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서메뉴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모달창 닫기

국가, 재위임금, 천문현상, 참고문헌을 선택하여 날짜별 천문현상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 검색 가능 기간 : 삼국시대 ~ 조선시대 (BC 37 ~ AD 1910)
검색샘플

고천문 검색결과

전체개수 25,360 페이지 1,758/2,536
고천문 검색결과에 대한 양력, 음력날짜와 천문현상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번호 양력날짜
음력날짜
일진 천문현상
7,790 1368년 3월 19일
1368년 3월 1일
신미 밤에 이상한 붉은 기체가 불빛과 같았는데, 을해일(5)까지 계속되었다. [고려사 북역 제 5권 343면]
7,789 1368년 4월 1일
1368년 3월 14일
갑신 (혜성이) 서방(西方)에 나타났다. [증보문헌비고 상위고 6]
7,788 1368년 4월 1일
1368년 3월 14일
갑신 혜성(彗星)이 서방(西方)에 나타났다. [고려사 북역 제 5권 149면]
7,787 1368년 4월 1일
1368년 3월 14일
갑신 혜성(彗星)이 서방(西方)에 나타났다. [고려사 북역 제 4권 139면]
7,786 1368년 4월 1일
1368년 3월 14일
갑신 혜성(彗星)이 서방(西方)에 나타났다. [고려사절요]
7,785 1368년 4월 7일
1368년 3월 20일
경인 (혜성이) 대릉(大陵). 적시(積尸) 사이에서 나왔다. [증보문헌비고 상위고 6]
7,784 1368년 4월 7일
1368년 3월 20일
경인 혜성(彗星)이 대릉(大陵) 성좌와 적시(積尸) 성좌 사이에 나타났다. [고려사 북역 제 5권 149면]
7,783 1368년 4월 7일
1368년 3월 20일
경인 혜성(彗星)이 대릉(大陵) 성좌와 적시(積尸) 성좌 사이에 나타났다. [고려사 북역 제 4권 139면]
7,782 1368년 4월 8일
1368년 3월 21일
신묘 (혜성이) 대릉(大陵). 권설(卷舌) 사이에서 나와서 천선(天船)의 9 성(星)을 쏘았다. [증보문헌비고 상위고 6]
7,781 1368년 4월 8일
1368년 3월 21일
신묘 혜성(彗星)이 대릉(大陵). 권설(卷舌) 성좌 사이에서 나타났는데 그 빛발이 천선(天船) 성좌의 아홉 별 우에 내 뻗쳤다. [고려사 북역 제 5권 149면]

()
  • 홈으로 이동
  • 천문학습관
  • 역서별
  • ()
서지정보
서지정보에 대한 서명, 간행년, 발행기관, 표지제, 권두서명(한글), 크기, 임금재위년, 권두서명(한자),기술언어에 대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서명 간행년 세차 발행기관
표지제 권두서명(한글) 면수 기술언어
임금재위년 권두서명(한자) 크기(cm)
원문텍스트
해제정보

원문이미지(1/0)

* 본 이미지에 대해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할 수 없습니다.

다운로드
처음으로 마지막으로
프린트
Curren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