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모달창 닫기

한국우주과학회지

1984년 ~ 2025년까지 1,251 건한국우주과학회지를 계간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계간 (Quarterly)
  • ISSN : 1225-052x (ISSN : 1225-052x)
  • DB구축현황 : 1,251건 (DB Construction : 1,251 Articles)
안내사항
총 게시글 1,251 페이지 75/126
741
  • 오준영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2, n.3
  • pp.311-328
  • 2005
  • 원문 바로보기
본 연구에서는 예비 초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달의 위상변화에 대한 정신모형과 그 모형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는 교육대 학교 1학년(22명)과 2학년(21명) 학생이다. 자료 수집은 지필 검사와 개별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예비 초등 교사들은 달의 위상변화에 대한 설명들이 과학적 모형과는 다른 합성 정신모형들을 가지고 있었으며, '가리기 이론'이 그들의 정신 모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비 초등 교사들이 갖는 천문현상의 합성 정신모형의 구조와 근원을 알아보기 위하여 그들의 정신 모형들을 형성하는 틀 이론과 특정 이론을 집중적으로 탐색하였다.
742
  • Lee, Byoung-Sun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2, n.3
  • pp.243-248
  • 2005
  • 원문 바로보기
NORAD Two Line Element (TLE) is very useful to simplify the ground station antenna pointing and mission operations. When a satellite operations facility has the capability to determine NORAD type TLE which is independent of NORAD, it is important to analyze the applicable tracking data arcs for obtaining the best possible orbit. The applicable tracking data arcs for NORAD independent TLE orbit determination of the KOMPSAT-1 using GPS navigation solutions was analyzed for the best possible orbit determination and propagation results. Data spans of the GPS navigation solutions from 1 day to 5 days were used for TLE orbit determination and the results were used as Initial orbit for SGP4 orbit propagation. The operational orbit determination results using KOMPSAT-1 Mission Analysis and Planning System(MAPS) were used as references for the comparisons. The best-matched orbit determination was obtained when 3 days of GPS navigation solutions were used. The resulting 4 days of orbit propagation results were within 2 km of the KOMPSAI-1 MAPS results.
743
  • 이대희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2, n.4
  • pp.473-482
  • 2005
  • 원문 바로보기
대형 적외선 우주 망원경 개발은 한극천문연구원의 중요 전략 목표의 하나로써 이를 성공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술적 노력들이 전개되고 있다. 그 일환으로 한국천문연구원과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은 정책 협동 과제로 한국기계연구원, (주) 아이쓰리시스템과 함께 우주용 적외선 냉각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렇게 개발중인 우주탑재용 적외선카메라 냉각시스템 시험모델의 광학계를 설계하기 위한 요구 조건을 도출하였으며, 그에 따라 <TEX>$3.8\~4.8{\mu}m$</TEX> 적외선 대역에서 <TEX>$15^{\circ}\times12^{\circ}$</TEX>의 시야를 가지며 각분해능이 <TEX>$0.047^{\circ}$</TEX>인 단일 렌즈 카메라 시스템을 설계하였고, 앞으로 더 복잡한 광학계에 대한 기초로 활용하고자 한다.
