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서메뉴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모달창 닫기

국가, 재위임금, 천문현상, 참고문헌을 선택하여 날짜별 천문현상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 검색 가능 기간 : 삼국시대 ~ 조선시대 (BC 37 ~ AD 1910)
검색샘플

고천문 검색결과

전체개수 25,360 페이지 1,614/2,536
고천문 검색결과에 대한 양력, 음력날짜와 천문현상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번호 양력날짜
음력날짜
일진 천문현상
9,230 1418년 10월 28일
1418년 9월 29일
병자 햇무리하였다. [조선실록 [원전] 2집 271면]
9,229 1418년 11월 20일
1418년 10월 23일
기해 햇무리하였다. [조선실록 [원전] 2집 274면]
9,228 1417년 3월 18일
1417년 3월 1일
정해 3월 정해(1)에 별의 요기(妖氣)가 있었다. [증보문헌비고 상위고 6, 331면]
9,227 1417년 3월 18일
1417년 3월 1일
정해 패성(큵星)이 동방에 나타났다. [조선실록 [원전] 2집 152면]
9,226 1417년 3월 18일
1417년 3월 1일
정해 3월 정해일에 패성(패星)이 동쪽에 있었다. [연려실기술 별집 제 15권 천문전고 85면]
9,225 1416년 9월 24일
1416년 9월 4일
임진 9월 임진(24)에 (화성이) 남두(南斗)를 범하였다. [증보문헌비고 상위고 6, 285면]
9,224 1416년 9월 24일
1416년 9월 4일
임진 화성(火星)이 남두(南斗) 제5성을 범하였다. [조선실록 [원전] 2집 133면]
9,223 1416년 9월 24일
1416년 9월 4일
임진 9월 임진일(24)에 형혹성[火星]이 남두성(南斗星)를 범하였다. [연려실기술 별집 제 15권 천문전고 85면]
9,222 1416년 7월 25일
1416년 7월 2일
신묘 담백색(淡白色) 기운이 목성(木星) 주위(周圍)에 혹 나타났다가 혹은 없어졌다가 하였다. [조선실록 [원전] 2집 126면]
9,221 1416년 7월 26일
1416년 7월 3일
임진 유성(流星)이 관색(貫索)에서 나와서 저성(?星)으로 들어갔는데, 모양이 배[梨]와 같았다. [조선실록 [원전] 2집 126면]

()
  • 홈으로 이동
  • 천문학습관
  • 역서별
  • ()
서지정보
서지정보에 대한 서명, 간행년, 발행기관, 표지제, 권두서명(한글), 크기, 임금재위년, 권두서명(한자),기술언어에 대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서명 간행년 세차 발행기관
표지제 권두서명(한글) 면수 기술언어
임금재위년 권두서명(한자) 크기(cm)
원문텍스트
해제정보

원문이미지(1/0)

* 본 이미지에 대해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할 수 없습니다.

다운로드
처음으로 마지막으로
프린트
Current View