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서메뉴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모달창 닫기

국가, 재위임금, 천문현상, 참고문헌을 선택하여 날짜별 천문현상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 검색 가능 기간 : 삼국시대 ~ 조선시대 (BC 37 ~ AD 1910)
검색샘플

고천문 검색결과

전체개수 25,360 페이지 1,620/2,536
고천문 검색결과에 대한 양력, 음력날짜와 천문현상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번호 양력날짜
음력날짜
일진 천문현상
9,170 1413년 8월 18일
1413년 7월 22일
기해 초저녁에 패성(큵星)이 북방에 나타나서 선회하고 유전(流轉)하다가 한참 만에 자취가 없어졌다. 그 크기는 주발(周鉢)만 하고 청적색(靑赤色)이었다. 임금이 친히 보고 서운관(書雲觀)에서 수경(守更)하던 조호선(趙好璇)에게 물으니 알지 못한다고 대답하므로 하옥하라고 명하였으나, 이튿날 그를 석방하였다. [조선실록 [원전] 1집 679면]
9,169 1413년 7월 19일
1413년 6월 22일
기사 유성(流星)이 벽남(壁南)에서 나와서 실중(室中)으로 들어갔는데, 모양이 병(甁)과 같았고 청적색(靑赤色)이었다. [조선실록 [원전] 1집 674면]
9,168 1413년 7월 26일
1413년 6월 29일
병자 유성(流星)이 천중(天中)에서 나와 건방(乾方)에 들어갔는데, 모양이 병(甁)과 같았고 청적색(靑赤色)이었다. [조선실록 [원전] 1집 674면]
9,167 1413년 7월 27일
1413년 6월 30일
정축 유성(流星)이 벽남(壁南)에서 나와 실중(室中)으로 들어갔는데, 모양이 되박[升]과 같았다. [조선실록 [원전] 1집 675면]
9,166 1413년 5월 28일
1413년 4월 29일
정축 아침에 유성(流星)이 천중(天中)에서 나와 건방(乾方)으로 들어갔는데, 형상이 병(甁)과 같았다. [조선실록 [원전] 1집 670면]
9,165 1413년 5월 29일
1413년 4월 30일
무인 유성(流星)이 벽남(壁南)에서 나와 실중(室中)으로 들어갔는데, 모양이 되박[升]과 같았다. [조선실록 [원전] 1집 670면]
9,164 1413년 1월 26일
1412년 12월 24일
을해 달이 심수(心宿) 앞 별을 범하였다. [조선실록 [원전] 1집 658면]
9,163 1413년 12월 -일
1413년 11월 -일
병인 11월 병인(11월에 병인일이 없음)에 수성(辰星)이 금성[太白]을 범하였다. [증보문헌비고 상위고 4, 230면]
9,162 1413년 11월 6일
1413년 10월 13일
기미 [증보문헌비고 권6 상위고6]
9,161 1413년 11월 6일
1413년 10월 13일
기미 화성(火星)이 태미(太微)에 들어갔다. [조선실록 [원전] 1집 690면]

()
  • 홈으로 이동
  • 천문학습관
  • 역서별
  • ()
서지정보
서지정보에 대한 서명, 간행년, 발행기관, 표지제, 권두서명(한글), 크기, 임금재위년, 권두서명(한자),기술언어에 대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서명 간행년 세차 발행기관
표지제 권두서명(한글) 면수 기술언어
임금재위년 권두서명(한자) 크기(cm)
원문텍스트
해제정보

원문이미지(1/0)

* 본 이미지에 대해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할 수 없습니다.

다운로드
처음으로 마지막으로
프린트
Curren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