744
  • Chang, Heon-Young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2, n.2
  • pp.139-146
  • 2005
  • 원문 바로보기
A model of advection-dominated accretion flows has been highlighted in the last decade. Most of calculations are based on self-similar solutions of equations governing the accreting flows. We revisit self-similar solutions of the simplest form of advection-dominated accretion flows. We explore the parameter space thoroughly and seek another category of self-similar solutions. In this study we allow the parameter f less than zero, which denotes the fraction of energy transported through advection. We have found followings: 1. For f > 0, in real ADAF solutions the ratio of specific heats <TEX>${\gamma}$</TEX> satisfies 1 < <TEX>${\gamma}$</TEX> < 5/3 for O <TEX>${\leq}$</TEX> f <TEX>${\leq}$</TEX> 1. On the other hands, in wind solutions a rotating disk does not exist. 2. For f < 0, in real ADAF solutions with <TEX>${\epsilon}$</TEX> greater than zero <TEX>${\gamma}$</TEX> requires rather exotic range, that is, <TEX>${\gamma}$</TEX> < 1 or <TEX>${\gamma}$</TEX> > 5/3. When -5/2 < <TEX>${\epsilon}$</TEX>' < 0, however, allowable <TEX>${\gamma}$</TEX> can be found in <TEX>${\gamma}$</TEX> < 5/3, in which case <TEX>4{\Omega}_0$</TEX>,_ is imaginary. 3. For a negative <TEX>$u_0$</TEX>,+ with f > 0, solutions are only allowed with exotic <TEX>${\gamma}$</TEX>, that is, 1 < <TEX>${\gamma}$</TEX> or <TEX>${\gamma}$</TEX> > (5f/2-5/3)/(5f/2-1)when O < f < 2/5, (5f/2-5/3)/(5f/2-1) < <TEX>${\gamma}$</TEX> < 1 when f > 2/5. Since <TEX>${\epsilon}$</TEX>' is negative, <TEX>4{\Omega}_0$</TEX>,+ is again an imaginary quantity. For a negative <TEX>$u_0$</TEX>,+ with f < 0, <TEX>${\gamma}$</TEX> is allowed in 1 < 7 < (5|f|/2 + 5/3)/(5|f|/2 + 1). We briefly discuss physical implications of what we have found.
745
  • 민병희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2, n.3
  • pp.249-262
  • 2005
  • 원문 바로보기
순간적인 속도변화에 의한 ECO(Earth-Crossing Object)의 케도변경을 최적화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ECO의 궤도변경을 위한 속도변위를 계산할 때, 기존연구에서 간과되었던 궤도평면에 수직인 방향의 속도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3차원의 최적화 문제를 풀기위해서 순간적인 속도변화를 계산하기 위한 순간추력 근사법이 적용되었으며, ECO의 지구 접근 시에는 지구중력 효과를 고려한 부분적 궤도근사법을 사용하였다. 지구와 충돌천체의 상대적인 위치와 속도에 따라 ECO의 궤도변경을 위한 최적해가 달라지며, 그러한 최적해는 순간추력시간에 대한 최적속도변화나 최적비행각으로 표현될 수 있다. 순간추력시간이 작을 때, 궤도평면에 수직인 방향의 속도 변화를 무시할 수 없는 경우도 발견되었다. ECO의 궤도가 지구의 궤도와 비슷할수록 더 많은 최적속도변화가 필요로 하였으며, 순간추력시간이 충돌 순간에 가까워질수록 궤도변경에 필요한 최적속도변화의 크기가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실제 ECO의 우주임무를 설계하는데 중요한 지침이 될 것이다.
746
  • 나자경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2, n.3
  • pp.273-282
  • 2005
  • 원문 바로보기
주간에 활용될 수 있는 별 센서의 성능을 알아보기 위해, 주간 별 센서 관측 모델을 개발하였다. 주간 동안 별 센서가 감지하게 될 별들에 대한 중심찾기 오차는 그 모델을 사용해서 계산되었다. 별 센서가 운용되는 주간 환경의 대기 물리량을 계산하기 위해 표준 대기 모델(LOWTRAN7)이 사용되었다. 주간 별 센서 관측 모델에는 별과 태양 사이의 다양한 분리각, 중심찾기 알고리즘, 그리고 별 센서의 다양한 시스템 특성이 고려되었다. 개발된 별 센서 모델은 벡터 관측을 통한 자세결정 성능의 예측에 있어서 보다 현실적인 오차 정보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747
  • 최병규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2, n.3
  • pp.283-292
  • 2005
  • 원문 바로보기
우주환경과 밀접한 연관성을 갖고 있는 전리층은 매질의 전자기적 특성상 전파 신호에 간섭을 유도하게 되는데, 전리층 통과시 GPS 신호에 인가되는 이러한 오차를 분석함으로써 전리층의 상태를 추정할 수 있으며, 이는 상충 대기의 순환과 전지구적인 변화 및 우주환경의 물리적 특성을 이해하는 중요한 열쇠가 될 수 있다. 전리층 총 전자수를 정밀하게 측정하기 위해 한국천문 연구원에서 운영하는 9개의 GPS 관측망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코드 데이터 잡음을 줄이기 위해 의사거리 데이터를 반송파 위상 데이터와 선형 조합을 하였다. 또한 한반도 상공의 위 경도를 <TEX>$0.25^{\circ}{\times}0.25^{\circ}$</TEX>의 공간 해상도로 분할하여 각 격자점의 총 전자수를 추정하는 격자 방식의 지역적 전리층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전리층의 정 밀도 향상을 위 해 Inverse Distance Weight(IDW) 기법과 칼만 필터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지역적 전리층 모델과 전세계 전리층 분석센터에서 제시하는 글로벌 모델(GIMs)을 8일 동안 자료 처리 비교한 결과 평균적으로 3 ~ 4 Total Electron Contents Unit(TECU)의 RMS값 차이를 보였다.
