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달은 공전과 자전주기가 같아 늘 한쪽 면만을 볼 수 있으므로, 그 뒷면은 1959년 10월 7일 소련의 루나 3호가 처음 촬영하기 전까지 전혀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뒷면이라고는 하지만 실제로 우리는 칭동 현상으로 인하여 달의 전표면 중 59%까지를 볼 수가 있습니다. 칭동은 달의 궤도면이 적도에 대하여 기울어 있기 때문에 생기는 기하학적인 현상으로 경도 칭동과 위도 칭동, 일주 칭동이 있습니다.
경도 칭동은 달의 일정한 자전과 지구둘레를 도는 타원궤도 운동에 의해 6°17′을 보게 되는 것이고, 위도 칭동은 황도 면에 대한 달의 공전궤도면의 5°9′의 경사와 달 적도면의 공전궤도에 대한 경사에 의한 6°41′을 보게 되는 것입니다. 일주 칭동은 57′로서 지구에 있는 관측자가 지구 자전으로 생기는 시차 효과에 의해 생기는 것입니다. 끝으로 달의 비구형인 형태 때문에 자전속도에 약간의 불규칙성이 생겨서 작은 양의 물리적 칭동을 일으키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