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모달창 닫기

한국우주과학회지

1984년 ~ 2024년까지 1,246 건한국우주과학회지를 계간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계간 (Quarterly)
  • ISSN : 1225-052x (ISSN : 1225-052x)
  • DB구축현황 : 1,246건 (DB Construction : 1,246 Articles)
안내사항
총 게시글 1,246 페이지 120/125
1191
  • Chen, Kwan-Yu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6, n.1
  • pp.49-55
  • 1989
  • 원문 바로보기
1192
  • Kim, Ho-Il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6, n.2
  • pp.109-117
  • 1989
  • 원문 바로보기
A total of 266 photoelectric observations(91 in V, 93 in B, and 82 in U) for an eclipsing binary, ZZ Cnc, has been secured by using the 61-cm reflector and an uncooled iP21 photomultiplier phototube of Yonsei University Observatory during 4 years from March 1984 to May 1988. One time of minimum light, JD 2446887.534 is obtained. Although Kim et al.(1988)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the period change, the present study shows that the orbital period of ZZ Cnc should be constant. According in a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eclipse light curves. Min I = JD Hel 2446887.574+25d.5944E <TEX>$pm$</TEX>2 <TEX>$pm$</TEX>2 may be useflul as new light elements for future observations.
1193
  • Nha, Il-Seong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6, n.2
  • pp.119-125
  • 1989
  • 원문 바로보기
UBV observations of the primary eclipse of Algol-type long period eclipsing binary AY Persei have been successfully made using the 61-cm reflector at the Ilsan Station of Yonsei University Observatory in September and October, 1989. These light curves furnish ones to deduce following results; (1) the total duration of the eclipse lasted for about 0.066(0.78 days) with no clear evidence of the existence of the totality, (2) the depths of mid-eclipse of <TEX>$0^m.91$</TEX> and <TEX>$1^m.07$</TEX> for V and B, respectively, (3) two times of minimum light, JD2447820.203 and JD 2447820.200 for V and B, respectively, and (4) no period variation with the improved light elements, Min I =JD2427152.237+<TEX>$11^d.776620e$</TEX>, <TEX>$pm$</TEX>10 <TEX>$pm$</TEX>4 are made.
1194
  • 김영수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6, n.2
  • pp.127-135
  • 1989
  • 원문 바로보기
연세대학교 천문대의 60cm와 40cm 반사망원경을 이용하여 1982년 4월 부터 1985년 5월까지 Epsilon Aurigae를 UBV 관전측광하여 총 1065 관측점을 얻었다. 우리의 광도곡선에 다른 천문대들의 관측자료를 합하여 제1극심의 광도곡선을 완성하였다. 이 광도곡선에서 2차적인 광도변화, 폭발현상, 식중심의 밝아짐 등에 관하여 자세히 조사하고, 제1그심의 각 접촉시각들과 중심식 시각을 결졍하여 다른 연국자들이 정한 값들과 비교하였다. 과거의 식들에서 구한 값들과 비교한 결과, 식이 일어나는 전체기간은 계속 감소하는 반면 완전식의 기간은 계속 증가하였다. 현재 가장 널리 통용되는 디스크 모델에 위의 여러 현상들을 적용하여 보았으나 명확히 설명되지 않았다. 그래서 새로운 모델인 혜성 모델을 만들어 광도곡선에 나타난 현상들을 해석하여 보았다.
1195
  • 최규홍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6, n.2
  • pp.91-100
  • 1989
  • 원문 바로보기
정지 위성 궤도의 평균 궤도 요소를 비 특이점 궤도 요소 항으로 연구하였다. 실제 위성의 위치는 평균 궤도로부터 단주기 섭동 만큼 위성 위치가 진동하는데, 그 진동의 진폭은 1800m 이하이다. <TEX>$e_c$</TEX> 와 <TEX>$e_s$</TEX>의 평균값도 얻었다.
1196
  • 최윤정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6, n.1
  • pp.29-39
  • 1989
  • 원문 바로보기
자기장을 고려한 압축성 무한 가스 원반계를 가정하여 이 계의 중력 불안정성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또한 초기 질량 함수를 구하였다. 가스압에 비해 자기압이 큰 경우, 이 원반계는 긴 파장을 갖는 섭동에 의해 불안정해지는 반면 자기압에 비해 가스압이 큰 경우는 이보다 짧은 파장의 섭동에 의해 불안정하게 됨을 알 수 있다.
