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서메뉴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모달창 닫기

국가, 재위임금, 천문현상, 참고문헌을 선택하여 날짜별 천문현상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 검색 가능 기간 : 삼국시대 ~ 조선시대 (BC 37 ~ AD 1910)
검색샘플

고천문 검색결과

전체개수 25,360 페이지 792/2,536
고천문 검색결과에 대한 양력, 음력날짜와 천문현상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번호 양력날짜
음력날짜
일진 천문현상
17,450 1605년 3월 17일
1605년 1월 28일
계묘 밤에 짙은 구름이 끼고 비가 내려 객성이 보이지 않았다. [조선실록 [원전] 25집 27면]
17,449 1605년 3월 18일
1605년 1월 29일
갑진 밤에 짙은 구름이 끼어 객성이 보이지 않았다. [조선실록 [원전] 25집 27면]
17,448 1604년 10월 23일
1604년 윤9월 1일
무인 묘시(卯時)에 태양에 지중식(地中蝕)이 있었다. [조선실록 [원전] 24집 667면]
17,447 1604년 10월 23일
1604년 윤9월 1일
무인 밤 1경(更)에 전광(電光)이 있었다. 객성(客星)이 구름 사이로 나타났는데 형체가 세성(歲星)보다 컸고 황적색(黃赤色)이었으며 동요하였다. 그 나타난 곳의 성수(星宿)와 북극성과의 도수(度數)는 운기(雲氣)가 갰다꼈다 하여 측후(測候)할 수가 없었다. [조선실록 [원전] 24집 667면]
17,446 1604년 10월 24일
1604년 윤9월 2일
기묘 해돋을 녘에 태양 가운데에 크기가 새알만한 흑자(黑子)가 있었다. [조선실록 [원전] 24집 667면]
17,445 1604년 10월 24일
1604년 윤9월 2일
기묘 밤 1경(更)에 객성이 천강성(天江星) 위에 나타났는데, 미수(尾宿) 11도(度)에 위치하였으며 북극성과는 1백 9도의 거리였다. 형체는 세성(歲星)보다 크고 황적색이었으며 동요하였다. [조선실록 [원전] 24집 667면]
17,444 1604년 10월 25일
1604년 윤9월 3일
경진 윤 9월 경진(3)에 해의 가운데에 흑자(黑子)가 있었는데 크기가 달걀만 하였다. [증보문헌비고 상위고 7, 15면]
17,443 1604년 10월 25일
1604년 윤9월 3일
경진 해돋을 녘에 태양 가운데에 흑자(黑子)가 있었는데 크기는 계란만하였다. [조선실록 [원전] 24집 667면]
17,442 1604년 10월 25일
1604년 윤9월 3일
경진 밤 1경(更)에 객성이 천강성(天江星) 위에 나타났는데, 미수(尾宿) 11도(度)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북극성과 1백 9도였다. 형체는 세성(歲星)보다 컸고 황적색이었으며 동요하였다. [조선실록 [원전] 24집 667면]
17,441 1604년 10월 25일
1604년 윤9월 3일
경진 윤 9월 경진일(3)에 해 가운데에 검은 점[黑子]이 있었는데 크기가 달걀만 하였다. [연비 별집 제 15권 천문전고 122면]

()
  • 홈으로 이동
  • 천문학습관
  • 역서별
  • ()
서지정보
서지정보에 대한 서명, 간행년, 발행기관, 표지제, 권두서명(한글), 크기, 임금재위년, 권두서명(한자),기술언어에 대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서명 간행년 세차 발행기관
표지제 권두서명(한글) 면수 기술언어
임금재위년 권두서명(한자) 크기(cm)
원문텍스트
해제정보

원문이미지(1/0)

* 본 이미지에 대해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할 수 없습니다.

다운로드
처음으로 마지막으로
프린트
Curren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