748
  • Kim, Su-Jeoung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2, n.1
  • pp.47-58
  • 2005
  • 원문 바로보기
This paper addresses development of the ultra-light analog sun sensors for small satellite applications. The sun sensor is suitable for attitude determination for small satellite because of its small, light, low-cost, and low power consumption characteristics. The sun sensor is designed, manufactured and characteristic-tested with the target requirements of <TEX>${\pm}60^{\circ}$</TEX> FOV (Field of View) and pointing accuracy of <TEX>${\pm}2^{\circ}$</TEX>. Since the sun sensor has nonlinear characteristics between output measurement voltage and incident angle of sunlight, a higher order calibration equation is required for error correction. The error was calculated by using a polynomial calibration equation that was computed by the least square method obtained from the measured voltages vs. angles characteristics. Finally, the accuracies of 1-axis and 2-axes sun sensors, which consist of 2 detectors, are compared.
749
  • 진호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2, n.4
  • pp.483-490
  • 2005
  • 원문 바로보기
CCD 영상센서의 경우 포화 상태를 초과하는 막대한 양의 광자가 조사될 때 <TEX>$Si-SiO_2$</TEX> 접합 면에서 전하가 포획될 순 있으며 이 접합 면에 남아 있는 전하와 관련되어 잔존영상이 보일 수 있다. 이러한 잔존영상은 특히 전면조사 방식의 CCD에서 일어난다. 이 현상이 정밀 측광에 영향을 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잔존영상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과 보고간 국내에서는 찾아보기 힘들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면조사 방식의 CCD를 사용하는 레몬산천문대 관측자료의 암전자화면에서 잔존영상을 확인하고 잔존영상이 관측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분석해 보았다.
750
  • 한정열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2, n.1
  • pp.13-20
  • 2005
  • 원문 바로보기
지상 및 우주 천체 망원경용 비구면 반사경면 초기 제작공정에는 고정입자 휠을 사용하는 연삭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매 연삭 가공 이전에 설정한 목표 표면조도를 달성할 수 있도록 입력 연삭변수들을 결정하고, 표면 가공오차를 추적하며 , 가공 경과시간을 최소화하는 새로운 연삭공정을 개발하였다. 특별히 이 공정 기법은 이전 연삭 가공 작업시 까지 수집된 입력 변수 및 가공 결과 표면조도 자료를 다 변수 회귀분석 방법에 대입하여 목표 표면조도에 따른 최적 연삭가공 입력변수를 매 가공 작업 시 진화적으로 제시하는 지능형 공정 조절 능력을 갖추고 있다. 개발된 공정기법과 초정밀 컴퓨터 수치제어 연삭기를 사용하여 <TEX>$96.1\~65.0nm(Ra)$</TEX> 범위 의 목표 표면조도를 갖는 제로듀어 소재에 대하여 10회 가공 실험을 수행 한 결과 <TEX>$<ETC>=-0.906{\pm}3.38(\sigma)nm(Ra)$</TEX>의 가공 정밀도를 달성하여, 지능형 연삭공정의 효율을 입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천체망원경용 반사경면 연삭 가공 시 정성적 경험에 의존하여 가공하는 기존 기술을 극복하고 정량적 수치 모형에 의하여 가공소요시간 최소화 및 나노미터 급 표면조도를 달성하는 진화형 공정 최적화 기술의 확립이라는 의의를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