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모달창 닫기

한국우주과학회지

1984년 ~ 2025년까지 1,253 건한국우주과학회지를 계간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계간 (Quarterly)
  • ISSN : 1225-052x (ISSN : 1225-052x)
  • DB구축현황 : 1,253건 (DB Construction : 1,253 Articles)
안내사항
총 게시글 1,253 페이지 124/126
1231
  • Hong, Kyung-Ai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4, n.2
  • pp.107-127
  • 1987
  • 원문 바로보기
Review of the <TEX>$\gamma$</TEX>-ray burst phenomena are presented. History of the <TEX>$\gamma$</TEX>-ray bursts, characteristics, and three radiation mechanisms of thermal bremsstrahlung, thermal synchrotron, and inverse Compton scattering processes are considered.
1232
  • 조경철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4, n.1
  • pp.55-63
  • 1987
  • 원문 바로보기
세계 제 2 차대전이 끝난 이후로부터 40여년간, 현대 관측천문학을 이끌어 온 Palomar 산의 500cm 반사망원경은 드디어 차세대망원경에게 leadership을 넘겨주게 되었다. 자금염출이 여의치 않아 그동안 부진했던 초대형망원경 건설이 드디어 boom을 일으키게 된 것이다. 가주공과대학의 10m 반사망원경이 제작 중에 있고, Ohio주립대학도 10m 쌍통반사망원경 건립을 추진 중에 있고, 일본도 7.5m 반사망원경 건립을 검토 중이다. 한국은 1.5m~2m 반사망원경 제작이 구체화되어가고 있으니, 1970년, 불과 40cm 반사경 1대만 갖고 고군분투하던 그때를 초기하면 실로 감계무량하다 아니할 수가 없다. 그러나 NASA는 또 한편, 차세대망원경으로서 Space Shuttle을 이용하여 위성망원경을 발사할 계획을 1965년에서부터 구상하여 수차에 걸친 발의·부결을 거듭한 끝에, 드디어 1977년, 미국회의 건조인준을 얻었다.
1233
  • 곽진영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4, n.1
  • pp.47-54
  • 1987
  • 원문 바로보기
지표근처에는 지상으로부터 100km 상공에 있는 전리층내에서 흐르는 <TEX>$10^4A$</TEX> 정도의 전류에 의한 전자유도현상에 의하여 미약한 전류가 지표를 따라 흐른다. 지자기의 영향을 간접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지구전류를 측정하며 그 결과를 제시한다.
1234
  • Kim, Chang-Ha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3, n.2
  • pp.103-116
  • 1986
  • 원문 바로보기
The mass distribution and other related quantities were calculated by fitting the observed rotation curve(Davoust and de Vaucouleur 1980) to Brandt and Belton's mass distribution model. One of n values for mass model is determined as 1.5(Vm=95 <TEX>$kms^{-1}$</TEX>) and two pairs of them are determined as 0.8(Vm = 95<TEX>$kms^{-1}$</TEX>) and 2.0 and 0.8 (Vm = 55<TEX>$kms^{-1}$</TEX>) and 2.0 because of the hump in observed rotation curve. Total masses and integrated mass to luminosity ration are <TEX>$1.8\times10^{10}M_\odot,\;1.5\times10^{10}M_\odot,\;1.4\times10^{10}M_\odot$</TEX>, and 6.57, 5.33, 5.26 for three cases according to n values. Integrated mass to luminosity ratio in Holmberg radius is 3.44, 3.26, 3.00 in god agreement with the typical value of Sd type suggested by Faber and Gallagher(1979). Presented halo masses which are fifty percent of total masses and halo mass to luminosity ratios given as 75.83, 53.50, 58.75 are values less than Turner's(1976).
1235
  • Kim, Chul-Hee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3, n.2
  • pp.81-92
  • 1986
  • 원문 바로보기
The z-coordinate distribution of cepheids was studied and the finding of Fernie(1968) that the cepheid layer is inclined to ward a formal Galactic plane and the Sun is located above the cepheid plane was confirmed. It was found that the z-distribution fits better to the parabolic form than a barometric form and a scale height of 54 pc was found. The well known phenomenon that the periods of classical cepheids decrease away from the Galactic center was crudely interpreted as due to an age gradient rater than an abundance gradient under the assumption that relations between the period and galactocentric distance, and between the abundance and period are linear.
