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모달창 닫기

자주하는 질문

관측기기 Q.주연감광(limb darkening)이란 무엇인가요? 2010-02-23
A.주연감광은 Limb Darkening을 번역한 말로, 태양과 같이 빛을 복사하며 각 크기를 갖는 천체, 즉 원반을 갖는 천체는 눈으로 보아 원반의 중심이 밝고 주변으로 갈수록 점점 어두워지는 현상이 주연감광입니다. 흑점을 보기 위하여 투영판에 투영시킨 태양이나 태양 사진을 잘 살펴보면 이와 같은 현상을 볼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현상은 태양에만 일어나는 것이 아니고 다른 별에서도 일어나는데 일반적인 관측으로는 나타나지 않고, 별이 식 현상을 일으키는 식 쌍성의 광도변화에 이 효과가 반영됩니다.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는데 그 첫째가 기하학적인 원인입니다. 즉 빛을 복사하는 구를 가정해보면, 빛이 태양의 광구에서처럼 구의 중심이 아니라 구의 표면에서 사방 (180도 구 중심의 반대 방향)으로 복사를 하는 형태가 됩니다. 이렇게 되면 관측자가 구를 관측할 때 구는 겉보기로 원반으로 보이므로, 원반의 중심 부분에서 관측자에게 오는 빛에 비하여 가장자리에서 오는 빛의 세기가 약하게 보입니다. 이 이유는 기하학적으로 가장자리의 빛은 대부분 관측자 쪽이 아니고 구 표면의 수직 방향으로 복사되기 때문입니다.



두번째는 태양과 같은 항성의 대기 때문에 일어납니다. 즉 태양의 대기는 관측자가 보아 원반의 중심보다 가장자리가 더 두껍습니다. 따라서 복사된 빛이 투과하는 대기가 가장자리가 더 두껍기 때문에 그만큼 더 많은 흡수와 산란이 일어나서 빛의 세기가 더 감소하게 됩니다.



위와 같은 두 가지 현상 때문에 주연감광이 나타납니다. 기하학적인 주연감광은 항성의 종류와 관계없이 일정한 형태로 나타나겠지만 대기에 의한 주연감광은 대기의 성분이나 특징, 복사되는 빛의 특징 등에 의하여 좌우됩니다. 태양의 경우 주연감광은 중심부에 비하여 가장자리의 밝기는 대략 50%이하입니다. 이론상으로는 40%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