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혜성의 궤도를 계산함으로써 우리는 혜성의 주기를 알 수 있습니다. 궤도를 구하기 위해 3차원 공간에서 타원, 포물선, 쌍곡선과 같은 원뿔 곡선은 세 점을 알면 그 공식을 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x,y 평면에서 직선은 두 점을 알면 그 방정식을 구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원이나 포물선도 두 점을 알면 방정식을 구할 수 있습니다. 혜성의 궤도는 타원, 포물선, 쌍곡선 중의 하나가 됩니다. 그런데 혜성은 움직이므로 천구 상에 투영된 적경, 적위, 시각으로 나타낸 적어도 세 점이상의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혜성의 궤도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혜성의 궤도는 처음에는 포물선으로 가정하고 계산하는데 관측이 많아지면 타원인지, 포물선인지 정확하게 계산됩니다. 혜성의 궤도를 규정하는 (정하는) 요소는 주기, 근일점 통과시각, 근일점 거리, 궤도 경사각, 춘분점에서 천구 면과 궤도면이 만나는 선 (노드라 함)까지의 각도, 근일점에서 혜성까지의 각도에 의하여 정의됩니다. 보통 다음과 같이 나타냅니다.
e : Eccentricity : 이심율 (혜성의 궤도가 어떤 형태를 띄고 있는지...)
q : Perihelion passage distance (AU) : 근일점거리 (혜성이 태양에서 가장 가까울 때 얼마나 가까이 접근하는지를 AU단위로 나타낸 것입니다. 1AU는 태양에서 지구까지 거리입니다.)
ω: Argument of perihelion (deg.) : 근일점 이각
Ω: Longitude of the ascending node (deg.) : 승교점경도
i : Inclination (deg.) : 궤도 경사각
T : Perihelion passage time (TDB) : 근일점 통과시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