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서메뉴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모달창 닫기

국가, 재위임금, 천문현상, 참고문헌을 선택하여 날짜별 천문현상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 검색 가능 기간 : 삼국시대 ~ 조선시대 (BC 37 ~ AD 1910)
검색샘플

고천문 검색결과

전체개수 25,360 페이지 1,633/2,536
고천문 검색결과에 대한 양력, 음력날짜와 천문현상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번호 양력날짜
음력날짜
일진 천문현상
9,040 1406년 9월 28일
1406년 8월 17일
계묘 8월 계묘일(17)에는 금성이 헌원성을 범하였다. [연려실기술 별집 제 15권 천문전고 81면]
9,039 1406년 10월 6일
1406년 8월 25일
신해 달이 헌원성(軒轅星)을 범하였다. [조선실록 [원전] 1집 374면]
9,038 1406년 6월 16일
1406년 6월 1일
기미 6월 초1일 기미(己未)에 일식이 있었다. [증보문헌비고 상위고 4, 205면]
9,037 1406년 6월 16일
1406년 6월 1일
기미 일식(日食)을 하였다. [조선실록 [원전] 1집 359면]
9,036 1406년 6월 16일
1406년 6월 1일
기미 6월 1일 기미에 일식하였다. [연려실기술 별집 제 15권 천문전고 81면]
9,035 1406년 5월 25일
1406년 5월 8일
정유 달이 태미 우집법(太微右執法)에 들어갔다. [조선실록 [원전] 1집 356면]
9,034 1406년 3월 4일
1406년 2월 14일
을해 달이 태미(太微)에 들어갔다. [조선실록 [원전] 1집 349면]
9,033 1406년 3월 19일
1406년 2월 29일
경인 유성(流星)이 대각(大角) 남쪽에서 나와서 천부성(天쯅星) 남쪽으로 들어 갔는데, 크기가 술잔만 하였다. [조선실록 [원전] 1집 350면]
9,032 1406년 1월 1일
1405년 12월 11일
계유 태백성(太白星)이 낮에 나타났고, 밤에는 이방(쬛方)에 백기(白氣)가 있었다. [조선실록 [원전] 1집 345면]
9,031 1406년 1월 2일
1405년 12월 12일
갑술 일이(日珥)의 현상이 나타났다. [조선실록 [원전] 1집 345면]

()
  • 홈으로 이동
  • 천문학습관
  • 역서별
  • ()
서지정보
서지정보에 대한 서명, 간행년, 발행기관, 표지제, 권두서명(한글), 크기, 임금재위년, 권두서명(한자),기술언어에 대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서명 간행년 세차 발행기관
표지제 권두서명(한글) 면수 기술언어
임금재위년 권두서명(한자) 크기(cm)
원문텍스트
해제정보

원문이미지(1/0)

* 본 이미지에 대해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할 수 없습니다.

다운로드
처음으로 마지막으로
프린트
Curren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