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모달창 닫기

한국우주과학회지

1984년 ~ 2025년까지 1,253 건한국우주과학회지를 계간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계간 (Quarterly)
  • ISSN : 1225-052x (ISSN : 1225-052x)
  • DB구축현황 : 1,253건 (DB Construction : 1,253 Articles)
안내사항
총 게시글 1,253 페이지 55/126
541
  • 정종균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6, n.4
  • pp.467-478
  • 2009
  • 원문 바로보기
2003년 10월 28일에 X18 급의 태양 플레어가 발생한 다음날인 10월 29일부터 10월 31일까지 할로윈 이벤트로 불리는 초대형 지자기 폭풍이 전 지구적으로 발생하였다. 할로윈 이벤트 기간 동안 한반도 상공 전리권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서 GPS 신틸레이션 S4 지수와 GPS 토모그래피 기법을 사용한 최대 전자밀도(<TEX>$NmF_2$</TEX>)의 변화를 날짜별로 분석하였다. GPS 신호손실과 신틸레이션의 총 발생 횟수는 10월 28일과 29일이 각각 1,094회와 1,387회로 30일과 31일의 604회와 897회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지자기 폭풍이 반드시 전리권 교란을 발생하지 않음을 의미 한다. 그러므로 지자기 폭풍이 아닌 전리권 교란을 감시하기 위해서는 지자기 교란 지수보다 S4 지수가 유용할 것이다. 전리권 전자밀도 변화 양상은 GPS 토모그래피 기법으로 산출된 전리권 최대전자밀도(<TEX>$NmF_2$</TEX>) 값을 날짜별로 분석하였다. 10월 28일에 가장 높은 <TEX>$NmF_2$</TEX> 값을 보이고 있다. 이는 안양 이온존데에서 관측된 <TEX>$NmF_2$</TEX> 값의 변화와 일치되는 경향을 보이며, 전자밀도가 낮은 30일과 31일에 GPS 신틸레이션과 신호손실 총 발생회수가 낮게 나타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결론적으로 지자기 폭풍과 GPS 신호 품절의 상관성은 나타나지 않고 있으나 전자멸도가 감 소할수록 GPS 신호품질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향후 장기관측 자료 분석을 통해 평상시와 지자기 폭풍 기간 동안의 GPS 신호품질과 전자멸도 변화에 대해 연구가 진행될 것이다.
542
  • 박은서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6, n.1
  • pp.75-88
  • 2009
  • 원문 바로보기
이 연구의 목적은 선형화 과정이 필요 없는 Unscented 변환(Unscented Transformation)을 사용한 후처리 배치 알고리즘을 소개하고, 기존 최소자승법을 이용한 후처리 배치 필터와 반복 UKF 스무더(Iterative Unscented Kalman Filter Smoother)들과 비교하여 추정 방법 간의 성능비교와 장단점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에 사용된 위성 궤도 결정시스템의 동역학 방정식은 지구의 비대칭 중력장의 영향, 대기항력, 태양복사압 및 달과 태양의 중력으로 구성되었다. 관측 데이터로는 지상국으로부터 측정한 위성의 거리, 방위각과 고도각이 사용되었다. 특히, 비선형성의 영향에 대한 추정 방법 간의 성능과 장단점의 비교를 위해 위성의 포기 궤도오차별, 관측데이터의 관측 잡음의 크기별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소개된, 선형화 과정이 필요 없는 Unscented 변환 기반의 후처리 배치 필터는, 비선형성의 특징이 증대된 상황에서 기존의 후처리 배치 알고리즘들에 비해 초기 궤도오차별, 관측데이터 잡음의 크기별 테스트 시 평균적으로 각각 약 5%와 12%정도의 정밀도 향상결과를 보였다. 또한, 기존 최소자승법을 이용한 후처리 배치필터가 발산한 상황에서도, 수렴성을 확보하는 안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므로 Unscented 변환 기반의 후처리 배치필터가 인공위성 궤도 결정 시스템에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543
