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모달창 닫기

한국우주과학회지

1984년 ~ 2025년까지 1,251 건한국우주과학회지를 계간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계간 (Quarterly)
  • ISSN : 1225-052x (ISSN : 1225-052x)
  • DB구축현황 : 1,251건 (DB Construction : 1,251 Articles)
안내사항
총 게시글 1,251 페이지 123/126
1221
  • 오규동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4, n.2
  • pp.69-80
  • 1987
  • 원문 바로보기
Okazaki(1997)의 2색(V와B)의 광전측광에 의한 광도곡선을 Wilson and Devinney모델을 이용하여 T LMi의 광전궤도요소를 구하였으며 지금까지 발표된 이 별의 극심시각을 문헌으로 수집하여 궤도공전주기변화를 분석하였다.T LMi의 공전주기 변화는 simusoidal한 주기변화를 나타내며 그 진폭은 <TEX>$0.^{d}0425$</TEX> 이고 장주기변화는 <TEX>$62.^{y}01$</TEX> 로 나타났다. 한편, 이번 연구에서 얻어진 T LKi의 물리적 성질에 따르면 이 별은 'R CMa' 형으로 분류한다는 것은 재검토가 있어야 하겠다.검토가 있어야 하겠다.
1222
  • 나혜원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4, n.1
  • pp.11-23
  • 1987
  • 원문 바로보기
외신성의 폭발 원인을 반성으로부터 accretion disk에 흘러들어온 물질유입량의 갑작스런 증가로 가정하였다. 따라서 <TEX>$\alpha$</TEX>-disk모델에서 source term을 100배로 증가시켜 Newton-Raphson 방법으로 풀었다. 구해진 disk의 물리적 변수들을 disk의 반경에 대해 나타냈으며, 시간에 따른 disk의 광도와 질량 변화를 구하였다. <TEX>$\alpha$</TEX> 의 값을 각각 0.1, 0.12, 0.15, 0.18로 바꿔가며 유입되는 물질의 양이 일정할 때와 disk의 밝기가 가장 밝을 때의 변수들을 비교하였다. 이들 결과를 <TEX>$1M_\bigodot$</TEX>의 항성의 표면과 대기와 비교하였다.
1223
  • 최규홍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4, n.1
  • pp.25-33
  • 1987
  • 원문 바로보기
For a geostationary satellite north-south keeping maneuver must control the inclination elements. The effects on the orbit plane of maneuvers and natural perturbations may be represented by a plane plot of Wc versus, Ws, since these inclination elements represent the projection of the major axis and the inclination elements are obtained.
1224
  • Ryu, Chang-Mo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4, n.2
  • pp.95-99
  • 1987
  • 원문 바로보기
The possibility of the cross-field diffusion of a fluid to generate magnetic fields on a large scale is examined. Application to the sunspot is discussed.
1225
  • Kim, Chul-Hee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4, n.2
  • pp.89-94
  • 1987
  • 원문 바로보기
By using the recently determined color excess and distance data of classical by Kim (1985), the distribution of interstellar reddening material was studied to see the general picture of the average rate of interstellar absorption out to about 7-8 kpc in the Galactic plane in various directions from the sun.
1226
  • 김수용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4, n.2
  • pp.81-88
  • 1987
  • 원문 바로보기
오로라존 내에는 수소이온 이외에 산소이온이 많이 분포되어 있다. 오로라존 내의 전자에 의한 수소 및 산소이온들의 가열현상에 대하여 해석적 이론 및 수치모사법(numerical simluation)을 통하여 고찰한다. 오로라전자의 속력이 낮을 경우에 lower hybrid 불안정성 대신에 이온-이온교잡파(ion-ion hybrid wave)가 발생하여 산소이온이 수소이온보다 훨씬 더 많이 가열된다.
1227
  • Park, Kyung-Suk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4, n.1
  • pp.35-45
  • 1987
  • 원문 바로보기
The peculiar elliptical (EOp) galaxy NGC 4486 and two KOII comparison stars HR5450, HR6935 were observed spectroscopically using the 74-inch telescope and Image Tube at Mt. Stomlo Observatory. From the Gaussian Broadening Function, broadened spectrum of two comparison stars were computed for the range between wavelength 4800<TEX>$\AA$</TEX> and 5400<TEX>$\AA$</TEX>. Velocity dispersions in the line of sight of M87 were obtained by visual fitting. The fitted velocity dispersion is 450 km/sec at the nucleus, 350km/sec at r=12', and 300km/sec at r=24'. Using the photometric data and the central value of velocity dispersion, we determined the mass of M87. From <<TEX>$r^{2/4}$</TEX> law and the Virial theorem the calculated total mass in <TEX>$2.1\times10^{12}M_\odot$</TEX> and from the King Model <TEX>$M=1.2\times10^{12}M_\odot$</TEX>. And M/L ratio of M87 is about 30.
1228
  • Hong, Kyung-Ai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4, n.2
  • pp.107-127
  • 1987
  • 원문 바로보기
Review of the <TEX>$\gamma$</TEX>-ray burst phenomena are presented. History of the <TEX>$\gamma$</TEX>-ray bursts, characteristics, and three radiation mechanisms of thermal bremsstrahlung, thermal synchrotron, and inverse Compton scattering processes are considered.
1229
  • 조경철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4, n.1
  • pp.55-63
  • 1987
  • 원문 바로보기
세계 제 2 차대전이 끝난 이후로부터 40여년간, 현대 관측천문학을 이끌어 온 Palomar 산의 500cm 반사망원경은 드디어 차세대망원경에게 leadership을 넘겨주게 되었다. 자금염출이 여의치 않아 그동안 부진했던 초대형망원경 건설이 드디어 boom을 일으키게 된 것이다. 가주공과대학의 10m 반사망원경이 제작 중에 있고, Ohio주립대학도 10m 쌍통반사망원경 건립을 추진 중에 있고, 일본도 7.5m 반사망원경 건립을 검토 중이다. 한국은 1.5m~2m 반사망원경 제작이 구체화되어가고 있으니, 1970년, 불과 40cm 반사경 1대만 갖고 고군분투하던 그때를 초기하면 실로 감계무량하다 아니할 수가 없다. 그러나 NASA는 또 한편, 차세대망원경으로서 Space Shuttle을 이용하여 위성망원경을 발사할 계획을 1965년에서부터 구상하여 수차에 걸친 발의·부결을 거듭한 끝에, 드디어 1977년, 미국회의 건조인준을 얻었다.
1230
  • 곽진영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4, n.1
  • pp.47-54
  • 1987
  • 원문 바로보기
지표근처에는 지상으로부터 100km 상공에 있는 전리층내에서 흐르는 <TEX>$10^4A$</TEX> 정도의 전류에 의한 전자유도현상에 의하여 미약한 전류가 지표를 따라 흐른다. 지자기의 영향을 간접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지구전류를 측정하며 그 결과를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