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서메뉴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모달창 닫기

국가, 재위임금, 천문현상, 참고문헌을 선택하여 날짜별 천문현상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 검색 가능 기간 : 삼국시대 ~ 조선시대 (BC 37 ~ AD 1910)
검색샘플

고천문 검색결과

전체개수 25,360 페이지 1,641/2,536
고천문 검색결과에 대한 양력, 음력날짜와 천문현상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번호 양력날짜
음력날짜
일진 천문현상
8,960 1404년 3월 1일
1404년 1월 20일
임술 정월 임술(20)에 동쪽으로 꼬리를 뻗친 것이 있었다. [연려실기술 별집 제 15권 천문전고 81면]
8,959 1403년 12월 14일
1403년 윤11월 1일
갑진 밤에 북쪽에 엷은 적기(赤氣)가 있었는데, 길이가 한 길[丈]쯤 되었다. [조선실록 [원전] 1집 284면]
8,958 1403년 12월 18일
1403년 윤11월 5일
무신 윤11월 무신(5)에 혜성(彗星)이 동북쪽에 나타났다. [증보문헌비고 상위고 6, 331면]
8,957 1403년 12월 18일
1403년 윤11월 5일
무신 혜성(慧星)이 동북쪽에 나타났다. [조선실록 [원전] 1집 285면]
8,956 1403년 12월 18일
1403년 윤11월 5일
무신 윤11월 무신일(5)에 혜성(彗星)이 동.북 사이에 나타났다. [연려실기술 별집 제 15권 천문전고 81면]
8,955 1403년 10월 0일
1403년 9월 0일
경신 [증보문헌비고 권4 상위고4]
8,954 1403년 10월 10일
1403년 9월 24일
기해 달이 헌원(軒轅)의 큰 별을 범(犯)하였다. [조선실록 [원전] 1집 278면]
8,953 1403년 9월 6일
1403년 8월 20일
을축 달이 필성(畢星)의 큰 별을 가리었다. 판서운관사(判書雲觀事) 장사언(張思彦)을 불러 묻기를, “월엄(月掩)이니, 월범(月犯)이니, 월입(月入)이니, 월수(月守)니 하는 것을 어떻게 구별하며, 또 달이 필성(畢星)을 가리면 그 응험이 어떠하냐?” 하니, 사언(思彦)이 대답하기를, “달이 별에 가까우면 ‘범(犯)’이라 이르고, 별을 막으면 ‘엄(掩)’이라 이르고, 별이 달에 들어갔다가 도로 나오면 ‘입(入)’이라 이르고, 별이 달에 들어가서 오래 있으면 ‘수(守)’라고 이릅니다. 만일 달이 필성을 가리면, 그 응험은 군사를 일으키는 일에 있습니다. 그러나 어제 밤에 달이 필성을 가린 땅은 유방(酉方)지역이니, 우리 나라 안은 아닙니다.”하였다. 사언이 물러간 뒤에, 내수(內竪)에게 명하여 서책(書冊)을 내다가 보니, 달이 필성을 가리는 응험이 과연 사언의 말과 같았다. 임금이 말하였다. “하늘이 재이(災異)로써 견고(譴告)하니 수성(修省)하지 않을 수 없다. 모름지기 교서를 반포하여 구언(求言)해서, 신료들과 더불어 두려워하고 조심하는 뜻을 함께 하려고 한다.” [조선실록 [원전] 1집 273면]
8,952 1403년 9월 11일
1403년 8월 25일
경오 8월 경오(25)에 (금성이) 헌원(軒轅)을 범하였다. [증보문헌비고 상위고 6, 284면]
8,951 1403년 9월 11일
1403년 8월 25일
경오 금성(金星)이 헌원성(軒轅星)과 태미원(太微垣)을 범(犯)하였다. [조선실록 [원전] 1집 274면]

()
  • 홈으로 이동
  • 천문학습관
  • 역서별
  • ()
서지정보
서지정보에 대한 서명, 간행년, 발행기관, 표지제, 권두서명(한글), 크기, 임금재위년, 권두서명(한자),기술언어에 대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서명 간행년 세차 발행기관
표지제 권두서명(한글) 면수 기술언어
임금재위년 권두서명(한자) 크기(cm)
원문텍스트
해제정보

원문이미지(1/0)

* 본 이미지에 대해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할 수 없습니다.

다운로드
처음으로 마지막으로
프린트
Curren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