  • 김상혁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6, n.3
  • pp.375-402
  • 2009
  • 원문 바로보기
한국의 전통 천문학은 과거 중국의 영향을 받아 여러 면에서 중국과 비슷하지만 별자리 모양이나 별이름 등에서 중국과 구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규장각에 보관중인 조선 초기의 보천가와 중국 수대(隋代, <TEX>$581{\sim}618$</TEX>) 왕희명(王希明)이 저술한 보친가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두 보천가에 그려진 천문도 별자리 모양과 연결선 그리고 본문 설명에 대하여 각각 비교하였다. 두 책을 비교 분석한 결과 별자리 설명의 여러 부분에서 전반적인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첫째 두 서적의 구성에서 서문과 삼원 별자리, 은하수 설명은 확연한 차이를 보여 준다. 둘째, 보천가에 그려진 전반적 별자리 그림은 비슷하지만 별자리의 연결선과 별의 개수가 여러 곳에서 다르게 그려져 있다. 셋째, 조선의 보천가는 중국 왕희명 보천가와 달리 별자리 설명에서 별의 색깔을 표현하고 있다. 이러한 두 나라 보천가의 차이점과 조선 보친가의 고유한 특징을 찾아 논문에 정리하였다. 조선 보천가와 중국 보천가의 여러 차이점은 우리 고유의 천문지식과 체계가 고려시대 이전부터 꾸준히 전해져 왔음을 짐작케 한다.
544
  • Jung, M.Y.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6, n.4
  • pp.421-424
  • 2009
  • 원문 바로보기
The <TEX>$JHK_S$</TEX> magnitudes of the red giant branch tip (TRGB) and the distance moduli of the nearby dwarf irregular galaxy IC 1613 have been determined from the near-infrared luminosity functions (LFs) of the resolved stars in the galaxy. Applying a Savitzky-Golay filtering, we derived the second derivatives of the LFs, and estimated the apparent magnitudes of the TRGB as <TEX>$m_J\;=\;19.1$</TEX>, <TEX>$m_H\;=\;18.4$</TEX>, and <TEX>$m_{Ks}\;=\;18.0$</TEX>. The mean values of the theoretical absolute magnitudes of the TRGB were measured by using the Yonsei-Yale isochrones with a metallicity range of -2.1 < [Fe/H] < -0.5 and age of 12 Gyr. The derived values of near-infrared TRGB distance moduli for IC 1613 are (m - M) = <TEX>$24.12{\pm}0.25$</TEX>, <TEX>$24.20{\pm}0.44$</TEX>, and <TEX>$24.00{\pm}0.52$</TEX> for J, H, and <TEX>$K_S$</TEX> bands, respectively.
545
  • 문인상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6, n.4
  • pp.693-702
  • 2009
  • 원문 바로보기
액체로켓엔진의 구성품 중 하나인 산화제 라인 시스템의 3차원 모델과 유동해석을 수행하였다. 전체 시스템의 유동해석에 앞서 각 구성품들의 개별적인 유동해석과 단순화된 모델을 통해 최적의 위치를 결정하였다. 그 결과 가스발생기 라인의 입구는 압력보상이 필요하며 오리피스의 위치에 따라 출구 유동의 형태가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체적으로 해석된 라인 시스템은 주어진 요구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실제 제품 제작과 시험을 통해 확인할 예정이다.
