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모달창 닫기

자주하는 질문

관측기기 Q.구면수차와 코마수차란 무엇인가요? 2010-02-23
A.구면수차는 렌즈나 거울 모두에서 나타날 수 있는 현상입니다. 렌즈나 거울을 구면 즉, 공의 한 단면처럼 만들었을 때 나타나는 현상으로 거울이나 렌즈의 중심 부근으로 입사된 빛과 변두리로 입사된 빛이 서로 다른 점에서 초점을 맺어 상이 흐리게 보이는 현상을 말합니다. 구면수차를 제거하는 한 방법으로는 거울을 포물면으로 만들면 됩니다. 포물면 거울의 경우 중심으로 입사된 빛이나 거울의 변두리로 입사된 빛이 모두 한 점(초점)에 모이므로 깨끗한 상이 됩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설명은 모두 빛이 렌즈나 거울의 축에 나란히 입사된 빛의 경우에만 해당됩니다. 즉, 거울이나 렌즈의 축으로부터 경사져 입사되는 빛은 포물면이라 할지라도 한 점에서 초점을 맺지 못합니다. 특히 렌즈나 거울 면의 축에서 어긋나는 정도가 심할 경우, 즉, 접안렌즈로 상을 봤을 때 변두리에 나타나는 상은 실제 모양이 점이라 할지라도 마치 혜성의 코마 모양처럼 보이게 되는데 이를 코마수차라 합니다. 코마수차를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반사망원경의 경우 주경과 부경을 모두 쌍곡면으로 만들면 됩니다.



참고로 구면은 제작 비용이 싸며, 포물면이나 쌍곡면은 제작 비용이 많이 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