 때 실제 원자외선 분광기가 갖게 되는 성능을 조사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과학 임무를 위해 필요한 모든 요구 조건을 99.9% 이상의 확률로 만족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894
  • 김현주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8, n.2
  • pp.119-128
  • 2001
  • 원문 바로보기
도파관형 건 발진기의 발진주파수 범위와 주파수 안정도는 공진기 치수에 따른 임피던스에 민감하다. 그러므로 HFSS (High Frequency Structure Simulator)을 이용하여 공진기의 치수에 따른 임베딩 임피던스 (embedding impedance)를 계산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주파수 함수를 갖는 Q-band (33 ∼ 50 GHz) 건 발진기의 임베딩 임피던스의 이론적인 결과와 실제 제작한 발진기의 실험측정 결과를 비교하여 이론적 해석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 제시한 방법에 의한 이론적 해석만으로 발진주파수 범위를 예상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895
  • 백명진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8, n.2
  • pp.153-162
  • 2001
  • 원문 바로보기
본 논문에서는 아리랑 2호가 운용될 궤도의 우주방사능 환경 및 total ionizing dose(TID)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포획된 양자의 경우 SAA(South Atlantic Anomaly) 지역에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TID에 영향을 미치는 우주 방사능은 포획된 양자 및 전자와 태양양자임을 알 수 있었다. 저 에너지 입자는 알루미늄 차단 구조물을 이용하여 방사능 영향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으나, 고 에너지 입자의 경우 구조물의 두께를 증가하여도 방사능 영향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아리랑 2호의 임무수명기간 동안 전자부품에 계속적으로 피폭되는 전체 방사량을 알루미늄 차단두께의 함수로 나타내었으며, 이 값들은 아리랑 2호의 전자부품의 선택기준 및 위성체 또는 구성품의 구조물 두께를 설정할 수 있는 기준으로 제시하였다.
896
  • 박봉규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8, n.2
  • pp.137-144
  • 2001
  • 원문 바로보기
1995년에 발사된 무궁화위성 1, 2호기 REA 추력기에 대한 성능을 지상국에서 측정된 추적데이터를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추정에 사용된 추적데이터는 1999년 말에서 2000년 초에 측정된 값들을 사용하였다. 추정을 위해 사용된 기법은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최소자승추정 법(Least Square Estimation)방법이며 궤도추정과 병행해서 추력기의 작동에 의해 발생하는 기동속도변화를 추정하도록 구성하였다 추력기 성능 추정 결과 무궁화위성 1호기 REA의 경우에 계획치 대 획득속도변화의 비율이 온펄스 모드의 경우 64%로서 상당히 많은 성능감소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무궁화위성 2호의 경우는 5년 이상의 임무를 수행했음에도 불구하고 100%에 이르는 상당히 양호한 성능을 유지하고 있음을 밝힐 수 있었다
897
  • 한정훈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8, n.2
  • pp.145-152
  • 2001
  • 원문 바로보기
태양의 극자외선 복사를 연구하기 위한 인공위성 탑재용 소형 극자외선 태양망원경의 공학 모형을 설계하였다. 극자외선 태양망원경은 <TEX>$584.3AA$</TEX>(He I)과 <TEX>$629.7AA$</TEX>(OV)의 두 파장대역에서 태양을 관측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되었다. 광학계는 Ritchey-Chr 샤두 방식이고, 망원경의 유효구경과 유효 초점 거리는 각각 80mm, 640mm이다. 회전 필터 휠을 사용하여 He I과 OV 방출선을 관측할 수 있도록 하였다. 검출기의 MCP (Microchannel Plate)는 채널 길이 대 직경의 비가 40:1인 Z-stack 타입이고, photocathode로서 KBr이 MCP 초점면에 코팅되며, MCP와 CCD는 fiber optic taper로 연결되도록 디자인하였다. 광학계 설계에 대한 분석은 광학계산용 상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였다.
898
  • 강영운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8, n.1
  • pp.55-62
  • 2001
  • 원문 바로보기
W UMa 형 쌍성 TY UMa를 소백산천문대 61cm 반사망원경과 PM512 CCD 카메라를 이용하여 2001년 3월 19일부터 21일까지 3일간 측광관측하여 광도곡선을 완성하였다. 광도곡선의 형태는 제 2극심이 제 1극심보다 더 깊고, 식 바같부분의 max 1은 max II에 비하여 평균 <TEX>$0.^m023$</TEX>밝게 나타나는 비대칭이다. 비대칭 광도곡선을 분석하기 위하여 흑점 모델을 도입하고, Wilson & Devinney의 차등보정법을 이용하여 측광학적인 해를 구하였다.
899
  • Sohn, Young-Jong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8, n.1
  • pp.7-14
  • 2001
  • 원문 바로보기
Red giant branch shape and the luminosity of horizontal branch on the (V-I)-V CMD are used to derive the metallicity the globular cluster NGC 5053. The metallicities of NGC 5053 derived by SMR method ([Fe/H]=-2.62<TEX>$\pm$</TEX>0.07) and the relation between[Fe/H] and <TEX>$(V-I)_{0.g}$</TEX> ([Fe/H]=-2.50) are in good agreement with previously determined values. This result confirms that the morphologies of RGB and HB on the (V-I)-V CMDs can be good indirect photometric metallicity indicators of galactic globular clusters.
900
  • 천문석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18, n.3
  • pp.175-190
  • 2001
  • 원문 바로보기
적정화 종족합성의 선형화 계획을 통하여 자외선 방출이 강한 타원 은하 NGC 4749의 광도 계급과 분광형에 따른 항성 분포를 알아보았다. 종족합성을 위한 항성군을 만들기 위해 <TEX>$3160\AA$</TEX>에서 <TEX>$10800\AA$</TEX>까지의 파장영역에서 여러 항성종족에 대한 스펙트럼 자료 (Gunn Sf Stryker 1983)를 사용하였다. NGC 4649의 누적 스펙트럼은 Bertola et al. (1982)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주계열 전향점을 이루는 항성종족에 따른 4개의 모형에 대한 종족합성을 수행한 결과 G8-K0V 관을 전향점 종족으로 하는 모형이 NGC 4649의 누적 스펙트럼과 가장 잘 맞음을 확인하였고, 장파장 영역에서의 홉수선은 초중원소 K 거성에 의해 큰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종족합성으로부터 구한 NGC 4649의 질량대 광도비 (M/L~ 20)는 역학적으로 구한 값과 비슷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은하의 중심거리에 대한 항성 종족의 분포 특성이 비슷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