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서메뉴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모달창 닫기

국가, 재위임금, 천문현상, 참고문헌을 선택하여 날짜별 천문현상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 검색 가능 기간 : 삼국시대 ~ 조선시대 (BC 37 ~ AD 1910)
검색샘플

고천문 검색결과

전체개수 25,360 페이지 1,621/2,536
고천문 검색결과에 대한 양력, 음력날짜와 천문현상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번호 양력날짜
음력날짜
일진 천문현상
9,160 1413년 11월 6일
1413년 10월 13일
기미 10월 기미일(13)에 형혹성[火星]이 태미성(太微星)에 들어갔다. [연려실기술 별집 제 15권 천문전고 83면]
9,159 1413년 2월 1일
1413년 1월 1일
신사 정월 초1일 신사(辛巳)에 일식이 있었다. [증보문헌비고 상위고 4, 205면]
9,158 1413년 2월 1일
1413년 1월 1일
신사 일식(日食)하였다. [조선실록 [원전] 1집 659면]
9,157 1413년 2월 1일
1413년 1월 1일
신사 임금이 문소전(文昭殿)에 나아가 원일 별제(元日別祭)를 행하고, 일식(日食)의 변고로 인해 향궐 하례(向闕賀禮)를 정지하고, 조회를 받지 아니하였다. 각도에서 모두 헌마(獻馬)하니, 각도에서 말을 바치는 법[進馬]이 이때부터 시작하였다. 오정(午正)이 될 무렵, 임금이 소의(素衣)에 각대(角帶)를 띠고 정전(正殿)의 월대(月臺)에 나오니, 일관(日官)이 북을 울렸다. 일식이 오정 3각(刻)부터 시작하여, 신초(申初) 2각(刻)에 이르러서야 복원(復圓)되었다. 처음에 서운관(書雲觀)에서 예보하여 아뢰기를, “신초(申初) 3각에 복원될 것입니다.” [조선실록 [원전] 1집 659면]
9,156 1413년 2월 1일
1413년 1월 1일
신사 정월 1일에 일식하였다. [연려실기술 별집 제 15권 천문전고 83면]
9,155 1413년 2월 5일
1413년 1월 5일
을유 유성(流星)이 천시원(天市垣)에서 나와 건성도(建星度)로 들어갔는데, 형상이 병(甁)과 같았고 빛이 푸르렀다. [조선실록 [원전] 1집 659면]
9,154 1412년 2월 5일
1411년 윤12월 23일
기묘 달이 방성(房星) 남쪽 두 별을 범하였다. [조선실록 [원전] 1집 617면]
9,153 1412년 10월 11일
1412년 9월 6일
무자 달이 남두(南斗)의 제4성(第四星) 남쪽을 범하였는데, 간격이 1자[尺] 남짓하였다. [조선실록 [원전] 1집 648면]
9,152 1412년 11월 4일
1412년 9월 30일
임자 신시(申時)에 유성(流星)이 남쪽으로부터 동쪽으로 지나갔는데, 형상이 불덩어리와 같았다. [조선실록 [원전] 1집 650면]
9,151 1412년 9월 13일
1412년 8월 8일
경신 달이 남두(南斗)의 괴성(魁星)을 범했는데, 길이가 1자[尺] 남짓하였다. [조선실록 [원전] 1집 646면]

()
  • 홈으로 이동
  • 천문학습관
  • 역서별
  • ()
서지정보
서지정보에 대한 서명, 간행년, 발행기관, 표지제, 권두서명(한글), 크기, 임금재위년, 권두서명(한자),기술언어에 대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서명 간행년 세차 발행기관
표지제 권두서명(한글) 면수 기술언어
임금재위년 권두서명(한자) 크기(cm)
원문텍스트
해제정보

원문이미지(1/0)

* 본 이미지에 대해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할 수 없습니다.

다운로드
처음으로 마지막으로
프린트
Curren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