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서메뉴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모달창 닫기

국가, 재위임금, 천문현상, 참고문헌을 선택하여 날짜별 천문현상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 검색 가능 기간 : 삼국시대 ~ 조선시대 (BC 37 ~ AD 1910)
검색샘플

고천문 검색결과

전체개수 25,360 페이지 1,625/2,536
고천문 검색결과에 대한 양력, 음력날짜와 천문현상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번호 양력날짜
음력날짜
일진 천문현상
9,120 1411년 3월 4일
1411년 2월 10일
신축 손방(巽方)에 담적색(淡赤色) 기운이 있었다. [조선실록 [원전] 1집 577면]
9,119 1411년 1월 14일
1410년 12월 20일
임자 12월 임자(20)에 달이 목성[歲星]을 범하였다. [증보문헌비고 상위고 8, 122면]
9,118 1411년 1월 14일
1410년 12월 20일
임자 달이 목성(木星)을 범하였다. [조선실록 [원전] 1집 571면]
9,117 1411년 1월 28일
1411년 1월 5일
병인 정월 병인(5)에 달이 금성[太白]을 범하였다. [증보문헌비고 상위고 4, 222면]
9,116 1411년 1월 28일
1411년 1월 5일
병인 달이 금성(金星)을 범하니, 일관(日官)을 불러 말하기를, “내가 《문헌통고(文獻通考)》를 보니, 28수(宿)가 하늘에 포열(布列)해 있고, 여러 나라[列國]가 각기 열수(列宿)의 분도(分度) 안에 있게 되어, 만약 성변(星變)이 있게 되면 그 분도(分度) 안에 있는 나라가 이를 근심하였다. 그러므로 지난번에 달이 목성(木星)을 범(犯)했을 적에 일관(日官)이 기양(祈禳)하기를 청하였으나, 나는 우리 나라가 미성(尾星)과 기성(箕星)의 분도(分度) 안에 있고, 또 달이 목성(木星)을 범하는 것이 매우 잦으니, 무슨 빌 필요가 있겠는가 생각하여, 기양하지 말라고 명하였다. 지금 달이 금성(金星)을 범했기 때문에 《문헌통고》를 상고해 보았더니, 이에 대한 것은 아무 것도 없었다. 5성(五星)의 분도(分度)는 어디에 있는가?” 하니, 일관(日官)이 대답하지 못하였다. 임금이 좌우(左右)에게 이르기를, “천변(天變)을 만났다고 반드시 빌 것은 없다. 어찌 군신(君臣)이 각기 자기의 맡은 바 일을 바르게 하는 것만 같겠느냐?” 하고, 서운 정(書雲正) 애순(艾純)을 불러 말하기를, “달이 금성(金星)을 범하였다니, 무슨 분야(分野)인가?” 하니, 애순이 대답하기를, “위(魏)의 분야입니다.” 하였다. 임금이 명하기를, “5성(五星)은 본래 분야가 없는 것인데, 어찌하여 위(魏)의 분야라고 하는가?” 하니, 대답하기를, “범한 곳이 위(魏)의 분야에 있습니다.” 하였다. [조선실록 [원전] 1집 573면]
9,115 1411년 2월 20일
1411년 1월 28일
기축 일이(日珥)의 현상이 나타났다. [조선실록 [원전] 1집 576면]
9,114 1411년 -월 -일
1411년 -월 -일
- 태종 11년에 화성[熒惑]이 귀수(鬼宿)를 범하였다. [증보문헌비고 상위고 6, 284면]
9,113 1410년 10월 3일
1410년 9월 5일
기사 달이 기성(箕星)을 범하였다. [조선실록 [원전] 1집 563면]
9,112 1410년 9월 19일
1410년 8월 21일
을묘 달이 오거성(五車星)을 범하였다. [조선실록 [원전] 1집 562면]
9,111 1410년 8월 7일
1410년 7월 7일
임신 달이 심성(心星)을 범하니, 김한로(金漢老)를 보내어 소격전(昭格殿)에서 태음 독초제(太陰獨醮祭)를 행하였다. [조선실록 [원전] 1집 557면]

()
  • 홈으로 이동
  • 천문학습관
  • 역서별
  • ()
서지정보
서지정보에 대한 서명, 간행년, 발행기관, 표지제, 권두서명(한글), 크기, 임금재위년, 권두서명(한자),기술언어에 대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서명 간행년 세차 발행기관
표지제 권두서명(한글) 면수 기술언어
임금재위년 권두서명(한자) 크기(cm)
원문텍스트
해제정보

원문이미지(1/0)

* 본 이미지에 대해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할 수 없습니다.

다운로드
처음으로 마지막으로
프린트
Curren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