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모달창 닫기

자주하는 질문

천체물리/우주론 Q.백색왜성의 발견과 해왕성의 발견의 공통점은 무엇인가요? 2010-02-23
A.백색왜성중 처음으로 발견된 것이 시리우스의 반성인데 시리우스가 너무 밝기 때문에 이 반성이 보이지 않았습니다. 시리우스의 천구 상에서의 운동, 즉 고유운동을 관측하던 중 1844년 베셀이 불규칙한 고유운동 있음을 알아내고 이 별이 쌍성임을 알았습니다. 그때까지 반성을 직접 관측하지는 못하였습니다. 그러다가 1862년 클라크가 새로 만든 망원경을 시험 관측하던 중에 시리우스 반성을 발견하게 되었죠. 베셀이 시리우스의 고유운동에서 발견한 방법은 궤도의 운동을 뉴톤 역학적으로 분석하여 반성의 질량을 구하였습니다.



한편 천왕성은 1781년 위대한 천문학자 허셜에 의하여 행성이라는 것이 발견되었습니다. 그전에 성도에 나오기는 하였죠. 해왕성은 천왕성의 궤도를 연구하던 천왕성의 궤도가 어떤 천체에 의하여 섭동을 받는다는 사실이 1790년부터 1840년까지의 관측에 나타난 것을 애덤즈와 르베르리에는 각각 천왕성 밖의 행성에 의한 천왕성 궤도에 미치는 영향을 계산하여 천왕성 밖에 행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처음으로 발표하였고, 그 위치를 추정해 내었습니다. 마침내 1846년 베를린천문대의 갈레에 의하여 예측한 위치에서 1도 떨어진 곳에서 해왕성이 발견되었습니다. 애덤즈와 르베르리에가 사용한 방법이 뉴톤역학에서 섭동이라는 방법을 이용하였습니다.



이 두 사건의 공통점은 천체의 궤도 운동을 <뉴톤 역학>을 써서 계산하여 안 보이는 천체의 영향과 정체를 알아냈다는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