546
  • 조일현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6, n.1
  • pp.25-30
  • 2009
  • 원문 바로보기
태양의 북-남 비대칭성을 고려하여 태양활동과 기후변화 사이의 관계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흑점 수와 지구연평균 기온아노말리(temperature anomalies) 시계열을 이용하여 이동 상관계수를 계산하였고 상관계수의 부호가 바뀌는 시점을 태양의 북-남 비대칭성의 부호가 바뀌는 시점과 비교하였다. 상관계수의 부호는 1907년을 기준으로 음의 상관에서 양의 상관으로 바뀌었고 1985년을 기준으로 양의 상관이 을의 상관으로 바뀌었다. 이 둔 시점은 태양의 북-남 비대칭성의 부호가 바뀌는 시점과 잘 일치하였다. 흑점 수에 대한 기온아노말리 변화 그래프를 통해 태양활동과 기후변화 사이의 관계가 1907년과 1985년으로 나뉘어진 세 기간으로 분류되었고 각 기간에 대해서 기온아노말리의 흑점 수에 대한 상관계수를 계산하였다. 이를 통해 태양의 남반구에서 태양활동이 강할 때는 태양활동과 기후변화의 관계가 음의 상관을 보이고 북반구의 태양활동이 강할 때는 양의 상관을 보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547
  • Lee, Byoung-Sun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6, n.2
  • pp.267-278
  • 2009
  • 원문 바로보기
Automation of the key flight dynamics operations for the geostationary orbit satellite mission is analyzed and designed. The automation includes satellite orbit determination, orbit prediction, event prediction, and fuel accounting. An object-oriented analysis and design methodology is used for design of the automation system. Automation scenarios are investigated first and then the scenarios are allocated to use cases. Sequences of the use cases are diagramed. Then software component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are designed for automation. The automation will be applied to the Communication, Ocean, and Meteorology Satellite (COMS) flight dynamics system for daily routine operations.
548
  • Seo, Yoon-Kyung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6, n.4
  • pp.643-650
  • 2009
  • 원문 바로보기
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KASI) has been developing one mobile and one stationary SLR system since 2008 named as ARGO-M and ARGO-F, respectively. KASI finished the step of deriving the system requirements of ARGO. The requirements include definitions and scopes of various software and hardware components which are necessary for developing the ARGO-M operation system. And the requirements define function, performance, and interface requirements. The operation system consisting of ARGO-M site, ARGO-F site, and Remote Operation Center (ROC) inside KASI is designed for remote access and the automatic tracking and control system which are the main operation concept of ARGO system. To accomplish remote operation, we are considering remote access to ARGO-F and ARGO-M from ROC. The mobile-phone service allows us to access the ARGO-F remotely and to control the system in an emergency. To implement fully automatic tracking and control function in ARGO-F, we have investigated and described the requirements about the automatic aircraft detection system and the various meteorological sensors. This paper addresses the requirements of ARGO Operation System.
549
  • 황성원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6, n.4
  • pp.487-498
  • 2009
  • 원문 바로보기
지난 2005년 1월 4일 보현산 천문대(BOAO)의 BOES(BOao Echelle Spectograph)를 이용하여 Machholz(C/2004Q2) 혜성을 관측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Machholz 혜성의 고분산 분광 자료를 이용하여 미확인 분광선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연구에 이용된 분광선의 파장 범위는 <TEX>$4800{\sim}8100{\AA}$</TEX> 영역이다. 기존에 있던 Swift- Tuttle 혜성 Brorsen-Metcalf 혜성, Austin 혜성, 그리고 122P/de Vieo 혜성의 자료들과 비교분석을 하였다. 다수의 미확인 분광선에 대한 원인물질을 알아냈고, 이러한 자료들은 앞으로 혜성 연구에 있어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550
  • 김혜인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26, n.2
  • pp.199-210
  • 2009
  • 원문 바로보기
다양한 위성항법시스템이 개발 중이지만 현재 측위에 사용 가능한 것은 GPS와 GLONASS 뿐이다. 이 연구에서는 GLONASS의 궤도력 중에서 방송궤도력을 이용하여, 위성의 운동을 나타내는 미분방정식을 4차 Runge-Kutta 방법으로 수치적분하여 위성궤도를 예측하고, 그 정 확도를 평가하였다. 생성한 예측지도는 정밀궤도력과 비교하여 정확도를 검증하였는데, 1일간의 예측궤도와 7일간의 예측제도의 3차원 최대오차는 각각 17.4km, 40.1km로 나타났으며, RMS 오차는 각각 14.3km, 15.7km로 나타났다. 또한 예측제도를 이용하여 산출한 가시위성의 개수와 실제관측 결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관측지점의 주변 건물에 의한 영향으로 발생하는 차이를 제외하고 결과가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