1197
  • 이정숙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6, n.2
  • pp.101-108
  • 1989
  • 원문 바로보기
1983년 초 세 부분-COSMOS 1402-A, B, C-으로 분리되어 추락한 소련 위성 COSMOS 1402호의 낙하를 추정하기 위한 알골이즘을 개발하였다. 이 인공위성의 궤도에 영향을 미치는 섭동력으로는 지구의 비대칭 중력포텐셜과 지구의 대기 저항에 의한 섭동력이 고려되었고, 고도에 따른 지구의 대기 밀도를 구하기 위해 표준대기모델을 만들었다. COSMOS 1402호의 낙하시 NASA GSFC가 보내온 궤도요소 자료를 이용하여 COSMOS 1402-A와 C의 낙하시각과 낙하지점을 추정하고, 미국무성의 발표와 비교해 보았다. COSMOS 1402-C의 경우 모두 잘 일치함을 보이나 COSMOS 1402-A 의 경우 낙하시각이 1분, 낙하지점은 경위도 각각 2도씩의 오차를 보였다.
1198
  • 이우백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6, n.1
  • pp.41-47
  • 1989
  • 원문 바로보기
RS CVn형 변광성 Hㅇ 8358을 1987년 10우러부터 1988년 12월까지 총 15일간 소백산천문대의 61cm 반사망원경으로 UBV 광전관측을 하여 새로운 광도 곡선을 얻었다. 우리의 광도곡선에서는 두 개의 극대광도가 보였다. 한편, 극대광도가 관측된 날들의 극대 시각들을 조사한 결과, 그때의 위상이 계속 변함을 알았다. 또한 1987년 10월 -1988년 1월의 관측 값에 비해서, 1988년 11월 -12월의 관측 값이 <TEX>$\Delta(b-\upsilon)$</TEX>는 청색화해졌으나 <TEX>$\Delta(u-b)$</TEX>는 적생화해졌다.
1199
  • 정경숙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6, n.1
  • pp.17-28
  • 1989
  • 원문 바로보기
Parker(1963)가 제사한 고전적 태양풍 이론은 항성계를 비롯한 여러 개의 항성풍 현상을 역학적으로 잘 설명하고 있다. 태양풍과 같은 함성풍의 경우에 대해서는 구형의 항성풍 구조를 갖지만, 우리 은하 내에서 발견되는 SS433제트, 외부 은하인 M87에서 볼 수 있는 쌍방 분출역내의 광학 제트와 AGN근방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제트 현상은 항성풍과는 달리 좁은 공간으로 집속화(collimation)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 연구에서는 각운동량이 보존되는 회전 원반계의 경우, 유체 역학적 이론에 근거하여 이러한 제트 현상을 일으키는 계의 역학적 구조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특히 제트를 이루는 흐름의 단면적의 변화가 제트 흐름의 물리적 변화를 일으키는데 회전 원반계의 경우, 이 관계가 뚜렷이 나타나는 것을 알았다.
1200
  • Min, Kyoung-W.
  •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 6, n.1
  • pp.1-15
  • 1989
  • 원문 바로보기
Magnetospheic substorm in the magnetotail region is studied numerically by means of a three dimensional MHD code. The analytic solution for the quiet magnetotail is employed as an initial configuration. The localized solar wind is modeled to enter the simulation domain through the boundaries located in the magnetotail lobe region. As a result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olar wind and the magnetosphere, the magnetic field lines are stretched, and the plasma sheet becomes thinner and thinner. When the current driven resistivity is generated, magnetic reconnection is triggered by this resistivity. The resulting plasma jetting is found to be super-magnetosonic. Although the plasmoid formation and its tailward motion is not quite clear as in the two dimensional simulation, which is mainly because of the numerical model chosen for the present simulation, the rarification of the plasmas near the x-point is observed. Field aligned currents are observed in the late expansive stage of the magnetospheric substorm. These field aligned currents flow from the tail toward the ionosphere on the dawn side from the ionosphere to ward the tail on the dusk side, namely in the same sense of the region 1 current. As the field aligned currents develop, it is found that the cross tail current in the earth side midnight section of the magnetic x-point is reduc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