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서메뉴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모달창 닫기

국가, 재위임금, 천문현상, 참고문헌을 선택하여 날짜별 천문현상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 검색 가능 기간 : 삼국시대 ~ 조선시대 (BC 37 ~ AD 1910)
검색샘플

고천문 검색결과

전체개수 25,360 페이지 678/2,536
고천문 검색결과에 대한 양력, 음력날짜와 천문현상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번호 양력날짜
음력날짜
일진 천문현상
18,590 1632년 11월 5일
1632년 9월 23일
무오 밤 5경에 달이 헌원성(軒轅星)의 네째 별을 침범하였다. [조선실록 [원전] 34집 498면]
18,589 1632년 11월 6일
1632년 9월 24일
기미 밤 5경에 유성이 묘성(昴星) 위에서 나와 서쪽으로 들어갔다. [조선실록 [원전] 34집 498면]
18,588 1632년 11월 11일
1632년 9월 29일
갑자 유성이 헌원성(軒轅星)에서 나왔다. [조선실록 [원전] 34집 499면]
18,587 1632년 4월 19일
1632년 3월 1일
무술 3월 무술(1)에 해에 교운(交暈)이 있었고, 흰 무지개가 해를 꿰뚫었다. [증보문헌비고 상위고 7, 34면]
18,586 1632년 4월 19일
1632년 3월 1일
무술 3월 2일 관상감(觀象監)이 아뢰기를 《이 달 초하루 진시(辰時)와 사시(巳時)에 해[日]에 양쪽 무리[暈]가 어지럽게 엇갈렸는데 바깥 쪽에는 겹 무리가 있고 안쪽 윗 편에는 덮개가 있고, 무리 진 밑에 신[履] 같은 것이 있고 무리 위에는 얹힌 것이 있고, 좌우(左右)에 갈구리 창 같은 것이 있고 흰 무지개가 해를 꿰었다. [대동야승 제 49권 웅천일록]
18,585 1632년 4월 19일
1632년 3월 1일
무술 3월 무술(1)일 묘시(卯時-오전5-7시)에 햇무리가 졌는데 두 귀가 생겼다. 진시(辰時-오전 7-9시).사시(巳時-오전9-11시)에 해에 겹친 무리가 생겼는데 두 귀 밖으로 겹무리가 졌다. 안쪽 무리의 위쪽에 관(冠-모자)이 생기고 무리 아래에 이(履-신)가 생겼다. [재리고]
18,584 1632년 4월 19일
1632년 3월 1일
무술 3월 무술일(1)에 해에 교운(交暈)을 하였고, 흰 무지개가 해를 꿰뚫었다. [연비 별집 제 15권 천문전고 132면]
18,583 1632년 4월 20일
1632년 3월 2일
기해 3월 기해(2)에도 흰 무지개가 해를 꿰뚫었다. [증보문헌비고 상위고 7, 34면]
18,582 1632년 4월 20일
1632년 3월 2일
기해 3월 기해일(2)에도 또 (흰 무지개가) 해를 꿰뚫었다. [연비 별집 제 15권 천문전고 133면]
18,581 1632년 3월 21일
1632년 2월 1일
기사 유성(流星)이 대각성(大角星) 위에서 나와 하고성(河鼓星) 아래로 들어갔다. [조선실록 [원전] 34집 469면]

()
  • 홈으로 이동
  • 천문학습관
  • 역서별
  • ()
서지정보
서지정보에 대한 서명, 간행년, 발행기관, 표지제, 권두서명(한글), 크기, 임금재위년, 권두서명(한자),기술언어에 대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서명 간행년 세차 발행기관
표지제 권두서명(한글) 면수 기술언어
임금재위년 권두서명(한자) 크기(cm)
원문텍스트
해제정보

원문이미지(1/0)

* 본 이미지에 대해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할 수 없습니다.

다운로드
처음으로 마지막으로
프린트
Curren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