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모달창 닫기

자주하는 질문

기타 Q.인류는 외계에서 온 것이 아닐까요? 2010-02-23
A.엄밀히 말하면 "인류의 기원" 문제는 천문학 영역의 문제도 아니고 천문학자가 답변할 문제는 아닙니다. 물론 외계 생물학이라는 부분이 천문학의 한 분야로 있으므로 생물의 탄생에 대하여 관심을 갖고있기는 합니다.



질문하신 내용으로 보아 생물학 혹은 고생물학, 또는 고고학, 고고 인류학을 하시는 분들이 답변해야할 성질의 것인데 우리 나라에서 물어볼 곳이 마땅치 않죠 ?



천문학에서 외계 생물학을 하시는 분들은 모두 생물학적으로 "진화론자"라 보시면 됩니다. 즉 지구 밖의 생명체의 존재 여부는 바로 진화론으로 대표되는 과학자들이 예측하고 있는 바이니까요. 천문학자의 많은 수 (아마도 99%이상)는 외계 생명체의 존재에 대하여 긍정적일 것이라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지구라는 또는 태양계라는 조건이 우주에서는 아주 평범하고 흔하기 때문입니다. 자연과학에서 자연과학자들이 가장 근본적으로 믿고있는 자연과학적 보편성의 원리에 입각해 보면 같은 자연적 조건이면 동일한 결과가 보여질 확률이 매우 높다 라는 것이므로 외계 생명체의 존재를 자연과학적인 추론에 의하여 "믿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과학자들은 그러한 증거가 발견되기 전까지는 과학적 사실로 인정하지 않을 것입니다. 이게 과학입니다. 과학은 믿음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과학은 과학적 실재가 추론에 의하여 "존재 가능하기 때문에 믿지만", 종교는 종교적 실재를 "믿기 때문에 존재하는 것"입니다. 지구의 생성과정으로 볼 때 현재 인류의 지식수준이 지나치게 높다는 주장이 있는데, 과학적인 진화론과 종교적인 창조론 논쟁에서 창조론 자들이 진화론 특히 인간의 진화를 비판할 때 예로 드는 것 중에 하나입니다. 이와 같은 추론에 과학적이고 논리적인 색깔을 입히고 있지만 결국 종교적인 관념을 증명하려는 노력으로 보입니다. 과학에서는 사실에 바탕하지 않은 추론의 결론은 받아들이지 않거든요.



그렇지만 과학적 결과는 항상 확고 부동한 것은 아닙니다. 물론 만능도 아니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