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모달창 닫기

자주하는 질문

천체물리/우주론 Q.성운의 모양이 여러가지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2010-02-23
A.성운에 대하여는 한국천문연구원 홈페이지 "우주여행"란을 참고하세요.



성운의 모양이 여러 가지인 이유는,



첫째, 성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모습을 갖고 있습니다. 여기에 대한 분류도 복잡한데, 어쨌든 통상적인 성운은 종류나 기원에 따라 여러 가지 모습을 보입니다.



둘째, 성운은 기원뿐만 아니라 주위 성간 물질의 분포, 지구에서 보는 기하학적인 모양 따위에 따라 여러 가지 모습으로 나타납니다.



셋째, 대략적인 성운 종류의 분류에 따른 각각의 모양입니다.



- 행성상성운 (planetary nebula) : 질량이 태양 질량의 약 3배 이하의 별이 죽어가면서 별의 외각부분이 팽창하여 생긴 것으로 M57처럼 고리모양을 이루고 있어 행성상성운으로 불리고 있으나 고리 모양 이외에 모 항성의 특징, 기원, 주변성간 물질의 분포 따위에 따라 여러 가지 모양을 보입니다. 이 성운은 대략 수십 km/sec의 속도로 팽창하고 있어 그 수명은 수 만년 정도일 것으로 추정됩니다.



- 초신성 잔해 (Supernova Remnants) : 초신성 폭발 후에 남은 성운으로 행성상성운보다 매우 빠른 초당 1,000km/sec의 속도로 팽창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그 수명은 수천 년 이하일 것으로 생각됩니다. 카세오페아 자리의 베일성운, SN 1987A의 성운 등이 대표적입니다.



- 산광성운 (방출성운, 발광성운, H II 영역) : 스스로 빛을 내는 여러 가지 모양의 성운으로 대개는 성운 안쪽에 젊은 산개성단이 있어서 이 성단의 별로부터 나오는 짧은 파장의 빛에 의하여 주위가 이온화되어 밝게 빛납니다. 대표적인 예가 오리온 성운이나 M8, 마젤란 은하의 30 Dor, M 33에 있는 NGC 604 따위가 이에 속합니다. 천문학적인 용어로는 H II영역이라 부릅니다.



- 암흑성운 (Dark Nebula) : 차가운 분자구름으로 대개는 뒤에 오는 별빛을 차단함으로써 발견됩니다. 이 구름 안에 새로 탄생하고 있는 어린 별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말머리 성운이나 오리오 성운 주위의 분자 운이 대표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