1236
  • 신종섭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3, n.1
  • pp.15-27
  • 1986
  • 원문 바로보기
인공위성이 원궤도를 유지하도록 초기궤도 요소를 주고, 섭동요소들에 의한 동경 반경의 변화를 계산하였다. 위성의 궤도에 영향을 미치는 섭동 요소로는 지구의 비대칭 potential, 달과 태양 의 인력을 고려하였다. 계산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위성의 례도 청사각이 <TEX>$0^{\circ}$</TEX> 일 때, <TEX>$J_2$</TEX> 항은 전혀 섭동을 일으키지 않는다. 2) 이 경우에는 tesseral harmonics 만이 큰 섭동을 냐타내며 영년 변화가 나타난다. 3) 기타의 다른 섭동은 비교적 작지만 주기성을 갖는다.
1237
  • Kim, Chang-Ha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3, n.1
  • pp.53-66
  • 1986
  • 원문 바로보기
Isophotes and surface brightness distribution were obtained for the late type normal spiral galaxy NGC 7793 (morphological type SA(s)d) which is one of the Sculptor group. The calculated total luminosity <TEX>$M_{T}$</TEX> is obtained as 9.44 and the corrected face on magnitude <TEX>${B_T}^{circ}$</TEX> is 9.10. The revised distance to this galaxy <TEX>$\Delta$</TEX>=3.1 Mpc (de Vaucouleurs and Davoust 1980) is used for calculating the absolute magnitude <TEX>${M_T}^{circ}$</TEX> = -18.36. From the isophotes, the position angle to the major axis is <TEX>$101^{circ}$</TEX>, the mean axial ratio is q=b/a =0.65, and the inclination is i=50<TEX>$^{circ}$</TEX>. The concentric indices <TEX>$C_{21}$</TEX>=1069 and <TEX>$C_{32}$</TEX> =1.50 are well agreed to the average value of Sd type galaxies.
1238
  • 오규동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3, n.1
  • pp.41-51
  • 1986
  • 원문 바로보기
식쌍성 TX UMa의 2색 (V와 B)의 광천측광에 의한 광도곡선(Oh and Chen 1984)을Wilson and Devinney(1971) 모델에 의한 differential corrections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결과 TX UMa의 온도가 낮고 질량이 작은 반성은 Roche lobe를 채우고 있는 준접촉 식쌍성으로 해석된다. 한펀, 이번에 얻은 TX UMa의 측광학적 궤도요소와 Hiltner( 1945)의 분광궤도요소로부터 이 별의 절대량을 구하였다. 이에 따르면, 분광형이 B8V인 주성은 core hydrogen burning의 zero age main sequence stage에 있으며 반성은 shell hydorgen burning stage 이후 contraction stage의 진화 상태에 놓여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1239
  • 김수용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3, n.2
  • pp.71-79
  • 1986
  • 원문 바로보기
최근에 알려진 위성이나 로켓트 데이타로부터 지구자기장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온이 가속화된다는 사실, 즉 ion conics를 알고 있다. 이 현상과 오로라존에서 자주 발견되는 정전기적 파동이 밀접하게 관련된다고 믿고 있다. 플라스마 이론과 1 차원의 모의실험에 입각하여 전류에 의한 플라스마 불안정성의 선형과 비선형이론을 고려한다. 모의실험으로부터 이온의 가속현상이 일어남을 볼 수 있다.
1240
  • Kim, S.Y.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3, n.2
  • pp.117-122
  • 1986
  • 원문 바로보기
최근에 지구 자기권의 magnetotail 부분에서 주파수 범위가 매우 넓은 정전기적 교란이 발견되었다. 이 불안정성은 이 지역에서 발견되는 이온층으로부터 날라오는 이온빔에 의하여 발생된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Magnetotail 속에서 얼어나는 이온빔 acoustic 불안정성의 컴퓨터 모의실험 결과를 제시한다. 이 불안정성으로 안하여 위성에 의하여 관측된 이온들의 heating이 얻어짐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